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선의 시각적 효과를 응용한 도벽 연구

Title
선의 시각적 효과를 응용한 도벽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CERAMIC WALL THROUGH APPLYING THE VISUAL EFFECT OF LINES
Authors
정호정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시각효과도벽Op Art반복성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우리의 생활환경은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의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예술가들이 지향하는 창조적 표현활동은 새로운 시각형식에 대한 가능성의 탐구로 나타나며 시각요소들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의 새로운 조형(造形)은 선(線)이라든지, 색(色)이라든지, 형태(形態)나 재질감(材質感), 또는 공간(空間)이라고 하는 것에 대한 직접적인 감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요소 중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선은 그 예술적 이용에 있어서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즉시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표현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을 반복 표현하여 나타날 수 있는 시각효과를 순순 시각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시각의 특성과 원리를 알아보고, 선의 시각적 성질과 그 표현수단으로 선택한 반복의 시각적 효과에 대해 살펴 표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반복은 시각적 통일을 만드는데 중요한 수단으로 형태, 크기, 색채, 방향, 위치, 공간, 중량감에 의한 반복이 있으며, 그 시각적 효과는 반복되는 형태, 배열방법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적 효과를 표현한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을 포함하고 있는 옵아트(Op Art)의 조형작품 사례들을 고찰하여 작품제작에 참고로 삼고자 하였다. 표현 방법으로는 한 단위형태 위에 선을 반복하거나 단위형태로부터 나타나는 선을 반복, 구성하였다. 반복구성은 모든 구성중 가장 간단한 형식이며, 특히 전면(all over pattern)을 꾸밀 때 유용하다. 즉 무한대로 전개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도벽으로 표현함에 있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단위체의 표현은 직선과 곡선을 사용하였는데 「작품 3, 5, 7, 9」는 직선으로 「작품 1, 4, 6, 8」은 곡선으로 반복하였고 「작품 2, 10」은 직선과 곡선으로 반복 표현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에 있어서는 단위체의 반복성형과 선의 세밀한 표현을 위해 석고형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泥奬注入成形) 하였다. 태토는 백색도가 높은 밀양 자기토와 요업개발의 자기토를 사용하였고, 각 작품형태의 특징에 맞게 이장(泥裝)에 안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유약의 시유는 분무법으로 하였다. 소성은 석유를 연료로 하는 0.7㎥ 가마에서 900℃로 1차소송한 뒤 가스를 연료로 하는 1.5㎥ 가마에서 1,240℃로 2차소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작과정을 통해 선에 의한 움직임의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선에 의한 움직임은 선을 반복함에 있어 여러 변화가 포함될 때 더 효과적이며, 선이 세밀하고 명확한 입체로 표현될 때 그 효과가 더 확연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그 움직임은 눈에 의해 지각됨으로써 어느 정도 보편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런 표현을 위해서는 계획과 많은 수정을 거쳐야 효과적인 표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것을 시각적 환경으로 인정받고 있는 도벽으로 제작함으로써 그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음을 알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어느 정도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시각현상을 이용하여 선의 시각적 효과를 발견하고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기본적인 감각에 호소할 수 있는 조형예술을 추구하고자 하였다.;Today our living environment shows new visual world in all over fields. In the situation, the creative expressional activities by artists appear as possibility-exploring of the new visual form. Thus the modern new formative arts is based on the direct sense of lines, colors, types, materials or space. Among these visual elements, the lines as the most important one, have almost infinite application possibility and potentiality to apply for the artistic work, and also it can express so that people can recognize & understand quickly Thus on the thesis, I pursued, with the pure visual view point, the visual effect through varying lines repeatedly. As the theoritical background, it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 & principle of visual sense, and tried to help the expression by looking at the visual effect of repeating which was selected for the visual characteristic & the means of expression. And I tried to take it as reference for the work production by looking into the formative work cases of the Op Art which has same context in the sense of the expression of visual effect. The expression took more than one or two repeated lines as the basis to arrange them repeatedly on one side. As the work production method, the slip casting method using gypsum was applied. The material for the work was Mil-Yang and Yo-Up ceramic soil with pure white color, and tried various effects by mixing stains to get along with individual work's characteristic, and gaze-spreading method was done by spraying. The research taker pursued the formative art to appeal to the basic human sense by discovering its visual effect of infinite lines applying relatively objective & universal visual- phenome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