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鏡心-
dc.creator鄭鏡心-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53-
dc.description.abstract藝術家들의 靈感을 자극하는 마르지 않는 원천인 주위의 森蘿萬象은 藝術의 소재로서의 가치가 無窮無盡하다. 또한 藝術은 보이는 것을 再現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라는 클레(Klee)의 말처럼 다양한 素材중에서 더욱 더 작가의 시선을 끌고 가슴속 깊이 꿈틀거리며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있는 데, 人體는 오묘한 造形美로 말미암아 藝術家들의 끊임없는 대상이 되어왔고 앞으로도 많은 表現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므로 흥미를 느꼈다. 따라서 본 연주의 목적은 人體가 가진 여러가지 균형적인 형태, 그 자체내에서도 충분히 美的 衝動을 불러 일으킬 수 있지만 더 나아가서 人體의 동세변화에 따른 형태를 파악한 후 내면의 감정표현을 수반한 율동성을 포착하여 본 연구자의 지적사고를 융합한 형태의 재창조를 도자作品을 통해 시도해 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造形藝術의 素材로시의 人體에 대한 이론과 함께 人體의 해부학적 考擦을 함으로써 기본구조나 골격을 파악하고 인간에게 있어서의 본능적인 것인 '움직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움직이는 행위자의 내면의 감정표현이나 어떤목적을 수반한 율동성에 대해 살펴본 후 조형물에 나타난 인체의 특징을 문헌 사진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作品제작방법은 모델링 기법을 사용 하였으며 변형되어진 형태의 섬세한 부분은 코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造形化하고자 했다. 그런데 人體의 전체적인 부분을 나타낼 때 이야기거리는 많아지나 조잡해질 우려가 있어 人體의 세부를 생략하고 대신에 흉부나 둔부등 볼륨 (Volume)을 드러내기에 적합한 부분을 誇張함으로써 전체적인 量感과 均衡美를 동시에 살리고자 했다. 따라서 전체적인 분위기는 날카롭기보다는 부드러운 彎曲의 형태를 띄었다. 유약은 백 Matt 유를 기본으로 여기에 철, 염화 코발트, 산화망간, 하늘색 안료, 청록유 등을 섞어 분무 시유 하였고, gas가마 (0.5L/R)로 산화, 환원소성 하였다. 이와같이 '인체를 기저로한 도예연구'를 함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는 사실적인 인체를 본 연구자의 감각에 따른 재해석으로 정신적인 안락감을 맛 볼수 있었으며 주관적일 수 있는 작가 중심적 인체 표현의 올바른 접근에로의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The surrounding undried nature to give stimulus to artist is unlimited as suject matter for arts. And as arts is not to reproduce thing visible to everyone but to create thing seen to him according to saying of kle there is something among various matters to draw special attraction from writer. Human body has been on object as a delicate formative beauty for artist contineously and will provide possiblity in many expressions in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of purpose suggests that humanbody has given artistic stimulus in well balanced formation of human body itself sufficiently but furthermore formative world in human body beauty can be realized of form following sence of changed movement in human body and works in light of aesthetical and artistic view can be realized through pottery works. In addition to theory abouthuman body as subject matter for fomative arts fortheoretical background to do so, this study examines basic construction and scheme of human body by studing human body anatomically and investigates a sense of exercise in general, and futhermore analyzes it through works and literature to express human body or a sense of exercise. I used mostly modeling technique to express 1ively power and a sense of lump faithfully and I tried to make formative arts in expression of delicate parts which is transfornated by a sense of exercise though use of coiling technique. Therefore I tried to make overall volume and balanced beauty realistic simultaneously by overstate proper part to show up breast and heap more vividly, in addition to omitting detailed parts in human body. And so there is a soft curved fomation rather than a sharp one in overall atmosphere. As the above, in order to study the Potter based on nature of human, the meaning of this study was actually able in feeling of sense of confort with re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a sense of researcher. And try best to make a sacrifice in correct spproaching of centuraly human expression of artist to besubj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4 Ⅱ. 理論的 背景 = 6 A. 素材로서의 人體 = 6 B. 人體의 解部學的 考察 = 8 C. 人體의 동세변화 -율동성- = 11 Ⅲ. 造形物에 나타난 人體 특징연구 = 18 Ⅳ. 作品製作 및 解析 = 28 A. 디자인 과정 = 28 B. 作品製作 過程 = 37 C. 作品解析 = 38 Ⅴ. 結論 = 58 參考文獻 = 60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571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체-
dc.subject도예-
dc.subject조형예술-
dc.title人體를 基底로 한 陶藝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OTTERY BASED ON NATURE OF HUMAN-
dc.format.pagev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