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現行 憲法上의 政府形態

Title
現行 憲法上의 政府形態
Authors
咸燉姬.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헌법정부형태일반사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이 論文은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現行 憲法上의 政府形態의 特徵을 明白히 함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周知하는 바와 같이 現行憲法은 1972年 10月 17日에 일어난 "10月維新"의 所産인 것이다. "10月維新"이 特殊한 性格을 띠고 있는 것과 같이 現行憲法은 여러 가지 特徵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당연히 그의 政府形態에 反映되고 있다. 2. 1972년 以前의 韓國憲法은 대체로 政府形態로서 大統領制 또는 議員內閣制를 채택 하였다. 그 關係로 오늘날도 많은 學者들은 現行 憲法上의 政府形態를 分析하고 名稱 짓기 위해 憲法規定中에 大統領制的 要素와 議員內閣制的 要素를 추출 하려는데 힘쓰고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現行 憲法上의 政府形態는 權力分立의 原則에 立脚하고 있는 전형적인 立憲政體의 議員內閣制나 大統領制와는 전혀 다른 까닭에 과연 現行 憲法과 關聯하여 그와같은 分類基準을 使用함이 有用한 것인가에 대하여 의문이 提起 된다. 3. 權力分立의 모습, 特히 行政府와 議會의 關係如何는 오랫동안 政府形態의 分類基準으로 채택되어 왔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역시 그러했다. 그러나 오늘날 전세계를 걸쳐 다양한 形態의 政府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제는 權力分立에 依한 國會와 行政府간의 關係如何 이외에 새로운 分類基準, 예컨대 이데오로기, 歷史的 背景, 政治的, 經濟的 發展의 水準, 政覺制度, 選擧制度 등 세밀한 分類基準이 使用될 것이 提唱되고 있다. 4. 이와 같이 제시된 基準에따라 우리 現行 憲法上의 政府形態를 考察할 때 現在의 政府形態의 特徵을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즉 政治的, 經濟的 國家의 諸 權力이 壓倒的으로 大統領에게 集中되고 있으며 다른 權力 내지 機關은 大統領에게 從屬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政府形態가 과연 立憲主義的 것인가에 對하여 의문이 일어난다. 오히려 새로운 政府形態의 分類方式에 依하면 K·뢰벤슈타인이나 M·듀베르제가 示唆하는 바와 같은 다른 형태의 정부형태에 해당 한다고 보는 것이 妥當할 것 같이 생각 된다. 그러나 現在 危機的 狀況의 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있는 諸 與件을 고려하여 볼 때 그와 같은 "權威主義的" 政體는 不可避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1. This thesis intend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the government under the present Korean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is a product of the October Revitalizing Reform, which has become effective since December 27th, 1972. The Constitution, like the Reform itself, has many features, which are reflected in the existing government. 2. Before 1972, the Korean Constitution adopted either presidential or parliamentary form of government. As a result most authors tend to extract presidential or parliamentary elements from the present Constitution when they analyze and classify the forms of government. Since the form of government under the existing Constitution is, howev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typical parliamentary governments or the presidential ones which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t is questionable whether similar classification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stitation. 3. The mode of separation of power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has long been used as an adequate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forms of government. Such has been the case in Korea, however, the various forms of government prevalent throughout the world need more refined criteria in addition to the mode of separation of powers, such as ideology, historical background, the level of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tical party system, and electoral system, to name a few. 4. Employing these additional criteria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form of present government, it can be said that political and governmental powers are overwhelmingly concentrated on the present and as a result other non-governmental powers and organs are subordinated to it. Considering this aspect, it can be asked whether the form of the present government can be classified as the constitutional one. Rather it seems, the government falls under a category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onstitutional one as suggested by Karl, W. Loewenstein and Maurice Duverger. On the other hand, such an authoritarian regime seems inevitable, at present, because of the peculiar conditions surrounding the Republic of Korea in cri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