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희-
dc.creator김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2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3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37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카톨릭 服制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司祭服은 의식을 집행하는 司祭가 敎會의 규정에 따라 착용하는 服裝이다. 의상이 인간의 분위기 ,품위에 영향을 주는 바와 같이 司祭服에 있어서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직자복을)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미적 감각이나 디자인 원리에 중점을 두고 초기에는 韓國式 도포에 금십자가를 붙인 祭衣를 입고 미사를 지냈다는 우리 조상들의 슬기로운 면을 더듬어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해 보았다. 우리나라에 카톨릭이 처음 전래된 것은 이조 말엽 당파싸움이 절정을 이룬 때였다. 政界로 부터 은퇴한 남인 학자들 사이에서 부터 「天主實義」와 「七克」과 같은 책들이 애독되어 새 종교운동을 일으키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카톨릭 전래 과정은 외국 선교사들이 전했다기 보다는 우리 스스로가 도입 했다는데 그 특색이 있다. 카톨릭 服制의 始源은 聖神降臨祭에서 부터 찾아 볼수 있다. 전교가 활발해진 4세기 후반에 교회의 종속관계가 생기기 시작하여 服裝에서도 변화가 따르게 된다. 카톨릭 服制를 종류별로 나누어 고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內衣에는 게두포(L'amict), 長百衣(L'aube), 띠(Le cordon)가 있으며 外衣로는 수단( Soutane), 祭衣(La chasuble), 法衣(La dalmatique)를 들 수 있으며 부속물로는 主敎冠(La mitre) 장갑(Le gants), 산달과 양말(Les sandales et les bas)이 있으며 휘장으로는 영대 (領帶)(L'etole)가 있다. 착용方法은 주로 로마식을 따르고 있으며 착용순서는 수단-게두포-장백의-띠-영대-제의순 이다. 카톨릭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많은 수도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수도회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바오로 수도회를 통해 그 起原과 服飾의 변천을 살펴 보았다. 수녀복의 起原은 프랑스 리베빌 (Leveville) 촌락 아낙네들의 노동복이었다. 1966年 지금과 같은 간편한 옷으로 바뀌기 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정식 수녀가 되기 위한 절차로는 지원기, 청원기, 수련기를 거치며 각 기간동안의 옷차림에 변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녀복이 점차로 간편한 면에 역점을 두어 현재는 없어지는 설정이라 司祭服의 디자인에 한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전래과정, 服制의 유형에 기초하여 규정 범위내에서 장백의, 제의, 부제복, 영대, 띠의 디자인을 시도하였다. 장백의는 우리 조상들의 고유 의상인 두루마기 깃을 이용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제의, 부제복, 영대는 주로 트리밍을 이용하는 종래의 디자인에서 탈피한 실크 스크린 염색법을 시도해 보았다. 문양은 카톨릭의 상징인 십자가와 물고기를 디자인 하였다. 십자가는 벨벳 테이프로 처리하였고 물고기는 한국 문양을 선택해서 실크 스크린을 하였다. 띠는 한국의 가지방석매듭을 이용하고 끝을 술 처리를 하였다. 이상과 같은 카톨릭 服制의 고찰과 디자인에서 祭服으로서의 성스러움과 체계화된 服制에 대해 살펴 볼수 있었다.;In this treatise, the Catholic vestment in Korea is considered. The church has required all priests to wear their uniforms in accordance with its regulation in case of performing a Mass. As a man's vestment has an great effect on his impression and dignity, so those of priests especially do. This fact aroused my interest in reviewing the Catholic vestment in Korea which is also one of the fields of dressing system. Next I attempted to design a new vestments with having respect to aesthetic sense, principles of design and especially the fact that our ancestors made wisely the mass vestment of an old Korean robe and a gold colored cross. At the late Rhee Dynasty when catholicism was introduced into our land for the first time, factional wrangling from the political circles read 'Chu Ju-Shileu' 'Chil-Geuk' and books like same tendency. All of these books are as to catholicism This western religion made them set a new faith movement through the Land of confucianism. Catholicism was introduced by our own ancestors not by foriegn missionary, this is the characterizing fact of its introduction into Korea. The Catholic vestment has its origin in the Pentecost. As hierachy of the church became confirmed in the 4th century when propagation of Catholicism went on actively, there were some changes in its vestment The Catholic costume can be diveded in its kind. First, "L'amict", "L'aube", "Le cordon" belong to inner garments, secondly "Soutane" "La chasutle" "La dalmatique" to outer garments, thirdly "La mitre" "Le gants" "Les sandales et les bas" to adjunctive garments and lastly "L'etole" as a insignia. The Romanish wearing system is adopted in general and a priest should have on Soutane-L'amict-L'aube-Le cordon-L'etole and La chasuble in that order. As Catholicism is being introduced widely into the world, many congregations are now active. I studied the origin and alternation of its vestment through the case of Paul Monastery which is the oldest congregation. A sister's clothes originates from the woman folk's workdress in Leveville. There had been no change worth mentioning in their clothes until they adopted simple figures in 1966. To become a regula sister of charity, they should go through the period of supplication, petition and discipline. At each period alternation in their clothes can be seen, but nowadays pursuing of convenience makes their clothes themselves no difference from another one. In this reason I designed only the priest's vestment Based on introduction process of catholicism and type of vestment system, I made an attempt to design "L'aube" "La chasuble" "dalmatique" "L'etole" "Le cordon" within regulation of the church. A collar of the old Korean robe is used for designing "L'aube", silk - screen process is newly adopted for making "La chasuble" "La dalmatique", "L'etole" with trimming technic. The patterns of clothes are the Holy Rood and Fish which are the symbols of Catholicism. Velvet tape is used for the Holy Rood, the selected old Korean pattern of fish are silk-screened. For belt the branch-shaped Korean knot is adopted and both ends are fringed. As mentioned above, the dignity and systematic character of the Catholic vestment as a uniform can be revealed in process of surveying its vestment and its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서론 = 1 Ⅱ. 韓國의 카톨릭과 服制 = 3 A . 카톨릭의 전래 = 3 B. 카톨릭 服制의 역사적 배경 = 6 1. 司祭服 = 6 2. 수녀복 = 10 C. 카톨릭 服制의 유형 = 18 Ⅲ. 작품으로서의 司祭服 = 38 A. 장백의 (L´aube) = 38 B. 제의 (La chasuble) = 41 C. 부제복 (La dalmatique) = 44 D. 영대 (L´etole) = 46 E. 띠 (Le cardon) = 46 Ⅳ. 결론 = 47 참고문헌 = 49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41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가톨릭-
dc.subject가톨릭-
dc.subject복제-
dc.subjectVESTMENT-
dc.title한국 가톨릭 복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ATHOLIC VESTMENT IN KOREA-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