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주영-
dc.creator문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52-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beginning of history, man has existed as part of environment, and also has consistently endeavored to improve it. Moreover, the crowded urban environment is the product of human culture and material civ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dustry, and art brings the change of the life environment of man, hence the great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o bring life into this changing environment, man has an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 fine arts, which leads to set the rules in construction by laws to enforce this interest. Thus, this study shows the way of manufacturing environmental ceramic arts with ceramic in creating the esthetic environment that conforms to this age. This study also displays the harmoniza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using materials from traditional culture pushed away by the western civilization. Such intention of mine leads to take a note of "Flower Walls" (Korean traditional ceramic-decorated walls), one of traditional environmental ceramics. With interest in the moldability of fylfot design among many used on walls, I have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origin of fylfot design as well as the general conception of ceramic walls. The aim of this process is to give reference to my works by investigating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structure containing fylfot design and the general traits in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structure. Generally, fylfot design gives straight and standardized feeling. To emerge from this, I have transformed it using straight and curved lines together. The process involves slip casting technique using gypsum mold to express accuracy and to re-mold individual units. Ceramic soil for slip from Mil-Yang is used for its high quality of whiteness. Varios effects are tested by appropriate glaze stain on slip according to forms and traits of individual works or by tempering or spraying glaze. I found materials from environmental ceramic works that have been used for generations. Based on these materials, I have focused my works on ceramic walls in tradition-based modern sense, with embossed quality instead of flat presentation of established ceramic walls. Also I hope that these modern ceramic walls would help to enhance emotions people lack, in their living space in modern citie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have new cognizance of our tradition.;인간은 역사의 시작과 더불어 환경의 일부로 존재해 왔으며, 또한 이 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부단히 노력해 왔다. 특히, 현대에 이르러 많은 인간이 밀집해 살고 있는 도시의 환경은 인간문화와 물질문명의 산물이며 과학·산업·예술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생활환경이 변천되어 환경조건 또한 많은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이렇게 변화된 환경에 인위적으로라도 생명을 부여시켜 호흡하려는 하나의 방법으로 인간은 환경미술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근래에 이르러 그것을 의무적으로라도 시행하키 위하여 건축조례에 규정사항까지 만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대에 부응하는 美的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 도자를 이용한 환경도예물을 제작하되, 서구문화에 밀려나고 있는 우리의 전통문화에서 소재를 찾아 전통과 현대를 접목시킴으로 현대에 살고있는 우리의 감각에 맞도록 전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적인 환경도예라 할 수 있는 陶土제품으로 장식된 '꽃담'에 주목하고, 담에 사용되어진 많은 무늬들 중에서 卍字紋의 조형적 가능성에 흥미를 갖게 됨으로 陶壁에 대한 일반적 개념과 함께 卍字紋의 의미와 기원을 알아보고, 卍字紋이 쓰여진 전통건축 구조를 조사하여 일반적 특징을 고찰함으로서 작품을 제작하는데 참고로 삼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卍宇는 직선적이고 정형화된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느낌에서 탈피하기 위해 직선과 곡선을 병용하여 卍字를 편화, 변형시켰다.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정밀성의 표현과 단위체의 반복성형을 위해 석고형을 이용한 泥裝注入技法으로 통일하여 제작하였고, 태토는 백색도가 높은 밀양 자기토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 작품의 형태와 특징에 알맞게 이장에 착색안료를 첨가시키거나 담금법, 분무법으로 시유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대부터 사용되어 맥을 이어온 환경도예품에서 소재를 찾아내어 그것을 기반으로 기존에 설치되어졌던 陶壁의 평면적인 표현보다는 부조적 성격을 띠면서 전통을 바탕으로 한 현대감각에 알맞은 陶壁을 제작하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이것을 토대로 나아가서는 현대도시 속의 생활 공간에 설치함으로 인위적이나마 대중의 결핍된 정서를 함양시키고자 하는데 조금이나마, 일익을 담당하고자 하였으며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ⅸ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2 Ⅱ. 陶壁의 일반적 개념 = 4 Ⅲ. 卍字무늬에 대한 考察 = 13 A. 무늬의 의미와 기원 = 13 B. 무늬의 고찰 = 19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45 A. 디자인 과정 = 45 B. 작품제작 과정 = 51 C. 작품 해석 = 52 Ⅴ. 結論 = 72 參考文獻 = 74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330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만자무늬-
dc.subject도벽-
dc.subject건축도자-
dc.title卍字 무늬를 응용한 陶壁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CERAMIC WALLS BY MEANS OF FLYFOT DESIGN-
dc.format.pagex, 79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