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성희-
dc.creator백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44-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attempt to consider whether xylitol and sorbitol influences on the saliva flow rate, pH,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and immunoglobulin levels, and thus have an influence on oral health and relieved xerostomia in the Elderly(mean age : 69.26±4.77 years).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based on the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For 6 weeks from July to August 2003, 10 subjects in the xylitol treatment group had 5.2gm of xylitol a day by chewing, and 9 subjects in the sorbitol treatment group also had 5.3gm of sorbitol a day by chewing.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subjects visited the institution once a week, and measured their saliva flow rate, pH,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and the levels of IgA, IgG, and IgM. Xerostomia was measured by the subjective reports of xerostomia by Fox (198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the SPSS(version 11.0) program to examine the time-dependent effects of xylitol and sorbitol on the saliva flow rate, pH,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immunoglobulin levels, and xerostomia.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saliva volume was 663.11ml per day. 2. As time proceed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ral health index and xerostomia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within the xylitol and sorbitol treatment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time-dependent difference in the oral health index. 3. Xylitol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aliva flow rate, pH,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and immunoglobulin (IgA, IgG, IgM) levels, and xerostomia as time proceeds. 4. Sorbitol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all the indexes. 5. Xylitol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aliva flow rate than sorbitol, while sorbitol was more effective for buffer effect of pH,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and immunoglobulin levels than xylitol. This difference could be attributed to the unique ingredients of xylitol and sorbitol.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lderly individuals can maintain their oral health through proper management. Xerostomia increasing with age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the ingredients or quality of saliva as well as the decreased volume. Chewing of the gums containing xylitol or sorbitol increased saliva secretion, caused pH buffer effect of saliva, and elevated the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and immunoglobulin levels in the saliva. This result has a significance beyond a mere increase of saliva flow rate in terms of the prevention of infection by increasing antibacterial ingredients in elderly population. ;본 연구는 자일리톨, 솔비톨이 타액의 분비율, pH, 총 단백질 및 면역글로불린 농도에 변화를 유도해 노인의 구강 건강과 구강 불편감 완화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2003년 7월 1일부터 8월 20일 까지 6주 동안 자일리톨 처치군 10명, 솔비톨 처치군 9명, 대조군 8명으로 나누어 자일리톨 처치군은 자일리톨 5.2gm/day, 솔비톨 처치군은 솔비톨 5.3gm/day을 저작하도록 하고, 대조군은 아무 처치도 하지 않고, 매주 1회 기관을 방문하도록 하였다. 구강 건강에 대해서는 안정시와 자극시 타액 분비율, pH, total protein 및 면역글로불린 IgA, IgG, IgM의 농도를 지표로 측정하였고, 구강 불편감은 Fox(1987)의 구강 내 자각증상 점수를 가지고 반복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sio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자일리톨과 솔비톨의 타액 분비율, pH, 총 단백질 및 면역글로불린 농도,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9.26세였으며, 현존 치아수는 평균 21개, 우식을 경험한 치아수는 평균 9.11개로 나타났으며, 1일 총 타액 분비량은 663.11ml로 나타났다. 시간경과에 따라 자일리톨 처치군과 솔비톨 처치군, 대조군 세 집단간에 구강건강지표와 구강 불편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일리톨 집단과 솔비톨 집단 내에서는 구강건강지표와 구강 불편감에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일리톨 집단 내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시와 자극시 타액 분비율, pH, total protein 및 면역글로불린 IgA, IgG, IgM 농도, 구강 불편감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p< .05), 솔비톨 집단 내에서도 자극시 타액 분비율, pH, total protein 및 면역글로불린 IgA, IgG, IgM 농도, 구강 불편감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p< .05). 그리고 특히 타액 분비량 변화에서는 자일리톨이 솔비톨에 비해 더 유의한 수준에서 효과를 나타냈으며, pH, total protein 및 면역글로불린 농도 변화에서는 모두 솔비톨이 자일리톨보다 더 유의한 수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일리톨과 솔비톨이 가진 고유 성분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노인의 구강 불편감은 타액 분비율의 감소 이외에도 타액의 성분 변화 등 타액의 질 변화와도 관련될 가능성이 높으며, 자일리톨과 솔비톨 저작을 통한 구강 관리는 타액의 양과 질의 변화를 유도해 노인의 구강 건강을 도모하고 구강 불편감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인에게 있어 구강 내 타액 분비율 증가와 더불어 항균성분 증가를 통한 감염 방지라는 측면에서 전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6 II. 문헌고찰 = 7 A. 노인의 구강 건강과 구강 불편감 = 7 B. 자일리톨과 솔비톨의 효과 = 14 III. 연구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19 C. 연구도구 = 20 D. 연구진행절차 = 24 E. 자료분석방법 = 26 F. 연구의 제한점 = 27 IV. 연구 결과 = 28 A. 집단간 동질성 검증 = 28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8 2. 대상자의 구강 건강 관련 특성 = 29 3. 대상자의 구강 건강지표 = 31 4. 대상자의 구강 불편감 = 33 B.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표와 구강 불편감의 차이 = 33 C.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표와 구강 불편감의 차이 = 35 D. 대상자의 구강건강지표와 구강 불편감 간의 관계 = 37 E. 가설검증 = 39 가설 1. 처치 후 타액 분비율의 비교 = 39 가설 2. 처치 후 타액의 pH 비교 = 43 가설 3. 처치 후 total protein 농도의 비교 = 46 가설 4. 처치 후 면역글로불린 - IgA 농도의 비교 = 49 가설 5. 처치 후 면역글로불린 - IgG 농도의 비교 = 52 가설 6. 처치 후 면역글로불린 - IgM 농도의 비교 = 55 가설 7. 처치 후 구강 불편감의 비교 = 58 VI. 논의 = 61 A. 노인의 구강 건강과 구강 불편감 = 61 B. 자일리톨과 솔비톨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효과 = 67 C. 자일리톨과 솔비톨이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 73 VII. 결론 및 제언 = 74 A. 결론 = 74 B. 제언 = 77 참고문헌 = 80 부 록 = 103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74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일리톨과 솔비톨이 노인의 구강 건강과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ix,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