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16-
dc.description.abstractThe changes of social norm and natural environments have always influenced the trend of Art profoundly. The modern art has developed and concentrated itself in the multi-medium Art. The people demand for beauty and newness more than any other era in the history, thus created a new form of art which has combined paintings, music, architecture, dance, etc. This new form of era has influenced the fashion design in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modern fashion designing. With such basis, I have concen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ings and the fashion. Among the various Painters, I have decided to concentrate my work on the paintings of Paul Gauguin, who has reached the mastery of symbolism. Gauguin, through his unique painting techniques of simplification of details and the usage of flat tones, has been the major influence in the modernism, i.e. the modernism could be said to have begun with the symbolism of Gauguin. I have tried to incorporate Gauguint's paintings in my designs in order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his work in the fashion design. I have created total of six pieces of designs, using wool felt. Other two pieces are the illustration of the designs. In the designs, I hope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e art form and the fashion. My intentions of creating above designs are as follows: 1. Creation of three dimentional designs from flat paintings 2. Transition of still painting to a movement and sculptural art form. 3. Obtaining textile texture and coloration from paintings by using felt technique. 4. Creating harmony between the painting and the fashion in line and color. Finally, I tried to establish a method to use a pure-art form in fashion design.;시대적 흐름과 사회환경에 따라 변하게 된 미술양식이 현대에 이르러서는 다양한 표현양식과 재료선택 영역의 확대로 재료, 형태, 기법 등에 많은 변화와 발전을 가져와 다양한 창작행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복식분야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반영되어 복식예술가들에 의해서 복식의 조형 예술성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서로 밀접한 관계 선상에 있는 복식과 회화로 연구의 대상을 삼았다. 회화중에서도 19세기 말의 화가인 고갱(Paul Gauguin 1848~1903)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고생은 고의 사상을 바탕으로 원시성으로의 지향, 종합적 화면처리, 강한 평면적 색감을 표현하여 모더니즘(Modernism)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가이다. 필자는 먼저 그의 작품을 깊이있게 이해하기 위해 작품세계 및 상징주의의 특징을 알아보고 복식에 그의 독특한 회화기법을 반영함과 동시에 복식의 특성에 따른 이상적 조화를 구성해 그 제작방법에 있어서 조형예술적 복식에로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 실물제작 작품은 총 6점이며 양모를 소재로 한 펠트(felt) 기법으로 제작하였다. 기타 2점은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으로 고갱의 회화와 복식의 조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작품제작을 통해 추구한 의도는 다음과 같다. 1. 회화에서 3차원적인 입체감의 확대 2. 회화의 형태에서 동적 조형예술성의 추구 3. 펠트기법에서 얻어지는 재질감과 색채의 효과 4. 회화상의 선, 색, 형태와 복식과 인체와의 관계에 대한 이상적 조화추구를 시도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Ⅱ. 현대 미술사조와 패션 = 3 A. 현대회화의 흐름 = 3 B. 현대회화와 모-드와의 관계 = 6 Ⅲ. 조형예술로서 접근한 복식형태 = 23 A. 아트 투 웨어(Art to Wear) = 23 B. 복식의 조형성 = 27 Ⅳ. 고갱의 작품을 응용한 디자인 = 31 A. 고갱의 작품세계 및 특징 = 31 B. 제작방법 = 38 Ⅴ. 작품해설 = 47 Ⅵ. 결론 = 89 참고문헌 = 90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954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회화-
dc.subject조형의상-
dc.subject고갱-
dc.subjectGauguin-
dc.subject인물화-
dc.subject펠트기법-
dc.title회화를 응용한 조형의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갱(Gauguin)의 인물화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USING GAUGUIN'S WORK IN FASHION DESIGN-
dc.format.page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