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韓國老人의 生活實態 및 價値觀에 關한 硏究

Title
韓國老人의 生活實態 및 價値觀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ves and Views, of Old Men in Korea : with emphasis on the old men of old men's school in Seoul
Authors
黃聖媛.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한국노인생활실태가치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Korean old men are falling into confusion from the rapid transition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in society, domestic modes of living, and views.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what kinds of views and modes of living Korean old men have and how they are adjusted to the actual society of rapid transition. For that purpose hypotheses are established as follows : 1. Modes of living in old men vary with age, and sex. 2. Their social, domestic, moral, and ethical views vary with age and sex. 3. Their accepting attitudes and propensity toward social, domestic, moral, ethical views show somewhat difference, respectively. 4. Old age's social, domestic, moral, ethical view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llege students show negative tendency in accepting attitudes and propensity. 5. Views vary with sub-area. According to the above hypotheses, individual interview method by questionaire was taken. The research term covers 3 times from Jul. 20, 1976 through Sep.10, 1976, from Apr. 10, 1977 through Apr. 17, 1977, from Apr. 25, 1977 through 30, 1977. 200 old men - male 100, female 100 respectively - were taken from 426 persons over 60 years in age, presently attending 5 old men's schools - Joongang, Inwang, Soonyeong, Jeongreung, Namseoul. Since these subjects are confined to residents in Seoul, the result may not represent the common tendencies of the total old men in Korea, but the resultant findings are as follows : 1. Illiteracy forms a high ratio of 57.5 percent, Chinese literature learning 24 percent. Male (43 percent) is lower than female (72 percent) in illiteracy. Three of the five old men's schools were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s, so religion believers occupy a high ratio of 77.5 percent. In special Buddhists form the highest ratio of 34 percent. 2. In marital age, from 16 years to 18 form the highest ratio of 48 percent; over 22, 5 percent in male, 1 percent in female; in marital experience, first marriage forms 92 percent, second marriage 8 percent. Marriage by go-between occupies 92.5 percent, which shows the then matrimonial custom 40-50 years ago. 3. 68.5 percent of them have their spouses and male old age has more spouses than old women. Old age over 70 years in male has their spouses by 70 percent, female 17 percent. This shows the imbalance of old age population in sex. 95 percent of those who have their spouses live together, and only 5 percent live separately. Regarding satisfaction between spouses, 39 percent of male old age show a higher ratio of affirmative satisfaction than 10 percent of female. 4. 92 percent of them receive a regular income, the sources of the income are their children by 74.5 percent. Of the amount of income, below 10,000 won forms 72 percent, 3 percent get a regular income of over 50,000 won. Retiring age from work shows the highest ratio of 62 percent in fifties. 5. Their pocket money covers from 1,000 won to 3.,000 won by 33 percent, from 3,000 won to 5,000 by 24 percent, from 1,000 to 5,000 by 57 percent. Almost all the source of the pocket money are their children. Where old age's dependance upon their children is recognized. 72 percent of male are householder themselves, 21 percent their children householder, but female have their son householders by 66%, themselves or their spouses householders 29 percent. This varies with sex. 28 percent of male have leadership and orders to their family, but 13 percent in female. When a problem occurs, 31 percent of them consult with their children, 14 percent of them play an important and decisive role in probleme¨solving at home, old age's management in property and home economy, shows 11.5 percent. This shows a tendency that old age's absolute authorit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society are considerably extinguishing. 7. In the research of their hope to have jobs, 47 percent of them do not want have a job. Their main meetings are social meetings and leisure enjoyment, by 70.5 percent, while social service and community development service by 14.5 percent. Their desires to their country are national unification and national peace. 8. An average social views of old age shows 2.2, somewhat lower than that of college students 2.8. Old age shows negative tendency in accepting attitudes. In the tone of the society, old age 2.2, college students.2.9 : in human relations, old age 2.1, college students 2.7. The older their age becomes in the accepting attitudes and propensity of the components of views, the lower average marks appear. That is to says the older their age is, more negative attitude they have. 9. Their views of home show an average of 2.0, more negative than social views. In comparison with college students' average 3.4, old age shows utterly negative response in accepting views of home. In family system, old age shows 2.1, college students 3.6; in family life, old age 1.9, college students 3.2. Of their accepting attitudes and propensity to the components of views, like the social views, the older their age is, more negative their attitudes become. 10. Unlike social and domestic views, old age's moral, ethical views show 3.1, a neutral tendency in the acceptance.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old age 3.1 and collegs students 3.2. Toward Views of life and behavioral standard, old age shows 3.3, college students 3.2. Where old age shows more affirmative attitudes than students. Toward traditional ethics and foreign ethics, old age shows 2.8, college students 3.1. And in the accepting attitudes and propensity to the components of views, like social and domestic views, the older their age is, the more negative attitudes they have.;우리나라 老人들은 급격한 社會의 變動과 西歐文化의 導入으로 變化되는 家庭生活 및 價値觀속에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本 硏究는 우리 老人들이 과거의 儒敎的인 生活方式과 價値觀을 갖고서 급격히 變化하는 現 우리社會에 對해서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假說下에 調査하였다. 1. 老人의 生活實態는 年齡·性別에 따라 差異가 있을 것이다. 2. 老人의 社會的, 家庭的, 道德·倫理的 價値觀은 年齡·性別에 따라 差異가 있을 것이다. 3. 老人들은 社會的 價値觀과 家庭的 價値觀 그리고 道德·倫理的 價値觀에 대한 受容態度에 있어서 多少의 差異를 보일 것이다. 4. 老人의 社會的, 家庭的, 道德·倫理的 價値觀은 大學生의 社會的, 家庭的, 道德·倫理的 價値觀과 比較해볼 때 受容態度와 受容性向에 있어서 否定的 傾向을 보일 것이다. 5. 同一한 價値觀 內에서도 下位領域에 따라 差異를 보일 것이다. 위와 같은 假說에 따라 設問紙에 依한 個別面接法을 使用하였다. 調査는 三次(1976년 7월 20일~9월 10일, 1977년 4월 10일~4월 17일, 1977년 4월 25일~4월 30일)에 걸쳐서 實施 되었으며, 對象老人은 5個의 老人再敎育機關(中央老人敎室, 인왕老人學校, 順英老人敎室, 정릉老人大學, 南서울 老人大學)에 출석하고 있는 60才 以上의 老人 426名 中 200名을 男·女 各各 100名씩 選定하였다. 本 硏究는 對象을 서울에 있는 特定機關의 老人으로 限定하였으므로, 우리나라 全體 老人에 對한 一般的인 傾向을 提示한다고 볼 수는 없으나, 本 調査에 依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老人의 實態중 敎育程度는 無學者가 57.5%로 가장 높았고, 漢文修學이 24%로 나타났으며, 男子(43%)에 比해 女子(72%)의 無學率이 높았고, 宗敎에 있어서는 本 硏究의 對象인 老人再敎育機關의 5個中 3個가 宗敎財團에서 設立한 것이므로, 有宗敎者가 77.5%의 높은 比率을 보였으며, 그 가운데 특히 佛敎가 34%로 가장 높았다. 2. 結婚年齡은 16才以上~18才以下가 48%로 가장 높았으며 22才以上의 경우는 男子 5%, 女子 1%로 낮았고, 結婚經歷은 初昏이 92%, 再婚은 8%로 나타났으며, 結婚樣式은 仲媒婚이 92,5%로 나타나 있어 40~50年前 우리 社會의 一般的인 婚姻慣習을 알 수 있다. 3. 배우자 유무를 보면, 배우자가 있는 老人은 68.5% 였으며, 男子老人이 女子老人보다 배우자가 있는 傾向이 높다. 特히 70才以上의 高齡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男子老人은 70%인데 反해 女子老人은 17%로 性差에 따르는 老人人口의 不均衡을 알 수 있었다. 배우자 同居 與否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대부분의 老人(95%)들이 同居를 하고 있었으며, 5%만이 別居하고 있었다. 배우자간의 만족도 調査는 男子老人의 경우 (39%)가 女子老人(10%)에 比해 배우자에 對해서 만족하고 있다의 肯定的인 反應을 보였다. 4. 一定한 收入이 있는 老人은 92% 였으나, 그 收入의 出處는 子女로부터가 대부분(74.5%)이었다. 收入의 액수는 10,000원 미만이 72%여서 대부분의 老人이 生計費는 물론 용돈으로 충당되기에는 부족한 수입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3%의 少數老人은 50,000원 以上의 收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 은퇴연령은 50代가 62%로 가장 높았다. 5. 용돈의 액수를 보면 1,000원以上~3,000원미만이 33%, 3,000원以上~5,000원미만이 24%로 1,000원以上~5,000원미만이 5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용돈의 出處를 보면 子女로부터가 대부분이어서 老人들의 子女에 對한 경제적 依存度를 알 수 있었으며, 용돈에 對해 만족하고 있는 老人은 10%밖에 되지 않아 老人들의 경제적인 불만을 엿볼 수 잇다. 6. 家族關係에서는, 우선 同居現況을 보면 60.5%의 老人이 子女들과 同居하면서 扶養받고 있었으며, 子女들과 別居하며 經濟的으로도 獨立하고 있는 老人 6%에 불과하였다. 長期的인 예측으로는 社會와 價値觀의 變化에 따라 別居指向的 경향이 보인다할지라도 現在 우리 社會의 老人들은 表面的으로나마 子女들과 同居하면서 扶養받고 있는 數가 압도적이라 하겠다. 이와함께 家族內에서의 老人의 役割 및 位置를 보면, 戶主□□□는 男子老人의 경우는 本人이 72%, 아들 21%로 老人이 절대적이었으나, 女子老人의 경우는 66%가 아들이었고, 本人이나 배우자는 29%로 男·女의 相異함을 보였다. 또한 家族에 對한 命令·指導權에서는 命令·指導權이 있다고 한 비율은 男子老人 28%, 女子老人 13%였으며, 子女들이 問題發生時 의논하고 있는 老人은 31%였으며, 問題解決時 中心的, 決定的 役割을 하는 老人은 14%였고, 財産 및 金錢管理를 모두 맡고 있는 老人은 11.5%여서 과거 우리 전통사회에서 老人의 절대적 權限은 다소 소멸되어가고 있는 경향을 엿볼 수 있다. 7. 老人들의 希望事項은 職業所有希望與否調査에서 職業을 갖고싶지 않다가 47%였고, 願하는 모임도 친목단체와 여가선용이 70.5%인데 비해 사회봉사 및 地域發展은 14.5%여서 우리 老人들의 안일한 思考 方式을 보여 주었다. 反面 國家에 對한 希望事項은 南北統一과 나라의 平和가 가장 많았다. 8. 老人의 社會的 價値觀을 보면 平均 2.2로서 大學生의 2.8보다 낮아 老人들이 受容態度面에서 否定的인 경향을 보였고, 社會風朝에 對해서 老人은 2.2, 大學生 2.9였고, 人間關係는 老人 2.1, 大學生 2.7이었다. 價値觀의 構成要素 및 各 主題에 對한 受容性向과 受容態度는 年齡이 높아질수록 平點은 낮아져 高齡者일수록 否定的인 경향을 보인다. 9. 老人의 假定的 價値觀을 보면 平均 2.0으로 社會的 價値觀보다 더 否定的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大學生의 平均 3.4와 比較할 때 老人들은 假定的 價値觀의 受容態度面에서 극히 否定的임을 알 수 있다. 家族制度에 對해 老人 2.1, 大學生 3.6이었으며, 家庭生活에서는 老人 1.9, 大學生 3.2였다. 價値觀의 構成要素 및 各 主題에 對한 受容性向과 受容態度는 社會的 價値觀에서와 같이 年齡이 높아질수록 否定的 경향이 높아졌다. 10. 老人의 道德·倫理的 價値觀은 앞서의 社會的 價値觀l나 假定的 價値觀과는 달리 3.1로 受容態度面에서 中立的인 경향을 보였으며, 大學生의 道德·倫理的 價値觀과 比較해 보면 大學生이 3.2, 老人은 3.1로서, 大學生이 保守的인 價値觀을 갖고 있는지 혹은 老人의 道德·倫理的 價値觀이 變化하는 社會에 對해 다소 適應을 보였는지는 알수 없으나 大學生(3.2)과 老人(3.1)의 差異는 거의 없었다. 人生觀 및 행동규범은 老人은 3.3, 大學生 3.2로 老人이 오히려 肯定的인 경향을 보였으며, 전통윤리와 외래윤리에 對해서는 老人 2.8, 大學生 3.1이었다. 또한 價値觀의 構成要素 및 各 主題에 對한 受容性向과 受容態度는 社會的 價値觀이나 假定的 價値觀과 같이 年齡이 높아질수록 平點은 낮아져 高齡者일수록 否定的 경향이 높다. 本 硏究에서 價値觀에 對한 資料處理方法은 황용연의 大學生의 價値觀 및 관련된 變因에 관한 硏究에서 사용된 5段階評定法을 인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각 설문마다 5단계 평정을 하도 족하여 1점부터 5점까지 比重을 주어 채점하였다. 이때 肯定的 문항에 대해서는 「대단히 찬성」쪽에 5점, 「찬성」 4점, 「찬, 반미정」 3점, 「반대」 2점, 「대단히 반대」 1점을 주었고, 否定的 문항에 대해서는 그 反對로 「대단히 찬성」에 1점, 「찬성」 2점, 「찬·반 미정」 3점, 「대단히 반대」 5점으로 채점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