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에 관한 연구

Title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BASED ON A SYSTEM APPROACH
Authors
김연정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재정복지가정복지재정관리가정관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 of resources and demands, family financial management and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by applying a system approach.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according to the Input variables which consisted of resources and demands?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according to the throughput variables which are the family financial management? 3. How much are the independant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4. How strong are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and all variables affecting it?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it was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by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were colleo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hose respondent were 455 housewive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NOVA, F-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exceeds the middle level. It had differanc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resources variables such as age of housewife, education level of housewife, existence of housewife's occupation, occupation of househead, per capita income, debt/net asset ratio, and according to demands variables such as aspiration, expectancy, perception of financial progress, relative deprivation. 2.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according level of family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had differences significantly. Therefore, the higher family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the higher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3. Among all variables affecting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aspiration has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and per capita income, occupation of househead and family financial management variables are in this order. 4. Among all variables affecting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aspiration, occupation of househead, per capita income and financial management variables had direct effect on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Besides housewives' education level, aspiration and per capita income had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family financial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ttributed to enhance the family financial management strategy for improving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nd to find the causal effect of other variables affecting on the subjective financial well-being among urban households through system model.;본 연구는 도시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 수준을 체계론적 관점에서 규명함으로써 가족이 열망하는 재정복지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기계관리 전략과 앞으로의 재정복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는 자원변수와 요구변수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일 것인가? 둘째, 도시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는 가계관리능력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일 것인가? 셋째, 도시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넷째, 도시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와 관련 변수와의 연관관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측정도구를 작성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주부 455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분산분석(ANOVA), F-test,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경로분석(Path Analysis)등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소득적정도, 재정안정도, 재정문제곤경도 척도로 구성된 주부의 주관적 재정복지 척도는 중간수준 이상의 재정복지 수준을 나타냈으며, 재정복지 수준은 자원변수인 주부연령, 주부학력, 주부의 직업, 가구주직업,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 부채대 순자산의 비율과 요구변수인 열망성취도, 기대성취도, 상대적 박탈감, 경제수준상승감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주부의 주관적 재정복지는 가계관리계획과 가계관리수행을 합한 가계관리에 따라 의미있는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어 가계관리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재정복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중 열망성취도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은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 가계관리, 가구주의 직업순으로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한 제 변수의 설명력은 63.5%이다. 넷째,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한 인과관계는 가구주직업,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 열망성취도, 가계관리의 직접효과가 있으며, 매개변수인 가계관리를 통한 간접 효과는 주부학력,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 열망성취도로 체계적인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도시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수준은 자원과 요구의 투입변수와 가계관리인 변환변수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 주부의 연령이 신혼기이거나 중년기일 때, 주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주부의 직업, 가구주직업이 전문직 일때, 1인당 월평균 가계 소득이 많을수록, 순자산대 부채의 비율이 제기되지 않을 때, 열망성취도, 기대성취도, 경제수준상승감이 높을수록, 상대적 박탈감이 낮을수록 주관적 재정복지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가계관리는 재정복지수준을 강화시켜주는 요인으로 주부의 가계관리 능력이 높을수록 재정복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한 제 변수들이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가구주의 직업이 전문직일수록,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이 많을수록, 열망성취도가 높을수록, 가계관리능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해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주부의 주관적 재정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변수인 가계관리는 주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이 적을수록, 열망성취도가 높을수록 주부의 가계관리수준이 높아졌다. 또한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한 자원변수인 가구주직업과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의 경로효과는 가구주직업이 가계소득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주부의 가계관리능력과 관계가 적은 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은 소득 수준의 증가로 인한 경제수준의 향상이 가게의 긴축요인을 많이 제거하기 때문에 가계관리의 중요도가 다소 약화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영향력은 미약하여 전체적으로 주관적 재정복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망성취도는 주관적 재정복지를 가장 높게 설명하는 변수로 효과적 가계관리를 통해 낮은 열망성취도를 보상할 수 있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주관적 재정복지의 경로모형에서 가계관리능력은 매개변수로서의 영향력은 다소 약하나 투입과 산출을 연결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재정복지에 대한 체계모델이 검증되었다. 가정의 객관적인 경제적 여건외에 열망성취도 등의 사회심리적 비교기준이 주관적 재정복지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중 1인당 월평균가계소득과 열망성취도가 가장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가계관리능력의 수준에 따라서도 이러한 가정의 객관적, 주관적인 환경을 보상할 수 있는 충분한 영향력이 있어 가정의 주관적 재정복지 수준을 다르게 인식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인 가게정보 획득전략 등의 가계관리 수행에 대한 주의와 관심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