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3 Download: 0

造形上에 있어서 超現實的 表現

Title
造形上에 있어서 超現實的 表現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urreal Expression in the Formation
Authors
金美淑.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Keywords
조형초현실주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人間의 實存과 本質을 찾으려는 노력으로 無意識世界의 영역을 표현해 보고자 한다. 本 硏究의 目的은 本質的 空處에 대해 造形上에 있어서 超現實的 표현을 하고자 함에 있다. 本 硏究의 內容은 인간의 완전해지려는 욕망과 인간본질의 불완전 사이에서 일어나는 공백을 인간본질의 空虛라 보고 이는 무의식세계의 영역이라는 면에서, 이론적으로는 超現實主讀와 S. Freud의 예술관을 살피고 그것의 관계성과 그 무의식세계의 표현과 기법을 고찰함을 바탕으로 조형관을 서술하였고 작품은, 본질적 공허란 의식에서 공허감, 성취욕 갈등, 자아인식 등으로 간헐적인 표출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의식에서의 표출들은 女體를 대상으로 하여 초현실적으로 표현하였다. 本 硏究의 方法은 이론적으로는 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표집병행하였고 결과로는 작품사진을 첨부하였다. 작품은 量感을 갖는 조각 고유의 특성안에서 歪曲과 유기적 통일이라는 조형원리를 갖고 공간분할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총8점을 제작하였다. 작품Ⅰ의 유형은 虛空間과 實空間을 共有한 형태 ( 2점 )이며, 작품Ⅱ의 유형은 自然空間속에 實空間만으로 표현된 형태 ( 3점 )이며 작품Ⅲ의 유형은 凹形의 實空間을 所有한 형태 ( 3점 )이다. 本 硏究의 結論은 이론적으로 조형관을 定立 할 수 있었고 조형 상에 있어서는 본질적 공허에 대한 의식속에서의 표출을 자연 이미지로 인체에 표상하여 나타내었다. 내면세계를 조형화하는 작업에 있어서 여체를 대상으로 한 조형은 왜곡의 형태를 갖게 되었고 그 왜곡으로 인해 性의 구별을 할 수 없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초현실적 표현은, 초현실주의 에서 처럼 자동기술법에 의해 모든 의식적인 조형원리를 무시하는 것이 아닌 양감을 갖는 조각의 고유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할 수 있으며 거기에는 양괴와 공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aims at the expression of the area in unconscious world with the part of efforts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human existence and ess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in the surreal expression about intrinsic voidness in the formation.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vacuum originating in what place between the human desire to come to perfect and the imperfection of human essence as the voidness of human essence, from the aspect that this is in the area of unscious world, examines the views of art in surrealism and S. Freud in theory, and then describes the view of formation based upon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the expression and its method in unconscious world. In the works, because of the intermittent expression by hollow feeling, desire for achievement, conflict and self-cognition in the consciousness of intrinsic voidness, expressed the ones in this consciousness with the subject of the body of woman in surrealism. This study is, in theory, carried out in bot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selection of reference works , and the photographs of works are added for result. As for work, eight pieces in all have been manufactured in three types by the division of space, with the principle of formation called a organic unity and distortion withi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sculpture with voluminousness. The type in work I shares the hollow-space and substance-space, and type Ⅱ is expressed by only substance-space in the natural space, and the type with reentering substance-space is work Ⅲ, and the number of three types is 2, 3 and 3, respectively. In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view of formation can be theoretically established and the expression in the consiousness about intrinsic voidness is made by representation into human body as a natural image. Concerning the formation operations of the inner world, the formation with the subject of the body of woman is expressed in distorted form, and on account of this distortion it is impossible that the distinction of sex is obtained from the expression. The surreal expression can be realized without the separation from the specific scope in sculpture with voluminousness, not through the neglect of all the conscious principles of formation by the automatic descriptive method as in the surrealism, and it can be showed that volume and space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