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元愛 .-
dc.creator李元愛 .-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0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9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53-
dc.description.abstract국 영문초록 수록;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간장과 된장의 종류와 이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앞으로 이들 장류의 소비 성향을 예측하는 데 있다. 장류의 소비 성향은 주부의 연령, 결혼기간, 결혼 후 서울 거주기간, 학력, 생활수준, 가족 구성원의 수, 가족의 형태, 주거 형태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것이라 가정하여 이러한 요인과 소비 성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민 한 사람의 장류 소비량은 가정생산간장의 경우 해마다 감소 추세에 있으나 된장의 소비량은 별로 변화하지 않았다. 2) 간장의 공장 생산량은 점차 증가하였고 가정 생산량은 별로 증가하지 않았으나 된장은 공장생산이나 가정생산이 모두 별로 변화되지 않았다. 3) 가정에서 장류를 만들 때 대부분 1년에 한번 3월에 담그며 한번에 담그는 양은 원료콩으로 하여 1가구당 1말이 가장 많았다. 4) 가정에서 장류를 만들 경우 점차 개량식 메주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5) 가정제품과 공장제품의 선호도를 보면 대부분 가정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나 용도에 따라 병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6) 가정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기호성 때문이 가장 높았고, 공장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시간 및 노력의 절약 때문이 가장 높았다. 7) 가정의 고유한 음식 맛을 지키기 위해서 가정에서 장 담그기를 계속하겠다는 의견이 크게 나타났다. 가정에서 장 담그기를 중단하는 조건으로는 믿을 수 있는 공장제품이 생산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장류 소비 성향이 앞으로 점차 공장제품으로 바뀔 것으로 생각된다. 가정에서 만드는 장류를 선호하는 이유는 기호성 때문이 가장 높은데 간장은 우리의 전통적인 미각에서 점차 공장제품으로 가까와지고 있어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된장의 경우는 아직 미각적인 측면에서 재래적인 것에 집착하고 있으므로 더욱 개발을 해야 하겠다. 또한 공장제품의 품질관리 시 위생 문제를 철저히 하여 소비자가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여야겠다. 가정에서 장을 담그는 경우에는 개량식 메주를 많이 사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개량식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개량식 담금법에 대한 교육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될 것이다.;The theme of this study was to forecast the consumption pattern of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s by analyzing the processing methods and preferences of soy sauce and paste which are consumed by Korean household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consumption under the presumption that the consumption of fermented soybean foods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go of housewives, the length of marriage life, the residence ported In Seoul, educational background, standard of living, numbers of family, the family system, and the type of reside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Seeing the consumption trends of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s, the indigenous soy sauce has decreased year by year while soybean paste has shown little change. 2) In case of soy sauce, commercial products have increased gradually whereas home-made products remained unchanged. On the other hand, the quantity of soybean paste has not changed either in commercial or home-made products. 3) Normally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s were made in March once a year in the home. The average quantity of raw soybean used for these was about 20 liters per household. 4) For the home-made fermented soybean foods,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improved meju. 5) Between home-made and commercial products, the former is preferred by most housewives, but there are many cases of using both together for the different purposes. 6) Seeing the reason of preference, the taste is high merit for home-made and the saving of time and labor is for commercial products. 7) Every family has the opinion that the making of indigenous fermented soybean foods at home should be continued to preserve the traditional tastes. Haying the reliable factory products is considered as the necessary condition which can substitute home-made goods.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is the forecasting that the consumption trends of commercial products will be increased gradually. The major reason of preferring home-made products is their taste, and accordingly, the consumption of soy sauce is increasing as its taste becomes closer to traditional one. But it is needed to improve the taste of soybean paste since Korean people still slicks to the traditional taste of indigenous soybean paste. Another Important thing is to produce reliable goods by keeping sanitation conditions through good qualify control. It is forecasted that improved meju will be used much more to make indigenous fermented soybean foods at home, and in this case, education for Improved way of making must be done more positively since the knowledge among the housewives is still in suffici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의 방법 = 3 A. 조사대상 = 3 B. 조사내용 및 방법 = 3 C. 조사자료의 처리 = 3 Ⅲ. 연구결과 및 고찰 = 5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상황 = 5 B. 장류 소비량 추세 = 10 C. 장류 생산현황 = 12 D. 장류 제조법에 대한 선호도 = 20 E. 장류별 생산 종류에 대한 선호도와 선호이유 = 25 F. 장류 소비성향 미래예측 = 37 Ⅳ. 요약 및 결론 = 39 참고문헌 = 42 부록 = 44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11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장류-
dc.subject소비성향-
dc.subject미래예측-
dc.subject제조법-
dc.title장류 소비성향과 그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SUMPTION PATTERN AND FUTURE FORECASTING OF SOY SAUCE AND PASTE IN KOREA-
dc.format.page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