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혜정-
dc.creator정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8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823-
dc.description.abstract새로운 시대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 이상의 것을 말한다. 우리의 세계는 변화해가고 있다. 대량생산, 대중소비, 대도시, 단일국가 따위는 쇠퇴해가고 반면 유동성, 다양성, 차이성, 유동성, 소통, 탈중심화 그리고 국제화가 부상해간다. 이러한 우리 자신의 현실 속에서 자아의 감성과 우리 자신의 주관성은 변형되어 간다. 말하자면 우리는 현재 새로운 시대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 속에서 인간의 예술활동은 이 시대의 참된 정신적 비젼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일종의 자아 표현 활동의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예술과 미학의 위기에 대한 논쟁과 가치개념의 상대화 현상이 표면화되는 상황에서 본인은 미술과 인간, 미술과 사회, 미술과 리얼리즘의 역학관계를 부활시키기 위해 새로운 형상성과 내용을 가진 나름의 조형언어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인물'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여 도덕성과 정신의 고갈로 상징되는 현대인의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으로 형상화시켰다. 그리고 인간의 내면세계 반영인 추상적 공간을 창조해 보려는 노력으로 구상적 이미지와 추상적 개념에서 비롯된 다각적 가능성으로서의 공간의 추구를 모색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물화의 역사를 중심으로 동양의 전신론(傳神論)의 역사성을 고찰(考察)해보고, 한국 인물화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인물화의 표현 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인간 심리의 한층 심화된 내면적 표출이라는 배경공간의 표현양식으로서 상징적 공간으로의 의미확산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인 작품 제작에 있어서 주제로서의 인간형상과 함께 내면적 표현으로 위치하는 추상공간의 공존이라는 당위성이 부여될 포스트모더니즘적 미학과의 절충적 태도를 모색하고자 포스트모더니즘의 미학적 특성과 그것의 한국화 단내 현상과 수용으로서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현대성으로의 '인간'에 대한 해석과 다원적 표현의 가능성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순수성과 실험성으로서의 자기성찰과 내재성을 더함으로서 새로움을 위한 시도로서의 새차원의 인물화로 나갈 수 있고자 한다.;A new era Implies and is constituted by something more than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world is changing,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metropolis, nation-state are in decline and are overtaken by elasticity, diversity, difference, mobility-liquidity, communication, decentralisation, and globalism. Midst these changes, the nature and extension of sensibility and subjectivity of the self are also changing shape. Human artistic activities, midst these changes - as always - are one aspect of human (desire for) self-expression which reflect the spiritual challenge and vision and the situation of the day. One symptom of the struggle in response to the changes (the reality) is the debate on the crisis of art and aesthetics. Another is the rise in the relativist approach towards value. The current project contained and pointed to in this paper reflects an endeavour to reconstitut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human, between art and society, and between art and realism, on the basis of an artistic language of new syntax and semantics, new concepts of shape and content. The project springs from a concern and attention for the "person". It informs the detailed, concrete, and naturalistic articulation of the exhaustion of morality and spirit that characterise the "loss of humanity". This populates the various efforts to create/present an abstract space which pictures the human "inner world". The result - hoped for -- is a space of multiple and multifarious possibilities - woven with various compositional images and abstract concepts. The concern for "person" - the effort to bring out the person - led to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figure painting "full-body portraits" in Korea and East Asia with an aim to arrive at an understanding of the modes of expression in the modem portraits. The current study, thus, explores a theoretical basis for consolidation of the symbolic space as a means of portraying the background space which reflects the intensified expression of human psyche. The current study undertakes an interpretation of writer's works which brings together a co-existence of "human shapes" as the subject matter and "abstract space" as mode of expression of the inner world. As a part of this endeavour, in order to locate the project within the post-modem aesthetic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how they have materialised and incorporated by the artistic community in Korea. This enables the interlocking between the interpretation of the "human" as the subject matter of modernity and the possibility of pluralistic expression. Lastly, this study, as an endeavour to analyse the writer's own works, provides an opportunity to undertake a deepened self-reflection. The study, therefore, is a process of consolidating self-awareness that will strengthen experimental spirit and inner strength in future works. This will pave the development of new kind of portraits as an endeavour to embody the "new" brought about by the "chan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3 A. 인물화의 전통과 시대성 = 3 1) 동양인물화의 전신사상 = 4 2) 한국 인물화의 사실론 전개 = 6 B. 회화에서 공간이 갖는 조형성 = 8 1) 상징적 공간으로의 모색 = 9 2) 여백을 통한 공간 개념 = 11 C. 현대적 인물화의 다양한 표현 모색 = 13 1) 구상과 추상의 공존 = 13 참고도판 = 18 Ⅲ. 작품분석 = 20 A. 작업을 통한 표현과정과 의미 = 20 B. 작품분석 = 23 Ⅳ.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852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형-
dc.subject여백-
dc.subject동양화-
dc.subject인물화-
dc.title형과 여백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 and space-
dc.format.pagevii, 47 p. : 삽도, 색채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