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允子-
dc.creator李允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7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1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7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127-
dc.description.abstractGenerally, we call, childish literature, is not a literature of children, but that for children which are written by an adult. It contain many structural 'aporia' because It should be within a literary category, furthermore for the benefit of children this study is a little trial to understand and examine a paradigm of madern fairy-tales in relation to a characteristic of myth and frame of Korean fairytales However, recently, Korean old fairytales lie in a package without interest and concern. As a result, under the effect of the western fairytales, many of them are affected thoroughly, so is in the condition of losing their own convention. The sense of presence in modern fairytales are studied synchronicle and diachronicle approach, in that quality It signify much value. When we approach with such phase, we are come to the myth of Korea. As a rule, the birth of myth were oriented primordial cognition of preceedant to the divine and nature for their own living. According, a myth containing universality and give birth to relm of the thought, that is to tay, illusion, fantasy, of course, there is'nt such a mythology in Korea. however, In other meaning that myth have a born narrative and reflect primordial Image. I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written myth in Korea named myth of DanKoon, Alchi, Choomong.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frame 재가 of the old Korean fairytale,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related with a mythical thought. A generated fairytale is a displacement of our preceedant's daily ways of thining. I anatomized some structure (such as theme, plot, style, motif), so. I dare say that a generated fairytales is characterized by a (quality of narrative), but modern fairytales are produced by an artistic techniques owing to the social, historical reasons. It plays very important part 'to move and represent' for the children, therefore I analyzed in every detail with some theory of the fiction and methodology of my own. that is, 1. How are affected by olk fairtale and myth? 2. What is the framework and spirit of the fairytale? 3. What is destination of the modern fairytaled and how the writer harmonize merterials, techniques, fantasy, reality? However, I hope that with a further critic and studying there will be very hopeful examine.;一般的으로 兒童文學이라고 하면, 兒童의 文學이 아니라, 兒童을 爲한 成人이 쓴 文學을 말한다. 그것이 '文學'이어야 하고 더욱이 兒童을 爲한 것이기 때문에 兒童文學은 여러 가지 그 構造上의 留保事項을 안고 있다. 本稿는 現代 創作童話의 現場性을 檢證해 보려는 조그마한 意志에서 童話의 母胎인 옛 부터 傳해 오는 우리의 傳來童話와 神話의 特質과 構造를 把握하여 現代童話의 位相을 살펴 본 하나의 試圖이다. 童話는 散文精神이 깃든 兒童을 爲한 文學으로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 傳來童話는 製理되지 않은 채, 兒童들에게 無責任하게 마구 던져지고 있고, 西歐式 童話의 洪水속에서 그 內密한 傳統의 脈은 지워져 가고 있는 形便이다. 여기에서 傳來라는 現場性의 意味는 通時와 共時의 두 가지 側面으로 살펴질 때 그 나름대로의 價値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側面에 接近할 때 必至의 것은 우리 韓國의 神話였다. 一般的으로 神話의 發生은 人類의 最初의 對象에 對한 認識에서 였으며 自然(神)에 對한 人間의 宥和의 所産이었다고 말 할 수 있으리라, 그러기에 神話에는 人間思考의 原初性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神話가 普遍性을 띠고 아직 우리 思惟의 基底(幻想·想像)를 形成하고 있는 바로 그러한 所以이리라. 물론 西歐的 意味에서 보면 韓國神話의 有·無에 懷疑를 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觀點에서 '그것이 說話性을 갖고 있으면서 先人들의 想像의 原初的인 思考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아 神話의 存在意義를 부여했으며 그것의 對象으로 韓國의 文獻神話의 構造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傳來童話의 類型을 밝히는 過程에서는 그것이 神話的 思考에서 收斂되고 있다는 事實도 把握할 수 있었다. 庶民들의 삶의 哀歡과 來日에의 憧憬이 깃든 傳來童話는 우리 庶民이 만든 神話였으며, 그들의 思惟의 型이 表出된 幻想의 寶庫이다. 本人은 그것을 몇가지 構造(主題·表現樣式·構成) 로 把握하여 살펴 보았다. 現代 創作童話에 있어서는 그것이 감당해야 할 여러 가지 時代的, 社會的 制約性을 띠면서도 여러 가지 藝術的로 創作되어 왔다. 그리하여 '들려주는 型式'에 '提示하고 變化는 型式'으로 現代童話는 그 役割이 달라진 것이다. 이에 現代童話를 몇가지 側面에서 分析하여 現在的 位置를 診斷하였다. 이제 現代童話가 指向해야 될 時代的 使命을 認識하여, 兒童들에게 꿈과 幻想을 鼓吹시키고 진정 兒童들을 案內者로 발돋움 해야 할 것이라 믿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問題의 提起와 硏究方向 = 1 A. 硏究의 目的 = 2 B. 硏究의 方向 = 3 Ⅱ. 序說的 整理 = 5 A. 童話 장르의 形成과 童話精神 = 6 B. 現代 創作童話의 問題点 = 10 Ⅲ. 神話의 原型的 基底 = 12 A. 神話의 原型과 意味城 = 15 B. 韓國 神話의 構造 = 21 Ⅳ. 한국 전래동화의 構造 = 31 A. 主題 = 32 B. 題材 = 38 C. 表現樣式 = 43 D. 構成 = 47 Ⅴ. 現代 童話에 미친 影響 = 56 A. 主題 = 57 B. 表現樣式 = 66 C. 構成 = 71 Ⅳ. 結論 = 81 參考文獻 = 83 Summary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83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동화-
dc.subject설화-
dc.subject전래동화-
dc.subject아동문학-
dc.title現代 童話에 미친 神話 및 傳來童話의 影響-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