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陶藝에 의한 十長生 素材의 造形化 硏究

Title
陶藝에 의한 十長生 素材의 造形化 硏究
Other Titles
(A) Work of Cubic Forming of Sipjangsaeng Materials by Ceramic Arts
Authors
趙娟秀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도예십장생소재조형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ongevity and immortality is the primitive desire of human being. In Korea it has been represented the emotion and delights of Korean race by the traditional 'Sipjangsaeng' (Ten longevity creatures). Even though the times have passed, the expressional forms are at the standstill.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the Sipjangsaeng materials based on the direct sense toward line, color, form and quality being in harmony with the contemporary forming sense.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introduce the Sipjangsaeng materials formed under the contemporary senses through the process of cubic forming of figures, and in this way the new expressional style of the traditional figures are produced. Sipjangsaeng of Korea have derived from the Taoism which had assimilated the ancient Chinese Taoism. And as one important tradition, it is regarded as a symbol of idealization of general Korean people. The materials consist of the Sun, Mountain, Water, Cloud, Pine Tree, Bamboo, Crane, Roe Deer, Turtle, and Imaginary Herb bringing eternal youth. In the theoretical basis the appearance process of these Sipjangsaeng materials and the meaning of each creatures are studied, and the formation to the objects are investigated. Being freed from the traditional ceramic arts which make the practical use the prime object, the production of work emphasize the formative and decorative characters more strongly than the useful aspect of the traditional ceramic arts. Wheel moulding, coiling, building slabs, clay mounding, and castine are the used methods. Each materials are cubic formed for show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hrough this way of forming each materials the systematic whole composing another harmony has been tried to be embodied.;長生不死는 人間 本然의 欲望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傳統的으로 十長生이라는 열 가지 物象으로 표상하여 가장 韓國的인 特性과 함께 普遍化 되어 왔고 이를 通해 韓國人의 정서와 멋을 傳하여 왔다. 그러나 그 表現方法은 時代가 지남에도 불구하고 답보적인 狀況에 머물러 있는 狀態다. 이에 따라 本 硏究者는 現代의 새로운 造形感覺에 맞게 再照明된 十長生素材의 必要性을 느꼈다. 現代의 새로운 造形感覺은 線, 色, 形態, 材質感 또는 空問 等에 대한 直按的인 感覺을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흙을 매체로 하여 形態美를 爲主로한 造形性을 살리고, 空間에 存在하는 立體로 表現하고자 했다. 이러한 立體化를 通해 現代感覺에 맞게 造形化된 十長生 素材를 소개하고 이로써 傳統紋樣의 새로운 表現方式을 찾고자 하는데 그 目的을 두고 있다. 韓國의 十長生은 中國古代로부터 전해오는 神仙思想이 傳來되고 이를 흡수한 도교가 다시 韓國에 傳來되면서 韓國民에 의해 하나의 民俗으로 定着되어 졌고 그 素材로는 해, 山, 물, 구름, 소나무, 대나무, 鶴, 사슴, 거북의 自然物에 상상의 織物인 不老草를 包含하고 있다. 理論的 배경에서는 이러한 十長生 素材의 발생과정과 각각의 意味를 考察하였고 素材가 가지고 있는 造形性을 分析하였으며 本 硏究作品이 造形的으로 立體表現되는 과정을 民畵에서 표현된 素材의 造形性과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作品의 제작은 技能을 爲主로한 도자分野에서 벗어나 造形性과 장식성을 强調하고 作品性格에 따라 물레성형, 타렴성형, 편판성형, 모형제작성형, 주입성형의 方法으로 各 素材를 立體的으로 표현하고 이렇게 造形化된 各 素材가 모여 새로이 하나의 조화를 이루게 되는 유기적 總體를 具現해 보도록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