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永愛-
dc.creator金永愛-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14-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it is said that creation of a design is in combination with beauty and science. A field of beauty in modern life tends toward to diversity, diffusing and deving into our life. But we simply cannot take advantages of comfortable life from beauty itself. Because it is to be required a functional substantiality based on the rationality. In seeking for a "new Look", we come to be in need of optical technology. The science technique of modern has experienced various ways to find the reality of universe, the principle of life, the nature of material, the final organization of the atoms, and so on. It also makes us know the new world never dreaming in the old days. As the result, our view become wider and make contact with the new and unexpected world of beauty. Setting eyes on the unknown and the wonderland which no one might have seen, we cannot help but have a strong impact and a deep impression. At a mystery given by gods of nature, there must be the starting point (the origin) that never exist in an artificial world. Our modern (fine) art(s') and design are caught in imitation and epigone of an abstractionist. To take off from their own dilemma, we have to try to find out new energies as a solution. Art coming from a combination of nature and science, that is to say, modern arts is much in need of a power of science. Combination of electron-microscope and design having much artistic merit, as well as the 'electronics-Arts' by using computer, have shown lately a new way for formative arts. In this study I try to find out the new avenue to possibility of beauty, and I am sure that I represent a wall-decora-tive expression as the image of cells, and it will be realized by using clay as its material. For this research data, I have examined and studied the distinctive character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ceramic decoration in the wall operating now in Korea. It is recognized that too much abstract pattern without any quality or technique of ceramic Arts. To inquire of the way of a improvement toward this problem, I try to find out an active way, making observation in practice of what I want to know through electron-microscope, not refer to literatures. I try to compose and classify for intuitional image the several cell's forms coming through electron-microscope and to find a possibility of expression to form for an image of beauty. I also want to express the vitality as of it comes to move with life and spirit,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s with its standardization and its still atmosphere. I principally have applied a 'slab building' to the molding and annexed a 'Mold casting', and I have tried to express the varied phases by using 'Slip' and 'Clay' together. In the process of my study of making a work, turning the image of cells through scientific way into the image of an artistic figure, I have reached the three conclusion as the followings: The first: I could try to find out a boundless possibility to turn the varied image of cells from electron-microscope into the moulding element of a ceramic arts. The second: I have came to express the varied phrases by using 'slip' and 'clay' together. So far we have considered only the world to be seen with the marked eye for the object of expression. But now days we can widem our vision (visual field) newly in all hinds of viewpoints to use science power. In combination with arts and science, it is recognized that the enlargement of the visual limits will be a break through to make a new future sphere in a ceramic arts.;오늘날 現代의 美 領域은 確散되어 우리들의 생활 구석 구석에 까지 영향을 주었고 다양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름다움만으로는 쾌적한 생활을 얻을 수는 없다. 거기에는 合理性에 근거한 機能的 充實이 요구되는 것이다. 새로운 美를 求하는데 있어서 그 原點은 光學的 機術에 숨어있다고 여겨진다. 現代의 科學機術은 우주의 生態, 生命의 原理, 物質의 本性, 原子世界의 궁극적 構造등을 밝혀내기 위해 갖가지 수단을 經驗하면서 옛날에는 상상도 못했던 새로운 세계를 엿보게 해주고 있다. 그 결과 우리들의 視野는 점차 넓어져 뜻밖의 새로운 美的 世界에 접촉하게 된다. 일찍이 누구도 볼 수 없었던 未知의 世界, 신비의 世界를 눈으로 경험하며 우리는 강한 衝擊과 感明을 갖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自然의 神들이 만들어 준 신비의 수수께끼 그 속에는 인공의 世界에 存在하지 않는 신비 새로운 美의 原點이 숨어져 있는 것과 같다. 예나 지금이나 美의 추구를 위한 方法으로 자연의 모방이나 재창조를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科學의 발달로 인하여 예술이 自然과 과학의 힘을 빌려 새로운 活路를 찾게 되었다. 예를 들어 콤퓨터를 利用한 electronics-Art 도 그 한 방향이라 할 수 있으며 "콤퓨터 미술"은 미술가로 하여금 새로운 角度에서 생각하도록 압력을 가함으로써 새로운 잠재력을 확충 할 기회를 주게 된 것이다. 전자 현미경(electron-microscope)과 예술 디자인에 있어서의 새로운 응용은 오늘날 조형의 方向을 새롭게 해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硏究는 이러한 새로운 次元의 美의 可能性을 세포를 통하여 흙을 재료로 한 벽장식의 表現을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理論的 배경으로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제작되어진 韓國 陶製 壁裝飾의 特徵 및 現況을 알아보고 시대별, 제작기법을 대상으로 분류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고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오늘날의 도벽은 製作幾法上 너무 단조로운 회화성의 追求에 그치고 있으며 外國作品들에 비하면 立體感이 不足하고 너무 추상적이고 生動感이 없는 패턴의 반복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改善 方法을 타진해 보고자 기하학적이며 자연이 갖고 있는 섬세함과 構造的인 形象의 아름다움을 입체적이며 조직적인 표현을 디자인 方向으로 設定하고, 製作하고자 하는 內容을 문헌 위주가 아니라 실제로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보다 生動感 있는 表現의 目的에 접근하고자 한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나타나는 여러가지의 세포 형태들을 直觀的 이미지로 構成 分類하고 그런 세포들을 美的 이미지로 形象을 추구해서 살아 꿈틀거리는 듯한 生命力을 함께 表現하고자 한다. 成形方法은 주로 점토판에 의한 成形을 중심으로 하고 이장 주입형성과 또 이장(slip) 狀態의 점토를 점토와 함께 使用하는 방법등 여러 成形方法을 사용하여 보다 다양한 表現을 추구하여 보았다. 이와같이 科學的 이미지의 세포를 藝術的 이미지로의 形象化 結果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자현미경을 통해 나타나는 여러가지 流動하는 세포 構造의 흐름을 도자 全面에 배치하여 視覺的인 긴장과 생동감을 느끼게 하고 形態와 色彩를 生動感 있게 表現한 立體的이며 繪畵性이 넘치는 感覺과 精神과의 自由로운 만남을 할 수 있는 造形 要素로의 표현 可能性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러 成形 幾法 중 이장(slip)과 점토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표면 가득히 구깃구깃 주름이 잡혀있기도 하고, 내장과 같이 구부러진 形態가 集積하고 있는 表面은 손과 흙과의 직접적이 접촉과 運動의 生理가 응결한 것과 같은 독특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세째, 종래에는 주로 肉眼으로 볼 수 있는 世界를 表現 對象으로 하였지만 현재에 와서는 科學의 힘을 利用하여 여러 각도에서 새롭게 視野를 넓힐 수 있게 되었다. 인간 內在 세계의 신비를 표현하는 내적 必然性의 세계로서 작가의 혼을 表出하는 표현과 환상의 세계로 인간을 초월한 조형 要素의 根本的인 法則 原理 등의 형성 원리를 추구할 수 있는 도자 領域의 새로운 조형의 길을 마련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ⅷ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範圍와 方法 = 1 Ⅱ. 理論的 背景 = 3 A. 韓國 現代 도벽 壁裝飾 = 3 1. 陶壁의 特徵 및 現況 = 3 2. 陶壁의 分析 = 5 3. 도벽의 문제점과 방향 = 35 B. 細胞의 이미지 表現 = 37 Ⅲ. 作品製作 및 解析 = 48 A. 作品製作 過程 = 48 Ⅳ. 結論 = 64 參考文獻 = 66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010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c.subject세포-
dc.subject이미지-
dc.subject도자표현-
dc.subject도벽-
dc.title細胞 이미지에 의한 陶磁 表現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도벽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Ceramic Representation from the Image of Cell-
dc.format.page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