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과일形態를 素材로 한 陶磁表現

Title
과일形態를 素材로 한 陶磁表現
Other Titles
(A) STUDY OF CUBLIC EXPRESSION OF CERAMICS WHICH USED OF FRUIT FORM
Authors
오미숙.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도자표현과일형태과일문양도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人間은 自然속에서 삶을 영위해 나아가면서 人間의 創造的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많은 素材를 附與받고 큰 원동력으로 삼아왔다. 그러한 自然的 存在중 하나인 과일은 生命 保存과 維持에 基本的 요건이 食生活에 있어서 보조 식량의 일원으로 人間이 한 곳에 定着하여 生活하기 이전 自然的 채취의 方式을 利用하여 人間과 밀접한 相關性을 가져왔다. 現代에 이르러서는 文明 開化와 함께 品種이 改良되고 種類의 다양화를 이루면서 수요도가 매년 增加하는 중요 식품이 되고 있다. 人類 文化의 歷史와 더불어 식생활과 관련이 있는 과일은 탐스럽고 신선한 自然의 이미지를 지니고 계절 감각을 提示해 줌으로써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즐거움과 정신적인 平穩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本 硏究에서는 陶藝에 導入되어 表現된 과일의 特徵을 고찰한바에 의하여 신라의 土器에서 부터 조선조 陶磁에 이르기까지 自然의 審美性과 實用性을 지니고 사회적, 종교적 배경아래 象徵化되어 다양하게 利用되어 왔음을 照明해 보았다. 즉, 과일은 人間의 生活 깊숙이 오랜 세월 동안 時代의 양상에 따라 문화적인 特性에 영향을 받으며 同伴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바른 예술分野에서 예술가의 個性이 强調되어 表現된 과일의 內容을 살펴보고 人間은 自然을 藝術的 表現의 對象으로 삼아 人間의 心像을 통한 再現의 過程으로 끊임없이 美的 追究를 探索하여 왔음을 고찰하였다. 과일에 대한 文獻과 자료를 통한 硏究 過程으로 創作의 對象物이 되어 人間에게 무한한 예술적 靈感을 안겨 준 自然의 産物인 과일을 새롭게 認識하여 自然의 本質과 屬性을 이해함과 동시에 과일이 가지고 있는 造形性을 分析하는 기회가 되었다. 現代에 와서 모든 예술 分野의 양상이 많이 變貌 되어 가는 趨勢에 따라 陶藝에도 순수 예술의 價値가 收容되고 도예가는 주관적인 의식이 投入된 作品을 製作하기에 이르렀다. 傳統的인 감각으로 利用되어 表現된 과일을 새로운 精神에 立脚하여 創造的 思考로 주관하여 造形性을 强調하였으며 오묘한 自然의 攝理가 投入된 自然의 결정체인 과일이 지니고 있는 象徵性을 주관화하여 創造的 表現의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작품을 조형화하는 過程에서는 人間과의 밀접한 관계속에서 附與받은 意味가 바람이 되어 硏究者의 心像에 비쳐진 感動과 體驗으로 이미지를 定立하여 과일을 이루는 자연스러운 形態, 色의 特徵的인 要素를 强調하여 表現 하였다. 製作 方法은 그러한 과일의 이미지가 充分히 表現될 수 있도록 다양한 도예 기법을 使用 하였으며 製作 過程에 대한 깊이있는 硏究의 必要性이 인지되었다.;Man, living his life in the nature, has been given many materials, being possible the creative action of him from the nature and has been thought them as the motive power. Hence fruit, as a natural being and auxiliary food, have been closely bound up with men since the age when men, who didn't have homes, lived outdoors from gathering natural things. In modern times, fruits at last became an important food which increased very much in demand. Fruits which have been used as a food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ulture, have attractive and fresh images of nature. Therefore they sometimes provide people with optical pleasure and spiritual composure. In this studying makes clear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fruits, have been used on various purpose, from earthen are of sinla Dynasty to hieroglyph cleadon of Lee Dynasty. That is, fruits have been deeply rooted in humanlife, being symbolized against the background of social and religious significance because they have natural beauty and practicability. We now came to recognize through this study fruits are objects of works and penetrate human mind with a infinite artistic inspiration. Also, I studied images of fruits which is impressed through emphacizing on chracteristics of artist. By this process of studying, I could recognize that human has taken nature as a subject of artistic impression. We can further understand the essence and altribute of nature as well as analyze formation of fruits. And, I took fruit as a subject of creative expression emphacizing on its internal image, and the air of its color and line. Today, as a tendency that the aspects of all kinds of artistic parts is changing, the value of pure art has been received in ceramic art, and potters have made works which include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We set ourselves to produce artistic work; more emphacizing on formation of nature, under the creative principle of new ceramics irends. As we have composed to give people optical effect so that they may experience the symbolic meaning of fruits and possess intuitive knowledge of it. And this paper was impressed for you to be able to read the meaning implied by the simple form of fruits. In the process of moulding of work, foundation of signification giving in the intimate relation with men, empressed distinguished factors of natural form and color in makes of fruits, a triangular position of image with impression and experience shown in my heart. Also, in ways of production, various ceramic skills was used for images of fruits to be impressed well, and necessity of deep study for the process of ceramic ware production came to be recogn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