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OF HOUSEWIVES
Authors
조성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주부가사노동시간관리가정관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planned to provide the basic idea to seek for the appropriate Time Management Strategies, which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living. And the main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household work time of wives, and to find ou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m. The methods, which are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s in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wives. 2. The independent magnitude of all variables affecting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is identified. 3. Th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work time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wives. 4. The relations between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household work time are analyzed. 5. The independent magnitude of all variables affecting the household work time is identified. For these research tasks,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respondents were housewives in Seoul. 479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m the total sample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il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housewife's age,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status, children's number, the type of housing, the type of family, income and sex role attitude. 2.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income and the next factors are housewife's education level, time pressure perceptibility, age, and employment status. And the explanary power of those variables for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is 34.6%.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work time according to housewife's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family size, children's number, income, sex role attitudes and time pressure perceptibility. 4. Household work time i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divisions of housework among family members, the number of appliances of household,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goods,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service, adjustment of housework performance standard and efficiency of housework performance manner. The household work time i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adjustment of leisure and sleep time. 5.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ousehold work time, the most influencial factor is the housewife's employment status, and the next are the adjustment of leisure and sleep time, time pressure perceptibility, housewife's age, income, and family size. And the explanary power of those variables for the household work time is 30.5%.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1.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of housewife is affected by housewife's employment status, education level, income, time pressure perceptibility and sex role attitude. 2. The household work time of housewife is affected by the sex role attitude of housewife, family size and time pressure perceptibility. The most of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is affected by the reduction of the household work time but the only adjustment of leisure and sleep time i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household work time. So, if housewives are perceptive about time resource, housewives are able to perform suitable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refore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affects increas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family living and the maximizes satisfaction of family desire. To achieve these objects, housewives should be able to choose the most suitable household work manner and develop the proper time management strategies.;본 연구는 가사노동 수행시 주부들의 시간관리전략 실태를 파악하고, 각 시간관리전략이 가사노동시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가족의 욕구충족의 극대화를 이룩하기 위한 시간관리전략과 앞으로의 시간관리전략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사회심리적 변수에 따라 시간관리전략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시간관리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세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사회심리적 변수에 따라 가사노동시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네째, 시간관리전략과 가사노동시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작성하였으며, 이의 검증을 위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 479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및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관리전략은 주부의 연령, 주부의 교육수준, 주부의 취업여부, 주부의 직업지위, 자녀수, 주거형태, 가족형태, 총소득, 성역할태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전략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총소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는 주부의 교육수준, 시간제약지각, 주부의 연령, 주부의 직업지위 순이었다. 시간관리전략에 대한 제 변수들의 설명력은 34.6%였다. 세째, 가사노동시간은 주부의 연령, 주부의 교육수준, 주부의 취업여부, 주부의 직업지위, 가족수, 자녀수, 총소득, 성역할태도, 시간제약지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네째, 가족원간의 분담, 가사노동의 기계화, 가사노동재화의 사회화, 가사노동서비스의 사회화, 가사노동 수행표준의 조정, 가사노동 수행방식의 효율화와 가사노동시간과는 부적인'관계였고, 가사노동시간과 여가 및 수면시간 분배의 조정과는 정적인 관계였다. 다섯째, 가사노동시간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주부의 직업지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는 여가 및 수면시간 분배의 조정, 시간제약지각, 주부의 연령, 총소득, 가족수 순이었다.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제 변수들의 설명력은 30.5%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시간관리전략은 주부들의 취업과 직업지위, 총소득, 교육수준, 소득, 시간제약지각, 성역할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가사노동시간은 주부들의 성역할태도, 가족수, 시간제약지각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 시간관리전략중 가족원간의 분담, 가사노동의 기계화, 가사노동재화의 사회화, 가사노동서비스의 사회화, 가사노동 수행표준의 조정, 가사노동 수행방식의 효율화는 가사노동시간을 감소시키고 있었으나 여가 및 수면시간 분배의 조정은 가사노동시간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주부들이 가사노동을 하는데 있어 시간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대처하는 행동을 지향하여 각 가정에 적절한 시간관리전략의 사용을 실행하면 가정생활의 질 향상과 가사노동의 궁극적 목표인 가족구성원의 욕구충족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주부들은 다양한 가능성중에서 바람직한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가정내의 인적·물적 자원을 비롯한 시간자원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려고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