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정경.-
dc.creator안정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1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7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로서 Susanne K. Lannger의 예술상징론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Langer의 예술상징론은 낭만주의적 예술관을 대변하고 있는 표현론의 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따라서 본인은 우선 표현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예술은 곧 표현임을 주장하는 표현론에 의하면 예술은 예술가의 자기 표현이거나 정서를 환기시킴으로써 예술가로부터 대중에로 정서를 전달하는 것이거나 혹은 예술작품속에 정서가 구체화 된다는 것인데 예술상징론은 세번째 유형에 속한다. Langer에 의하면 예술작품 즉 예술상징(art symbol)은 상징 작용을 통해서 감정을 명료화하고 정식화해서 객관적으로 지각할 수 있게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징화의 과정을 거쳐서 나타나는 예술작품의 의미 혹은 "취의"(import)는 언어로써는 전달될 수 없는 정서라는 특징이 있다. 한편, langer에 의하면 예술작품은 실제(reality)로부터 추상되어 순수하게 시각적으로 존재하는 대상인 "가상"(illusion)을 창조하는 것이 되고있다. 따라서 각각의 독립된 예술은 고유한 가상을 가지고 있으며 무용의 가상은 역동적 힘의 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미학적 관점에서 보면 Langer의 예술상징론은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특히 감정에 논리를 부여하려고 한 점에서 그의 이론은 무용예술에 적용할 수 없는 이론임이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무용의 본질을 규명해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오 병남의 "연희"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usanne K. Langer's art symbol - theory as a principle applicable to the phenomenon of dance. As Langer's art symbol - theory is a type of expressionism standing for the Romantic view of art, be I am going to survey the expressionism first. According to the expressionism,emphasizing that art is expression,art is (1) self - expression on the part of theartist,(2) communicati on of emotion from the artist to his public by arousing it and (3) embodiment of emotion in an art obiject. Langer says the work of art,that is, "art symbol" articulates and formulates feeling to be perceived objectively by symbolism. The meaning or "import" of the work of art created through the processes of symbolization is characterized by emotion inable to be communicated by language. In addition, according to langer, the work of art is creating "illusion", the purely visually exiting object abstracted from reality. Therefore, each independent art has its own illusion : that of dance is the illusion of dynamic power. But from the mordern aesthetic viewpoint, Langer's theory of art symbol has many limitations. Especially her theory turns out to be inapplicable to dance art, in that she has been trying to connect logic to feeling. Therefore, I suggest the concept "performance" of Oh, Byung - nam as an alternative to illuminate the essence of 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표현론 = 8 Ⅲ. Langer의 예술상징론 = 22 A. 예술상징의 의미 = 26 B. 예술의 가상성 = 34 (1) 허상적 형식으로서의 예술 = 34 (2) 허상적 힘으로서의 무용 = 41 Ⅳ. 예술상징론의 무용예술에 대한 적용 한계 = 48 Ⅴ. 결론 = 54 참고문헌 = 57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349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수잔 K. 랭거-
dc.subject예술상징론-
dc.subject무용예술-
dc.title수잔 K. 랭거의 예술상징론과 무용예술에 대한 그 적용 한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USANNE K. LANGER'S ART SYMBNOL : THEORY AND ITS LIMITATION OF APPLICATION TO DANCE ART-
dc.format.pagev,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