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변형을 통한 얼굴표현

Title
변형을 통한 얼굴표현
Other Titles
(A) STUDY OF FACE EXPRESSION THROUGH THE DEFORMATION : FOCUSING ON EMOTIONAL-AFFECTIVE IMAGE OF FACE
Authors
한주원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변형얼굴표현시정성조형예술인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의 목적은 단순한 사실을 표현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구상적인 생명력을 표현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생명력의 근거가 항상 감정에 있음을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대상의 표상에 있어서의 정확한 사실을 고수하려는 것은 예술에 있어 그다지 의미있는 것은 아니다. 예술작품에 있어서 변형(Deformation)은 예술표현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표현법이며, 또한 대상을 의식적으로 변형함으로써 특수한 미적효과를 마련하는 수법으로 다양한 창의적 표현을 기대할 수 있다. 예술성의 개발을 위해 이러한 변형방법에 의한 실험은 계속적으로 확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얼굴을 소재로 일상적 삶에서 느끼는 마음의 표현으로써 희노애락 등 인간의 온갖 감정을 표현하는 시정적 이미지의 변형된 작품을 통해 삶의 리얼리티를 미적지각으로 인식하여 나타내고, 새로운 경험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시정적 이미지란 사전에 의미로는 '마음에 느낀 생각을 시로 나타내고자 하는 심정'으로 인간의 모든 감정을 표현함을 의미한다. 이것이 조형예술에 있어서는 '자연과 인생에 대한 감흥이나 사물에 서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의 표현으로 희·노·애·락, 애수 등을 형태에 연관시켜 표현하는 것'이라고 김봉구는 정의 하였다. 그러므로 조형예술에 있어 시정적 이미지는 모든 감정을 포함하는 포괄적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합적이고 포괄적 이미지를 도자에 접목시켜 변형을 통한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변형의 미학적 개념과 도자조형에서 변형의 의의, 얼굴의 일반적 개념, 변형의 구체적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얼굴의 일상적 Image를 살피고 내용의 이해를 돕고자 그에따른 예를 다른 작가의 작품을 통해 설명을 더하였다. 본 연구작품의 제작방법으로는 석고형을 이용한 이장주입 기법과 석기질 점토를 이용한 모델링, 코일링 기법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구상한 시정적 이미지를 그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표현하였다. 또한 소성은 작품의 특성에 따라 색채효과를 주기위해 초벌을 1200℃에, 재벌을 1000℃에 소성하였고, 경우에 따라 3차 소성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 대상으로서의 인간은 그자체가 매우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고 과학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변형 방법이 시도될 수 있으며 작가의 예술적 감각과 창의성이 병행됨으로서 무궁무진한 조형적 표현이 구사될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자연 대상과 내면세계의 만남에 있어 이를 구체화하고,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art is not to express facts, but to express concrete vitalit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rtistic vitality is always based on emotions. Thus it is meaningless for the artists to stick to the accurate facts, when they are working with the objects of art. Deformation is one of the significant techniques of artistic expressions. This technique purposely deforms the object to get distinctive artistic effects and brings out various creative expressions. To seek out the essence of art, the deformation experiment should be encouraged and kept on. Thus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e cognition of life's reality through deformed work through poetic-affective imagery, expressing human being's everyday feelings - sadness, joy, sufferings, anger etc. - using facial image as subject material. And also hopes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new experiences and interests. Poetic-affective imagery is defined as expressing all human emotions `in the manner of which all the feelings felt are expressed in poetry'. This in formative art, is defined by Kim Bong-gu as `expressing inspiration on nature and life and thoughts inspired by objects and the feelings such as anger, happiness, sadness in relation with form'. Therefore in formative art, poetic-affective imagery includes all kind of emotions and represents general image. So this study tries to express this composit, general imagery through ceramics. For this work I reviewed the aesthetic meanings of Deformation, meanings of Deformation for the Ceramic, general concept of face, and more specific ways of Deformation. And I considered common image of face and added a several picture of other anther's works to increase understandings of my work. For the working techniques, I chose the slip-casting technique with gypsum-mold, and the Modeling, and Coiling technique with stone-clay, to mold accurate forms of poetic-affective image of face. And due to these techniques I could mold and express face-image freely and accordingly. As to give my work unique color-effect the first-baking was set up at 1200℃ and the second-baking at 1000℃, and the third-baking was set up when necessary. Human beings themselves contain much abstract and comprehensive ideas. And with scient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 various tools can be used for Deformations. This implies that the ways of face Deformation, with artist's artistic sense and rational evaluation towards objects, may be endless.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work lies in realizing the encounter between the natural objects and the artist's inner self and laying the foundation to expand the domai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