View : 1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reator김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9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4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data of falling prevention program by search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walk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falling efficacy of old age in citie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8 to November 20 in 2003.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 elderly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Anyang, the Republic of Korea who comprehen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The tool of this study consists of 8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6 o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walking ability, 13 o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 Version, and 10 on Fall 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 8.2 program that includes a real quantity, percentage, t-test, x²-test, ANOVA and the subject individual'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5.4% of the total participants were male and 74.6% were female, 36% have elementary school diploma, 67.5% were bereaved of their partners, 49% lived with their married son, 91% lived in apartment, 79% with monthly earnings below 1.0 million won. 2.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1.6% were nonsmokers, 84.2% were nondrinkers, 64.0% took light exercise like walking, 76.3% walked without supports, 38.6% were troubled with hypertension, 35.1% had weak insight, 30.7% were troubled with arthritis and 29.9% were involved with one diseases, 25.4% with two diseases, 29.2% took one or two medications. 3. Walk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fall efficacy The mean of walking ability examined by Get up and Go test was 12.6 seconds that proved independent walking ability of the subjects. The mean score of cognitive function was 24.2 points(total 30 points) that proved normal perception. Mean fall efficacy scale was 28.9 points that revealed low level anxiety about fall. 4. Walk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fall 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walk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monthly earning fall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5. Walk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fall efficacy according to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walking ability according to smoking, using walking supports,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number of diseases, fall efficacy according to using walking supports, number of diseases and medications. 6. Falling history according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alling history according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7. Walk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fall efficacy according to the falling histor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gree of walking ability according to falling histor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fall efficacy according to falling history. 8. The relationships among walking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fall efficac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alking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alking ability and fall efficacy. As the results above, walking ability and fall efficac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alling of the elderly, and cognitive function involved with walking ability and fall efficacy has influence on falling of the elderly indirectly.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인의 건강문제와 함께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낙상은 노년기에 경험하는 사고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노인의 사망률, 유병률, 의료기관 입원 등과 관련이 있고 신체적 상해뿐만 아니라 심리, 사회적 장애를 초래하여 노인 대상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일반적 특성, 건강 특성, 보행능력, 인지기능과 낙상효능감을 조사하여 낙상 예방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와 안양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동의한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10월 18일부터 2002년 11월 20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8문항, 건강 특성 6문항, 보행능력 계측(Mathias, Nayak & Issacs, 1986),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 Version(권용철, 박종한, 1989)을 이용하여 측정한 인지기능 13문항, Fall Efficacy Scale(Tinetti, Richman & Powell, 1990)를 사용하여 측정한 낙상효능감 10문항이었다.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인지기능의 Cronbach's α값이 0.62, 낙상효능감의 Cronbach's α값이 0.75였고 수집된 자료는 SAS 8.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t-test, ANOVA, x²-test와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74.6%였고, 연령은 76-80세가 33.6%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 36%, 결혼상태는 사별이 67.5%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49%가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살고 있었으며, 91%가 아파트에 살고 있었고, 월수입은 100만원이하가 79%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건강 특성 대상자의 81.6%가 비흡연자였고, 84.2%가 음주를 하지 않았다. 운동습관은 가벼운 운동을 하는 대상자가 64.0%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의 76.3%가 보행 시 보조도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대상자들의 가장 많은 질병은 고혈압 38.6%, 시력저하 35.1%이었으며, 하나의 질병이 있는 대상자가 29.9%로 가장 많았고, 투약하고 있는 약의 수는 1-2개의 약을 투약하는 대상자가 29.2%로 가장 많았다. 3. 연구 대상자의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 대상자의 보행능력 평균은 12.6초로 93%의 대상자가 독립적인 보행 수준을 보였으며, 인지기능의 평균 점수는 24.2점으로 대상자의 67%가 확정적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낙상효능감 평균 점수는 28.9점으로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행능력은 여성 대상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무학, 배우자를 사별한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은 여성 대상자,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이혼한 경우, 월수입이 낮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효능감은 여성 대상자,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5. 연구 대상자의 건강 특성에 따른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의 차이 건강 특성에 따른 보행능력은 비흡연자, 보행시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대상자의 경우 유의하게 저하되어있었고, 인지기능은 질병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낙상효능감은 보행시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대상자, 질병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6. 연구 대상자의 건강 특성에 따른 낙상 경험의 차이 대상자의 낙상경험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건강 특성 변수는 없었다. 7. 연구 대상자의 낙상 경험에 따른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 낙상을 경험한 대상자의 보행능력과 낙상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고 인지기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8. 연구 대상자의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간의 관계 보행능력은 인지기능, 낙상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기능과 낙상효능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노인의 보행능력과 낙상효능감을 향상시켜 낙상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운동 및 교육 프로그램의 시행과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이 대상자의 낙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는 노인의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A. 노인의 보행능력 = 7 B. 노인의 인지기능 = 11 C. 노인의 낙상효능감 = 15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설계 = 19 B. 연구 대상 = 19 C. 연구 도구 = 19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22 E. 자료 분석 방법 = 22 F.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 2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4 B. 연구 대상자의 건강 특성 = 26 C. 연구 대상자의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 정도 = 28 D.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의 차이 = 31 E. 연구 대상자의 건강 특성에 따른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의 차이 = 40 F. 대상자의 건강 특성에 따른 낙상 경험의 차이 = 43 G. 대상자의 낙상 경험에 따른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의 차이 = 44 H. 연구 대상자의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의 관계 = 48 I. 연구의 제한점 = 50 Ⅴ. 결론 및 제언 = 51 A. 결론 = 51 B. 제언 = 56 참고문헌 = 58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 67 <부록 2> 연구도구 = 68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04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의 낙상과 관련된 보행능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