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柳玟汀-
dc.creator柳玟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제5차 교육과정의 개정으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새롭게 수록된 연암 박지원의 '許生傳'에 관하여 敎育的 受容이라는 측면에서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학교육 일반론에 근거하여 '허생전'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들을 추출함과 아울러 현장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바람직한 문학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교육 지침을 제시하였다. Ⅱ단원은 문학교육의 이론적 토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현대 사회의 병폐를 치유하고 인간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淨化시키기 위하여 문학교육이 필요하며, 문학교육을 "文學現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일체의 의도적 과정 및 결과"로 정의하면서 문학교육의 내용 범위를 작가론적 영역, 반영론적 영역, 작품론적 영역, 수용론적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Ⅲ단원은 '허생전' 교육에서 실제로 다루어져야 할 내용 범위를 고찰한 것이다. 작가론적 영역에서는 연암의 불우한 작가적 생애 속에서 성립된 사상 및 문학관이 形象化되어 작품들로 産出되었으며, 특히 熱河行 이후 그의 학문 · 사상이 완숙의 경지에 도달했을 때 쓴 작품이 '허생전' 임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과, 반영론적 영역에서는 소설사적 측면에서 講談師의 출현으로 소설이 활성화되었던 시기의 작품이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신분 계급의 동요와 실학사상이 고조되었던 시기에 '허생전'이 생산되었으므로 당시의 사회상 및 사회적 모순을 반영하고 있음을 가르쳐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작품론적 영역에서는 '허생전'이 市井에서 流傳되던 설화를 수용하여 자신의 사상을 첨예하게 드러낸 작품으로, 날카로운 풍자적 기법으로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임을 가르쳐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Ⅳ단원은 '허생전' 교육의 실태를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학습 활동 및 단원의 마무리에 배당된 시간이 부족하였으며, 평가 내용 측면에서는 '허생전'의 내용 이해와 관련되는 문항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학습 목표 사항중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는 사항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반응의 측면에서는 소설의 일반적 선호도에 비해 '허생전'에 대한 선호도는 상당히 떨어졌고, 교사의 강조 경향 및 평가 문항 빈도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의 정도에 차이가 났으며, '허생전'의 내용 이해에 비해 형식, 소재의 특성, 문학사적 가치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Ⅴ단원은 '허생전' 교육의 의의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이었다. 학습자는 작가의 정신 세계와의 접촉을 통해 사회화 과정을 겪게 되며, 간접 체험이 가능하고, 삶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認知的 · 情意的 발달을 하게 되며, 민족 문화의 공유로 민족적 同質性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Ⅳ단원에서 검토한 여러 한계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허생전' 교육 실태면의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질 때, 비로소 보다 바람직한 문학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reception of Hoˇ Saeng Jˇon by Park Ji Won(Yon Am), which is newly edited in High School Korean Text Book in accordance with the Fifth Amendment of Curriculum. Instructional material collected from general literature educaion theories and their actual reception in schools are studi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guidelines for desirable literature education. Chapter Ⅱ i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literature education. In this study, literature education is defined as "all kinds of intentional procedures and their results in order for Literature Phenomenon to be desirably realized". The need for literature education is specially required to cure the modern society of its morbid practices and to humanize and purify individual mind.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ion is classified into the domains of the author, the work, the reflection theory, and the reception theory. Chapter Ⅲ is a study on the contents which can be actually included in teaching Hoˇ Saeng Jˇon. In the domain of the author, the facts that Jˇon Am's ideas and literary point-of-views accomplished in his unfortunate life was shaped up into his work, and, especially, Ho Saeng Jˇon was written when his scholastic abilities and philosophy were in their full blooms after his trip to Jˇon Ha must be taught. In the domain of reflection ,theory, it is suggested that the fact that as Hoˇ Saeng Jˇon was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vitalizing novel writing with the apprearance of story tellers, when classes and ranks were in disturbances and practicalism was peaked, it reflected the current soci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must be taught. Chapter Ⅳ shows the results of teaching Hoˇ Saeng Jˇon in high schools. From the point of curriculum, time allotment for classroom activities and the review of learned material to reach the teaching objectives turns out to be short. In the area of evaluation, though absolutely major numbers of questions are given about the comprehension of Hoˇ Saeng Jˇon's story itself, the result shows that not all teaching objectives are properly evaluated. Also, from the view of learners' reaction, their favor to Hoˇ Saeng Jˇon dropped to 50.5% while their favor to a novel reaches 91%.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learners' understanding depending on instructor's aptness to put emphasis on certain facts and the frequency of evaluation items. The study also shows that learner's comprehension on Hoˇ Saeng Jˇon's literary form,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its literrary valu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at on its contents. In Chapter Ⅴ,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Hoˇ Saeng Jˇon and its limitations are studied. A learner may proceed the socialization through the mental communication with the author, have an indirect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what life is like by learning a certain literature. It also helps learner's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Hoˇ Saeng Jˇon can be found in giving a learner an opportunity to acquire the national homogeneity by sharing the national literature.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in actual teaching procedure pointed out in Chapter Ⅳ, more desirable literature educ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ose instructional problems are solved in teaching Hoˇ Saeng Jˇon to high school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 3 Ⅱ. 文學敎育의 意義 = 5 A. 文學敎育의 必要性 = 5 B. 文學敎育의 槪念 = 7 C. 文學敎育의 範圍 = 10 Ⅲ. '許生傳'의 敎育 = 13 A. 작가론적 영역 = 13 1. 燕巖의 生涯 = 14 2. 燕巖의 文學觀 = 17 B. 반영론적 영역 = 22 C. 작품론적 영역 = 26 Ⅳ. '許生傳' 受容의 實態 = 40 A. 교육과정 측면 = 40 B. 평가 내용 측면 = 48 C. 학습자의 반응 측면 = 55 Ⅴ. '許生傳' 敎育의 意義 및 限界點 = 66 A. '許生傳' 敎育의 意義 = 66 B. '許生傳' 敎育의 限界點 = 68 Ⅵ. 結論 = 71 참고문헌 = 74 부록 = 80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196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허생전-
dc.subject교육적 수용-
dc.subject박지원-
dc.subject문화교육일반론-
dc.title'許生傳'의 敎育的 受容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eption of Teaching Ho Saeng Jon-
dc.format.page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