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종이염색에 의한 인간의 상황 표현

Title
종이염색에 의한 인간의 상황 표현
Other Titles
(The) Expression of Human Situation by Paper Dyeing
Authors
박여송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종이염색인간상황생활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공예의 경향은 효용가치보다는 조형성을 강조하여 재료자체의 물질성을 중시하며 새로운 재료를 탐색하고 그것을 이용한 독특한 기법의 개발을 모색함으로써 다양한 표현양식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천연섬유로 되어있는 종이가 제공하는 부드러움과 그 안에 내재하는 정신성 그리고 재료적 특성은 다양한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어 현대의 작가들에게 신선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자도 염색작품-제작에 종이 (우리나라 닥종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 봄으로써 표현영역을 확대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종이가 과거의 수동적인 표면에서 탈피하여 적극적인 조형매재가 된 경위와 최근 70년대에 와서는 종이자체가 Objet화 함에 따라 다양한 종이작업이 이루어지고 또한 Paper Making의 활발한 연구가 계속되어 종이조형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예술이 나타나게 된 사적 배경과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작품제작에 있어 먼저 주제는 현대의 새로운 산업사회 속에서 소외되어 가는 인간이 그들이 처해 있는 다양한 상황 속에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하는가 하는 의문에서 '인간의 상황'이란 주제를 설정하였고 재료에 있어서는 우리나라 닥종이를 염색하여 사용하였으며 종이의 다양한 질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방법에 있어서는 가소성 등 종이의 재료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을 모색하여 11점의 작품을 Collage 기법으로 제작,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종이조형의 사적 배경과 의의를 고찰해 보고 작품을 제작,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이의 조형매재로서의 기원은 Papier Colle´이며 개념미술 이후 Objet개념의 발달에 따라 작가의 의도대로 제작될 수 있는 수제지 자체를 하나의 작품으로 보는데 이르렀고 70년대에 와서는 종이조형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나타나게 되었다. 둘째, 종이조형의 의의는 종이의 작업과정 특히 종이 제자 과정에서의 손의 참여로 인간성 회복의 일면을 보여주며, 미술의 여러 분야에서의 종이작업은 각 분야간의 장르개념을 초월케 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작품제작에 있어 종이의 우수한 착색효과와 가소성 등으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함을 경험하였다. 앞으로 종이조형의 순수미술과 공예와의 교량적 역할을 기대해 보며 우리의 비교적 풍부한 종이의 전통에 대한 철저한 검증의 필요성을 느꼈고 후처리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많았다.;The trend of modern crafts emphasizes their formative art character more than their utility. So modern artists put emphasis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art medium itself and search for new art media and at the same time they seek for the various modes of expression by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unique techniques taking advantage of the new art media.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oftness and Inherent qualities of paper which is composed of natural fibers make a fresh and strong appeal to modern artists because paper enables them to work in diverse ways. In this context, I have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modes of expression by grouping for various methods making use of Korean "dak" parer in my dyeing works for this thesi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aforesaid purpose, this thesis reviews how paper, which had been considered and used as a passive plane upon which some kind of drawing is made, has become a positive medium of formative art. And as another theoretical basis, this thesis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a new genre of paper formative art which has appeared as the result of various kinds of paper works based on the trend established in the 1970s that paper itself can be an objet, as well as in consequence of continuous active experiments of paper-making. Turning to the practical creative activities for this thesis, first of all, the theme of my works, which is "Human Situation", has been taken up in an attempt to express how we, human beings, alienated by modern industrial society, confront and survive the given situations of various kinds. I have tried to use Korean "dak" paper in my eleven works made with collage techniques in which I have tried to take advantage of plasticity and other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this paper. Both the examin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analysis of practical activities for this thesis set for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origin of the use of paper as a positive medium of formative art is found in "papier colle´". As a consequence of the development of "objet" conception, hand-made paper itself which is produced by an artist for a specific purpose has come to be considered a work and furthermore a new genre of paper formative art has appeared in the 1970s. Second, paper formative ar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n a sense, it has brought back humanity by the participation of "hand" in paper work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hand-made paper and in that paper works made in various fields of art have an important role of removing the distinctive genres of art. Third, I have found many good possibilities of works using paper as a medium of formative art by its excellent characteristics, i.e., fine effects of dyeing, good plasticity, etc. Along with these conclusions, I hope that paper formative art will be a bridge between fine arts and crafts and I feel an urgent need for the in-depth and extensive study on Korea's long and abundant tradition of paper as well as on many problems that I have faced with in the course of my practical crea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in the finishing tou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