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國民學校 低學年의 社會科 探究授業에 關한 硏究

Title
國民學校 低學年의 社會科 探究授業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inquiry teaching of social studies for lower grades of the primary school : mainly through taba's inductive model and massialas' social inquiry model
Authors
金永子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사회과탐구수업TabaMassiala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and for demonstrating how it is fessible for both the Massialas' social inquiry model and Taba's inquiry model of inductive stratege to be applied to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Of the two models the latter has already proved to be applicable to the higher grades of Korean primary school by the other studies. To cla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s the results from the tape recordings of the teaching process and other teachers' observation of the class teaching have been analyzed, and the difficult steps of the two models in teaching have also been examined. The resultant finding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 1. Massialas' social inquiry model seems infeasible in application and generalization due to the facts; 1) Six steps of the inquiry processes being too hard to be applied to lower grades, only some intellectual children had to be chosen in a crowded beterogeneous class, 2)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ing teachers should be trained with the inquiry teaching technique, 3) the development of proper materials should be proceded. 2. With the positive findings in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Taba's model is applicable to the lower grades of Korean primary school; 1) Most of class members being actively participate, the inquiry processes can be applied even in the heterogeneous class, 2) with the detailed suggestions of leading questionaires teachers can easily get the way to practice and use the model in teaching plan 3) Including varied forms the stratege model can offer a favorable alternative regardless of the children's intellectual level.;社會의 급격한 發展은 敎育過程의 改造와 敎育方法의 革新을 招來하였으며, 우리나라도 社會科 敎育에서 內容의 構造化와 探究 過程의 學習 活動이 강조됨으로써 社會 變化에 대응토록 하였다. 社會科 授業에 適用하기 위한 探究 授業 模型이 여러 學者에 의해 構想되었으나 우리나라 敎育 現場에 보편화되지 못하였음은 물론 여러가지 探究 授業 模型을 現場과 관련한 硏究도 不足한 실정이다. 本 硏究는 이와같은 관점에서 이미 高學年을 中心으로 우리나라에서의 適用 可能性이 밝혀진 바 있는 Massialas의 社會 探究 摸型이 低學年에도 效果的으로 適用될 수 있는가와 Taba의 歸納的 전략에 의한 探究 模型이 低學年에 適用한가를 探索하였다. 理論 硏究를 通해 Massialas의 模型과 Taba模型의 特性을 살피고 各 模型에 立脚한 授業案을 作成하였다. 低學年 (1, 2學年)을 對象으로 直接 授業을 實行하였으며 錄音 記錄과 同學年 敎師의 참관에 의한 結果를 分析하여 두 模型의 授業 過程에서 어려운 단계와 適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살피므로 適用 可能性을 判斷하였다. 本 硏究로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Massialas의 社會科 探究 模型에 의한 授業에서는 1. 6단계의 探究 過程이 低學年에게 벅찬 절차로 多人數 異質的인 學級 편제에서는 一都 知的 優秀生만이 對象으로 제한되었고, 2. 授業의 效率約인 운영을 위해서는 探究 授業의 기술을 익혀야 하는 敎師의 자질 문제가 있고 3. 적절한 資料 開發의 문제가 따르므로 우리나라 低學年에서는 Massialas의 社會 探究 模型의 적용 가능성 내지 보편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Taba의 歸納的 전략에 의한 授業에서는 1. 學級 兒童의 대부분이 能動的으로 참여하므로 多人數의 異質的인 편제에서도 探究 進行이 可能하고 2. 단계를 이루는 유도 질문이 具體的으로 제시되어 있어 교사는 模型을 익혀 그대로 적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授業 計劃과 授業進行이 용이하며 3. 여러 模型을 포함한 전략이므로 題材나 對象의 수준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Taba의 歸納的 模型은 우리나라 低學年에 적용 가능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