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신화를 주제로 한 무용에 나타나는 표현 특성 연구

Title
신화를 주제로 한 무용에 나타나는 표현 특성 연구
Authors
김성숙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신화무용표현 특성무용 표현처용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의 감정적 측면을 다룬 신화적 주제라는 공통점하에 각각 다른 문화의 무용예술이 어떻게 표현되며 그 표현적 특성이 어떠한 민족적 성향을 갖는지를 파악해 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우선 신화의 개괄적인 면을 살펴 보았고 신화, 문화, 그리고 민족성은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신화적 주제가 무용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신화에 근거하고 인간적 갈등을 예술로 승화시킨 한국의 "처용무"와 미국의 "마음의 동굴"을 거시적 특성과 미시적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그 내용을 신화적 측면, 구성적 측면, 움직임 측면으로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신화적 측면에서 보면 "처용무"와 "마음의 동굴"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 심리인 질투, 분노의 공통된 주제를 다루고 있고 용과 뱀이라는 유사한 종류의 동물로 신화의 이미지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반면 질투, 분노의 인간적 심리를 "처용무"에서는 개인의 내면에서 초월해 버리는 반면 "마음의 동굴"에서는 죽음이라는 즉각적이고 무서운 복수로 해결책을 찾는다. 구성적 측면에서도 표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패턴의 형태, 스토리의 전개방식, 무용수에의 인물 성격 부여, 그리고 음악적인 면에서 "처용무"는 추상적인 반면 "마음의 동굴"은 사실적인 작품의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신화적 측면과 구성적 측면에서의 차이점을 미루어 보아 두 무용작품은 각 문화를 특징짓는 민족적인 특성을 반영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움직임 측면에서도 두 무용작품은 색다른 표현적 특성을 갖고 있다. "처용무" 는 전체적으로 절제된 동작으로 내용을 이끌어 나가고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이는 주요 움직임인 한삼의 뿌림과 보법의 표현에 기인한다. 한삼의 곡선으로 마무리 짓는 선은 우리 민족의 부드러운 성정을 말해 주고 힘찬 보법은 어떤 것에도 굴복하지 않는 꿋꿋한 민족적인 기질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낙화유수'의 모든 것을 털어내고 초월하는 동작은 남을 용서 할 줄 아는 우리 조상의 미덕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처용무"에서 보이는 표현적 특징은 한국 민족의 결연하고 절제된 성격과, 꿋꿋한 민족적 기질, 아름다운 관용과 용서의 미덕을 지닌 민족의 특성에 기인 한다고 하겠다. "마음의 동굴"은 각 인물별로 공연자의 신체느낌과 의도에 의해 표현적이고 사실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감을 알 수 있다. 또한 메디아의 복수는 우리 민족의 관용과 용서의 미덕과는 상반된 원인과 결과라는 방식의 서양의 합리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마음의 동굴"에서 보여지는 표현적 특징은 미국 민족의 진취적이고 직설적이고 표현적인 민족적 특성에 근거 한다고 본다. 이상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문화의 무용작품 속에서 보여지는 표현 특징으로 민족의 성향이나 기질 등을 엿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비록 신화적 주제라는 공통점을 갖는 "처용무"와 "마음의 동굴"의 제한된 비교 연구였지만 춤 속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표현 방식의 차이에서 특징을 도출해 냄으로써 민족성과의 연관성 획득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한국 춤의 세계화를 위한 과정으로 우리 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기틀을 마련하고 한국 춤의 새로운 창조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The main focus of this study rests on elucidating the ethnic inclination of dance works based on two representative mythologies of two different cultures. All overview of mythology in general is follow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myth, culture and ethnic characteristics. A brief history of mythological themes being adopted for dance works is also review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macroscopic and microscopic investigation of Korean dance, "Cheoyongmoo" and American counterpart, "Cave of the Heart" is performed. The analysis will be approached in three ways that consist of mythological, organizational, and motional aspect of the dances. In the mythological aspect, "Cheoyongmoo" and "Cave of the Heart" commonly adopt the image of a snake, although in "Cheoyongmoo" the image is rather implicit in the dragon. The two works are also similar in the overall theme, which deals with the fundamental human feelings of jealousy and anger. The process, however, of deal ing with the feelings are quite different; for "Cheoyongmoo", the protagonist transcends the feelings within him, while in "Cave of the Heart", an immediate and ferocious retaliation is in place. Contrasts can also be drawn in the organizations of the two dances. The shapes of the so called floor pattern, the manner in which the stories unfold, the endowment of character to each dancer, and tile music ill which the dances are performed all contribute to the overall organization of the dances. Observation of the characteristics reveals that "Cheoyongmoo" is abstract in its expressions while "Cave of the Heart" is realistic. As seen from the contrasts found in the mythologic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the two dance works are representa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thnic group which gave birth to the pieces. The motional aspects of the two dances als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thnic group. The messages in "Cheoyongmoo" are communicated through moderated movements with waves of "Hansam" (the long, white sleeves worn by Korean dancers participating in Royal dances) and unique steps. The finale decorated by contours of "Hansam" demonstrates the gentle nature of Korean character while the energetic steps manifest the firm temperament that does not yield to tribulations. The major movement of emptying called "Nakhwayousoo", which can be directly translated into "fallen blossoms on a stream", reflects the ever-forgiving and transcendental attitude of the Korean people. The overall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und in "Cheoyongmoo" can thus be concluded to stem from the firm, moderate, tolerant and transcendental nature of the creators. "Cave of the Heart" is expressive and realistic in its storytelling, with each character granted a unique touch of movements and purposes. The revenge taken by Medea reflects the rationality of "cause-and-effect" prevailing in the Western philosophy. The overall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und in "Cave of the Heart" are thus progressive and the messages are communicated straight-out.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dance piece also stems from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American people. The ethnic characteristics are explored through expressive and thematic nature of two dances based on mythologies belonging to each culture. Although present work is limited to the comparison of "Cheoyongmoo" and "Cave of the Heart", a broad range of differences in many aspects of the dances are deduced, relating to the nature of each ethnic group. Through the process, present work is aimed at consolidat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dance in the global dance stage, as well as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