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주희-
dc.creator배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49-
dc.description.abstract彫刻과 舞踊은 모두 3차원의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예술이다. 그러나 舞踊은 표현매체가 인간 스스로의 연기인데 반해서 조각은 그 표현매체가 물질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다. 現代의 舞踊에서는 하나의 동작에서 다른 동작으로 옮겨가는 상황 그 자체를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舞踊에서 중요한 것은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으나 彫刻에서는 이러한 연속적인 동작을 물질로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舞踊을 彫刻으로 표현할 때에는 정지하고 있는 造形的 포즈를 취하여 작가의 내면세계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동작을 개인의 내면세계를 나타내는 주된 수단으로 삼는 舞踊과 물질로 인체 동작을 형상화하여 작가의 내면을 표현하는 彫刻은 상호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舞踊을 물질로 형상화하여 3차원의 공간 속에 재현하는 것은 조각과 무용의 관련성의 측면에서 볼 때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硏究의 目的은 무용으로 표현된 인간의 정서 중에서 사랑, 기다림, 환희, 탄생, 열매, 숨결, 평화의 이미지를 형상화시키는데 있다. 본 硏究의 內容은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미술사에 나타난 무용을 주제로 한 작품을 살펴보고 현대의 무용을 주제로 한 조각을 조형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작품 제작에서는 무용으로 표현된 인간의 정서 중에서 사랑, 기다림, 환히, 탄생, 열매, 숨결, 평화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본 硏究의 方法은 문헌조사와 무용을 주제로 한 조각작품을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41점을 목적표출하여 이론적 배경에 관한 근거로서 제시하였고 분석대상으로 제시된 작품은 석조 2점, 목조 2점, 브론즈 2점, 테라코타 1점이다. 작품분석은 표현된 내용을 조형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의 주제로 한 조각을 무용조각이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量塊는 유기적인 형태를 그리며 상승하는 방향성을 갖고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작품은 「사랑」, 「환희」, 「탄생」이다. 둘째, 空間은 量塊와의 상호견제를 통해서 긴장감을 유발시키면서 주위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특징을 갖는 작품은 「사랑」, 「기다림」, 「탄생」이다. 셋째, 유기적이며 율동적인 형태에 의해 속도감을 갖는 면이 나타났으며 「열매」, 「숨결」, 「평화」가 이러한 특징을 갖는다.;Both sculpture and dance are the art which exists in space and they are expressed by the human hands in common. But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dance and sculpture that the media of the dance is the performance of human, while the media of the sculpture is the substances. In the modern dance, man thinks it very important the process from one pose to another. Therefore the process is very important in danc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express the consecutive poses with substances. So the sculpture has the limitation of the static sculptural pose when it expresses the dance. Thus the dance, the expressive tool of which is the motion in order to express performer's inner beings, and the sculpture, which expresses the inner beings of sculptor with substances, have correlation. So it is meaningful to realize the dance with substances in the three dimension space from the viewpoi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nce and the sculp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image of love, waiting, joy, birth, fruits, breath, and peace in the human sentimen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eatures of the works, the theme of which is dance, from prehistoric ages through modern ages. And I analyzed the features of modern works, the theme of which is dance. And by making works I expressed the image of love, waiting, joy, birth, fruits, breath, and peace in the human sentiments which was expressed by danc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book study and analysis of works in principal. For this purpose I selected 41 works, the theme of which is dance, from prehistoric ages through modern ages, and analyzed them to give the basis of the theory. And my works for the analysis are composed of two stone works, two wooden works, two bronze works, and one terra-cotta work. And I analyzed my works from the viewpoint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 define the sculpture, the theme of which is dance, as dance-sculp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the mass is expressed by the movement with the organic forms and the rising direction. And the works having these characteristics are "Love", "Joy", and "Birth". Second, the space is expressed causing tension through checks between the space and the mass and being defuse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works having these characteristics are "Love", "Waiting", and "Joy". Third, the surface having speed with organic and rythmic forms is expressed. And the works having these characteristics are "Fruits", "Breath", and "Pe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 1 C. 硏究의 方法 = 1 D. 用語의 定義 = 2 Ⅱ. 美術史에 나타난 舞踊彫刻과 繪畵 = 3 A. 先史時代 = 3 B. 古代 = 4 C. 中世 = 7 D. 近代 = 7 Ⅲ. 舞踊彫刻의 造形的 分析 = 9 Ⅳ. 作品製作 및 分析 = 25 Ⅴ. 結論 = 54 參考文獻 = 55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243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형상화-
dc.subject이미지-
dc.subject무용-
dc.subject주제-
dc.subject조각-
dc.title舞踊을 主題로한 이미지의 形象化-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58 p. : 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소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