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우리나라 傳統 化粧文化에 關한 硏究

Title
우리나라 傳統 化粧文化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smetology Culture
Authors
宋旼貞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화장화장품화장문화종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화장 문화(傳統化粧文化)에 대해 상고시대(上古時代)부터 근대(近代 : 1910年代)에 이르기 까지 현존하는 문헌(文獻)과 유물(遺物)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 화장문화의 전반적 이해와 더불어 이에 반영된 정신적 기반(精神的基盤)과 미의식(美意識)을 규명함으로써 현대 화장문화의 존재 방식(存在方式)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관정별로 분석된 것 중 특징적인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CHAPTER Ⅰ.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 CHAPTER Ⅱ. 화장 및 화장품의 정의를 내리고, 우리나라 전통 화장은 복식(服飾)과 더불어 총체적인 치장을 위한 개념인 단장(丹粧)이었다. ◆ CHAPTER Ⅲ. 우리나라 전통 화장은 북방계 유목민(北方系遊牧民)이라는 민족적 특성으로 초기에는 추위를 막기위한 실용적 목적에서 발생했을 것이라는 가설(假說)을 세울 수 있었으며, 점차 장식적 의미가 부여되고 사회 문화의 발전을 배경으로 각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변천하여 왔다. ◆ CHAPTER Ⅳ. 여성화장이 남성에 의한 시대적 요구(時代的要求)를 수용하는 성향이 강한 반면 남성화장은 대부분 신분상징(身分象徵)의 수단으로 행해졌으며, 이러한 성향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 CHAPTER Ⅴ. 화장품 용기는 우리나라 전통 화장품이 주로 천연원료(天然原料)를 사용하여 수요량 만큼만 자가생산(自家生産)했으므로 크기가 작고, 문양이 여성적이고 앙증스럽다. 한편 화장도구에는 부분적으로 길상(吉祥)이나 벽사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 CHAPTER Ⅵ. 불교(佛敎)는 목욕과 향(香)을 보급시켰으며, 유교(儒敎)의 여성관은 기생과 여염집 여인의 화장을 이원화(二元化)시키면서 옅은 화장을 종용하였다. 이밖에도 영육일치사상(靈肉一致思想)·벽사사상· 미인박명사상(美人薄明思想)·자연순응사상(自然順應思想) 등이 우리나라 전통 화장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 CHAPTER Ⅶ. 전통 화장품 원료를 현대 화장품에 응용하려는 움직임은 전통을 현대에 효과적으로 접목시키려는 역수직 문화현상(逆垂直文化現象)의 일환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이와같은 시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상과 같은 우리나라 전통 화장 문화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화장문화의 성격을 새로이 규명함으로써 현대 화장 문화의 존재 방식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the existence mode of the modern cosmetology by not oniy understanding generally but also looking into the fundamental mental base and the aesthetic senses reflected in the literatuers and remains concern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cosmetology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1910). What are characteristic of in the systemetic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 Chapter Ⅰ The purposes and methods are systematized and the scop of study is specified. ◆ Chapter Ⅱ The definition of cosmetology and cosmetic indicates that the traditional cosmetology is a sort of whole decoration with costume. ◆ Chapter Ⅲ It can be hypothesized that since the Koreans were the northern nomadic tribe, in the beginning the cosmetology might have had a practical usage to protect themselves from the cold weather, and then gradually become to have a decoration meaning, and final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culture, undergone the transition reflecting some characteristic of each era. ◆ Chapter Ⅳ While the female cosmetology had been much likely to accomodate the spirit of the times under the male, most of the male cosmetology had been done as a means to exhibit his social position, the tendency which had been prominent in the Yi dynasty. ◆ Chapter Ⅴ Sinece beauty kits which were made of raw materials had been self-supplyng only to meet the small demand, their size were relatively small and had been given a meaning of a lucky omen or exorcism. ◆ Chapter Ⅵ Buddhism introduced bathing and incense, Confucianistic view of womanhood differentiated the cosmetology between Kissang and wives and daughters of respectable citizens, and thin make-up was recomended. In addition, there many thoughts to have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cosmetology culture ; body-and-soul unity, exorcism, naturalism, and short-lived beauty. ◆ Chapter Ⅶ Since the on-going movement of makeing use of the traditional cosmetic materials in order to apply to the modern cosmetic may be a kind of counter-vertical cultural phenomena to incorporate our own tradition with the modern cosmetology culture efficently, the hope is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contribute to the said efforts. In short, the study on the traditional cosmetology culture may be helpful in looking into the existence mode of the modern cosmetology through its clarification of the nature of the traditional cosmetology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