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9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9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988-
dc.description.abstractEfforts are being made to create formative styles of fashion in the field of costume art as a variety of artistic possibilities have been tested with the trend of socially extended modern formative art. Fashion designers, with such trend, have gone for and are still going for an approach of combining costume with painting; both have strong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in the they exist as such fine arts that deal with colors and forms in the context of art. In addition, the styles of painting have given fashion designers a new motive in costum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costume by tracking how the changing forms of painting from the twentieth century supplied fashion designers with unique motives, to apply the Mondrian's system of abstraction - the system that led the modern abstract painting field by simplifying the object and proved the world of abstraction was geometrical, functional as well as imperative by 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with pure forms of the three primary colors - into the fashion design for functional costumes with simple compositions, and finally,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new design via adopting Mondrian's world of abstraction on costume design and building up the gympathy between painting and costume.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made up of an observation of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and modern painting and of the flow of the art trend from the twentieth century. Also, the study includes the review of the artistic world of Mondrian's painting and the diverse works from the applications of his painting. For this study, 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reference works have been prepared on the basis of documents reference. Also, presentation of works was rooted from the same reference. In the production stage, stress was put on the simple but characteristics expression that utilized the application from abstracting various objects with P. Mondrian's abstraction system. Consequently, six pieces of actual clothes and two of illustrations were presented under the same emph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ynamic and formative art has been pursued to expand the sense of three dimensional perspective; the sense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plane paintings has hereby been visualized through the harmony with human body from the actual work of the color contrast and lines from P. Mondrian's abstraction system. Secondly, it was found that P. Mondrian's abstraction system had made it possible to develop various forms of design through the formative composition of different types of forms and senses arisen from designer's analysis of new ideas and motives. Finally, it was possible throughout the study to create modren designs that coincide with the simple, functional, formative and economy-oriented system of mass production in this post industrial society when the costume was designed with the object simplified application of P. Mondrian.;현대에 이르러 조형예술이 사회전반에 파급되어 다양한 예술적 가능성이 실험되어짐에 따라 복식예술분야에서도 조형양식과 관련된 패션을 창조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경향에 따라 복식디자이너들은 색채와 형태를 구성하는 미술의 영역으로서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복식과 회화의 접근을 시도해 왔으며 또한 회화의 양식은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모티브를 제공해 주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이후 변화하는 양식에 따라 독특한 모티브를 제공해 온 회화와 복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상물을 단순화하고 감축시켜 수직·수평선과 삼원색 등의 순수조형으로 기하학적이며 기능적이고 절대적인 추상세계를 입증하여 현대추상회화를 이끌었던 P.몬드리안(Piet Mondrian:1872~1944)의 추상체계의 표현법을 복식디자인에 응용하여 단순한 구성을 기능적 현대의상으로 디자인하고 나아가 그의 추상체계를 복식디자인에 도입시킴으로써 회화와 복식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20세기 미술사조의 흐름과, 현대 회화와 패션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P.몬드리안의 예술세계와 그의 회화를 응용한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수집하여 정리, 분석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은 P.몬드리안의 추상체계를 도입, 다양한 대상을 추상화한 결과를 응용하여 단순하고 개성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디자인하여 실물 6점과 디자인 제시 2점을 합하여 총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몬드리안의 추상체계를 도입 응용하여 수직·수평선과 색의 대비로 실물을 제작한 결과 인체와의 조화를 통해 평면적인 회화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3차원적 입체감을 확대하고 복식의 동적 조형예술을 추구하였다. 둘째, P.몬드리안의 추상체계는 복식을 구성하는데 있어 새로운 아이디어와 디자인 모티브를 제공하여 디자이너의 분석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와 감각의 복식을 조형적으로 구성하게 해 줌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전개할 수가 있었다. 세째, 모든 대상물을 순수조형으로 단순화시킨 P.몬드리안의 추상체계를 복식에 응용, 디자인한 결과 단순하고 조형적이며 기능적이고 경제성을 고려하는 현대산업사회외 신속한 양산체제에 부합되는 현대적 감각의 복식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3 A. 20세기 미술의 흐름 = 3 B. 회화와 패션 = 7 C. P. 몬드리안 예술의 전개와 그의 회화를 응용한 디자인 = 22 Ⅲ. 작품 제작 = 33 A. 제작 의도 = 33 B. 제작 방법 = 33 C. 작품 분석 = 35 Ⅳ. 결론 = 67 참고문헌 = 68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598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몬드리안-
dc.subject현대의상-
dc.subject조형예술-
dc.subject추상화-
dc.titleP. 몬드리안 표현법에 의한 현대의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ASHION DESIGN USING MONDRIAN'S WAY OF EXPRESSIONS-
dc.format.pagevi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