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여성 복압성 요실금 대상자의 골반근육운동 효과 연구

Title
여성 복압성 요실금 대상자의 골반근육운동 효과 연구
Authors
강석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여성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사회적 지위의 향상에 따라 여성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요실금은 다양한 하부요로증상을 동반하고 신체활동, 사회활동, 성생활, 일상생활 등에 불편감을 주어 여성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 목적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요실금 관련특성을 조사하고 골반근육운동 시행여부와 만족도, 증상완화, 일상생활, 성생활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지역사회 요실금 예방 프로그램의 발전된 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지역사회 여성 건강 프로그램을 통해 요실금에 관한 교육을 받고 골반근육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질내압을 측정하여 골반근육운동 실시한 후 6개월, 1년, 2년, 3년이 경과한 대상자를 2003년에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는 Jackson et al.(1996) 등이 개발한 "Bristol Female Urinary Symptoms Questionnaire"을 이용하였다. 원 도구는 각 문항마다 불편감을 측정하는 부분이 있었으나 중복되는 의미이기에 이화여자 대학교 여성 요실금 전문팀과 상의하여 수정되었다. 연구도구 개발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78이였고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alpha = .80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반근육운동을 지속하는 경우는 46.93%이였고 대상자의 95.1%가 요실금 관련 다른 치료를 하지 않았다. 또한 골반근육운동 만족도가 84.00%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는 53.07%이었다.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20.93%가 증상이 호전되어 중단하였으며 20.93% 가 무관심, 운동 방법을 몰라서는 11.62%였다. 2. 대상자의 기간 경과에 따른 요실금 양과 빈도의 차이는 골반근육운동 교육 후 6개월이 경과한 경우에 요실금 양(p = .01)과 빈도(p= .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대상자의 기간 경과에 따른 일상생활 불편감의 차이는 골반근육운동 교육 후 6개월이 경과한 경우에 음료섭취제한, 일상생활 지장, 화장실 없는 장소 기피, 신체활동 지장, 사회활동지장에서 일상생활 불편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5). 골반근육운동 교육 후 1년이 경과한 경우에도 일상생활 지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 4. 대상자의 기간 경과에 따른 성생활 불편감 차이는 골반근육운동 교육 후 6개월이 경과한 경우 성행위 중 통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3). 5. 대상자의 기간 경과에 따른 골반근육운동 여부는 6개월경과 후 65.20%, 1년경과 후 42.10%, 2년경과 후 38.90%, 3년경과 후 38.10%의 대상자가 골반근육운동을 시행하고 있었다. 6. 대상자의 기간 경과에 따른 골반근육운동 여부와 요실금 정도의 차이는 골반근육운동을 시행한 경우 6개월이 경과한 후 요실금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압성 요실금 대상자에게 골반근육운동을 교육한 경우 6개월 후에 요실금 정도와 일상생활 불편감, 성행위 중 성교통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에 골반근육운동 방법 제시에 대해 재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며 골반근육운동 교육이 1회적으로 실시되어서는 안되며 최소 6개월 단위로 재평가를 해야 하며 지속적인 지지와 도움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골반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요실금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 골반근육운동 방법이 잘못된 것인지, 요실금 전문 클리닉에 의뢰하여 수술이나 약물요법 등을 병용할 필요가 있는 대상자인지 확인하는 개인적인 추후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PFM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of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mplied with PFME through the Women's Health Program in the community from the year 2000 to 2003. In 2003, this study followed 81 female patients ; 24 women after 6 months from PFME, 19 women after 1 year, 17 women after 2 years and 21 women after 3 years. For data collection, the Bristol Female Urinary Symptoms Questionnaire, (Jackson et al., 1996) was used. This instrument included parts for each question to measure the subject's discomfort, but those parts were amended after consultation with a specialist since there were repetitious questions. The certainty of this instrument was Cronbach's alpha = .78 when it was developed, and for this study, the certainty was Cronbach's alpha = .80.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s rank sum test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orty-seven percent of the subject complied with PFME and 95.1% of the subject did not take any other treatment. On the other hand, 53.07% of the subject didn't comply with PFME even though their high satisfaction(84.00%). The reasons the subjects did not comply with PFME were as follows ; 20.93% of them reported that they stopped PFME because their SUI status had improved, 20.93% was indifferent to perform PFME and 11.62% of them did not know how to perform PFME. The amount (p = .01) and the frequency (p = .02) of leakage decreased after 6 months after PFME. Restriction on water intake, avoiding places which have no restroom and restriction on performing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decreased (p <.05) after 6 months after PFME. Discomfort in daily life decreased (p = .00) after 1 year after PFME. Dyspareunia decreased after six months after PFME (p = .03). Thirty eight percent of the subject complied with PFME after 3 years ; 38.90% after 2 years, 42.10% after 1 year and 65.20% after 6 months. The amount of SUI decreased after 6 months in the case of compliance with PFME (p = .01). In conclusion, when the subject complied with PFME, the amount of SUI, discomfort in daily life and dyspareunia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months after PFM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PFME should not be confined within once and that revaluation is needed at least every 6 month after PFME, giving the patients support and help continuously. In addition, if there's no improvement on the symptoms of SUI even though PFME has been complied with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ether the method in compliance with PFME was wrong or the subject need additional treatment such as medication or a surge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