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韓泳熙-
dc.creator韓泳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34-
dc.description.abstractThe major criteria that distinguish the ancient ceramic arts from the modern ceramic arts are dependent upon the purpose for which the art was created, such as 'usage' and 'form'. Emphasis on usage, which was the major aim of the ancient ceramic arts, limited the creative arena of ceramic arts for a long time, but it has contributed in deepening the depth of the artistic aspect of the ancient ceramic arts. The modern ceramic arts have denied this emphasis on usage and have expanded the possibility of formative variety in the ceramic arts, but its achievements in artistic aspects is doubtful. The modern ceramic arts which have overcome the limits of the ancient ceramic arts is now requested to pursue not only formative diversity, but also artistic depth. This is the direction that the modern ceramic arts should now pursue, and the ancient ceramic arts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respect. This study shows the work processing of ceramic arts using forms of our ancient bridges. While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 the author found that our ancient bridges should be studied further in their forms as well as inheritance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ur traditions through an in-depth study of ancient formative arts and to present an application of ceramic arts formation by analyzing and simplifying the formative specifications of our ancient bridges.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starts by revealing traces of ancient bridges that appear in diversified Korean tradition and cultures. Secondly, to understand the substances and forms of ancient bridges the author used symbolic presentation and principles of analytical geometry in analyzing substances and forms respectively. The symbolic presentations of ancient bridges are classified as follows : 1. The general symbolic presentations 2. The symbolic presentation regarding to the constructing of bridges 3. The symbolic presentations regarding to the location of bridges 4. The symbolic presentations regarding to material and forms Geometrical forms of ancient bridges are classified as follows : 1. Straight line structures 2. Curvilinear structures 3. Unrestricted structures From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two studies - symbolic presentation and geometrical forms - the author shows the image design processing of our ancient bridges and ten actual work processing in the concrete forms.;전통도예의 영역과 현대도예의 영역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은 도예가 지향하는 창작목표에 있으며, 그 목표가 '용(用)의 개념'과 '조형성의 추구' 양자 중 어느 것에 근거하고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전통도예가 그 기반을 두고 있는 용의 개념은 오랜 세월 동안 도예의 창작 영역을 제한해 왔지만, 한편으로는 그 예술적 심도를 더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어 왔다. 현대도예는 그 대 전제를 거부함으로써 다양한 조형성의 추구 가능성을 보여 주었지만, 그 예술적 깊이도 자신할 수 있는가 하는 회의를 품어 볼 필요가 있다. 전통도예의 한계를 극복한 현대도예의 도조적 경향은 이제 조형적 다양성에 수반된 밀도있는 내적 충실 내지 예술성 추구를 요구한다. 이것이 현대도예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도예에 있어서의 전통 계승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그 실천 방법의 하나로 한국 옛다리의 조형미의 실체를 탐구하고, 이를 응용한 도자 조형화의 실제를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옛 조형물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전통문화의 조형사고 일면을 이해하고, 옛 다리의 건축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기하학적으로 단순체계화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한 Image Design을 통해 도자 조형화에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본 연구는 먼저 한국 문화의 다양한 유형속에 나타나는 옛 다리의 흔적을 자료를 통해 찾아 제시하고, 이어서 옛다리가 지니는 의미와 시각적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내용에 있어서는 「상징」, 형태에 있어서는 「기하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옛다리의 상징성은 ① 다리의 인류 보편적 상징성 ② 다리의 가설에 관련된 상징성 ③ 다리의 위치에 따른 상징성 ④ 재료와 형식에 관련된 상징성으로 대별하여 고찰했고, 옛다리의 기하학적 형태는 ① 직선구조의 다리 ② 곡선구조의 다리 ③ 비기하학적 구조의 다리(자유형)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위의 두가지 연구(상징성과 기하학적 형태)를 기초로 하여 한국 옛다리의 조형미에 대한 유기적 분석을 시도했으며, 이를 응용한 Image Design을 통해 10점의 구체적인 도예 작품을 제작하였고 그 각각에 대해 본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Ⅹ Ⅰ. 序論 =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B. 연구의 대상과 방법 = 2 Ⅱ. 理論的 背景 = 4 A. 상징의 일반적 개념 = 4 B. 기하학적 형태의 일반적 개념 = 6 Ⅲ. 本論 = 11 A. 옛다리와 한국문화 = 11 B. 옛다리의 상징성 = 13 C. 옛다리의 기하학적 형태 = 19 1. 직선 구조의 다리 = 19 2. 곡선적 구조의 다리 = 21 3. 비기하학적 구조의 다리 (자유형) = 26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57 A. 디자인 과정 = 57 B. 작품해석 = 64 Ⅴ. 結論 = 84 參考文獻 = 86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090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옛다리-
dc.subject도자-
dc.subject조형화-
dc.subject상징성-
dc.subject기하학형태-
dc.title韓國 옛다리의 陶磁 造形化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象徵性과 幾何學的 形態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Ceramic formation for Korean ancient bridges-
dc.format.pagexi, 90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