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남경-
dc.creator장남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0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46-
dc.description.abstractCostume has been considered to he a field of formative art in those modern days and understood as an ideal medium to satisfy an individual creative desire and express a personality. Thereupon, active study, which is based on the new knowledge, correct information and the trend of the times, is being required and the trial to correlate costume and other fields of art has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esentation of infinite possibility inhered in costume and the expansion of expression area of costume. The presentation was originated from the analysis of historical evolution of object, which is the course of enlargement of area of art by the direct introduction of anything existed in our life to works.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s a theoretical research, the concept, origination and historical evolution of object were investigated and the patterns of object were analyzed. The application of art in the modern costume was studied, especially how the object had been introduced and expressed in the modern costum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making works. The former was performed by literature review and collection of related works, the latter was based on the result of the former. The works, five practical works and three design illustrations, were made by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new expression elements and practical aspects. By the above mentioned studies and works, some results could be deduc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creative inspiration could be induced to costume designer and a vivacity could be presented to the costume life of mass people by costume design that agrees with other formative arts. Second, costume could be understood to be a sort of moving formative art by introduction of formative theory developed In the history of art to costume wore in the human body. Third, various introduction of object make idea fixe for a matter discarded and at the same time give ability by the thought in that everyday thing can be conceived as a beautiful one. Fourth, By the introduction of extremely subjective object to costume design, a free creation and witty, interesting expression effect could be presented. Fifth, living goods included in these works is newly recognized to be freely changeable medium of costume, as well as affection to living, and all the more it has value as object to select, add and subtract in costume expression because it is in accord with modern sense.;현대사회에 있어서 복식은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 간주되고 있으며, 개인의 창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개성을 표현케하는 이상적인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지식과 올바른 정보, 그리고 시대성을 바탕으로 한 활발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 한 방법으로 복식과 다른 예술분야와의 접목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존재하는 모든것중 무엇이든 선택하여, 직접 작품에 도입함으로써 예술의 영역을 확대시킨 오브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조형적 원리를 복식에 적용시켜 복식에 내재된 디자인의 무한한 개발 가능성과 표현영역의 확대를 제세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고찰로서 오브제의 개념 및 발생과 미술사적 전개를 살펴보면서, 오브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20세기 미술이 복식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그 중에서 오브제가 현대복식에 어떻게 도입되어 표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의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수집하여 정리, 분석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은 새로운 표현요소의 도입에 의한 조형성과 실용성의 겸비에 중점을 두었으며 실물 5점과 일러스트레이션 3점을 합하여 총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조형예술과 맥락을 같이하는 복식디자인을 통해 복식디자이너에게는 창조적인 영감을 유발시킬 수 있었으며, 실용성을 위주로 하는 일반 대중의 복식생활에는 활력을 줄 수 있었다. 둘째, 미술사에 전개된 오브제의 조형원리를 인체에 입혀지는 복식에 적용함으로써 복식을 하나의 움직이는 조형예술로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복식에 있어서 오브제의 다양한 도입은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게 함과 동시에, 일상적인것을 아름다움의 대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였다. 넷째, 극히 주관적인 오브제를 복식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자유로운 창작과 함께 재치있고 흥미로운 표현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다섯째, 본 작품에 도입된 주변의 생활용품들은 단순한 생활의 애착에서만이 아니라 조형의 자유로운 변형적 매체로서 새롭게 인식되었으며, 현대적 감각과 일치하여 복식표현에 있어서 더욱 풍요로운 선택과 가감의 대상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오브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 3 A. 오브제의 개념 및 발생 = 3 B. 오브제의 미술사적 전개 = 6 C. 오브제의 유형별 분석 = 13 Ⅲ. 미술과 복식 = 22 A. 20세기 미술이 복식에 미친 영향 = 22 B. 오브제를 도입한 복식디자인 = 27 Ⅳ. 작품제작 및 해설 = 40 A. 제작의도 빛 방법 = 40 B. 작품해설 = 43 Ⅴ. 결론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26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복식디자인-
dc.title오브제의 조형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3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