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淑.-
dc.creator李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7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3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366-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학령전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발달 경향과 이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家庭內的인 變因의 효과에 대해 검토해 보려고 하였다. 硏究의 對象은 中上流계층에 속하는 만 5,6세의 男·女 아동 293名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아동용 검사는 ACL에 근거해서 Williams, Bennett, Best(1975)가 고안한 척도를 우리 文化에 맞도록 改作한 것이었다. 이것은 23쌍의 그림카드와 카드의 내용을 설명해주는 23개의 간단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으로는 t-test, T-평점 변량분석방법, χ^(2)-text를 사용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男兒는 女兒보다 엄격하게 性類型化된(sex-typed) 男性性 개념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2) 男兒는 女兒보다 男性性, 兩性性 점수가 높고, 女兒는 男兒보다 女性性 점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3) 男兒·女兒 모두에 있어서 男性性 개념이 더 일찍 획득되는 경향이 있었다. 4) 형제의 性別은 男兒의 性役割 개념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男兒는 同性의 형제가 있을 때 男性性, 兩性性 개념을 형성하였고, 異性의 형제가 있을 때 女性性 개념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5) 형제의 性別과 出生順位間의 상호작용은 男兒·女兒에 있어서 모두 유의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出生順位는 男兒·女兒에 있어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7) 어머니의 職業 有無는 男兒·女兒의 性役割 개념 형성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지만, 女兒의 女性性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나타냈다. 즉, 女兒는 어머니가 職業이 없을 때 더 높은 女性性 점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8) 자기 일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 여부는 男兒·女兒 모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女兒에 있어서 어머니가 만족하는 경우에 兩性性 개념을 형성하고, 불만족하는 경우에 男性性이나 女性性 개념으로 性類型化되는 경향이 있었다. 男兒에 있어서 어머니의 만족 여부는 性役割 개념의 형성 자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兩性性, 男性性 점수의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었다. 즉, 男兒는 어머니가 불만족하는 경우에 더 높은 兩性性, 男性性 점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9) 어머니의 職業 有無와 만족 여부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아동의 性役割 개념 형성에 유의적인 차를 제시해 주지 못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o development of Korean preschool children's sex-role stereotypes and to test the hypotheses concerning the effects of internal variables of family. The subjects were 293 upper-middle class boys and girls aged 5-6 years, drown from 18 kindergartens in Seoul. The instrument employed to investigate this study was the revised Sex Stereotype Measure developed by Williams, Bennett, and Best(1975) based on the ACL. This consisted of 23 pairs of pictures and 23 associated simple stories, 12 of that represented feminine traits and 11 masculine traits. Data analysis consisted of t-test. T-score, 2-two-way ANOVA, χ^(2)-tes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Boys showed more rigid sex-typed masculine responses than that of girls. 2) Boys acquired higher masculine and androgynous scores than girls, whereas, girls acquired higher feminine scores than boys. 3) Children of both sexes seem to begin their learning of the masculine stereotypes at an earlier age than the feminine stereotypes. 4) Sex of siblings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in sex-role stereotypes of boys. With the same-sex siblings, boys showed more masculine and androgynous stereotypes, while with the opposite-six siblings, boys showed more feminine stereotypes. 5) Sex of sibling×birth order interaction showed nonsignif-cant effect in both sexes. 6) Birth order was unrelated to sex-role stereotypes in boys and girls. 7) Maternal employment had not any influence on children's sex role stereotypes except feminine scores of girls. Namely, girls acquired higher feminine scores with non-working mothers. 8) Mother's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both sexes. Daughters of satisfied mothers had more androgynous stereotypes, while daughters of dissatisfied mothers had more sex-typed stereotypes, as masculine or feminine. In boys, mother's job satisfaction had little influence in sex-role stereotypes, whereas, it had significant effect in acquiring androgynous and masculine scores. That is, sons of dissatisfied mothers acquired higher androgynous, masculine scores. 9) Maternal employment ×mother's job satisfaction interacti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in children's sex-role stereotyp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序論 = 1 A.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1 B. 연구의목적 = 5 C. 연구의 제한점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인 배경 = 8 A. 성역활 발달에 관한 諸理論 = 8 B.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先行硏究 = 13 C. 問題 提起 및 가설 = 18 Ⅲ. 연구방법 = 21 A. 대상 = 21 B. 도구 = 24 C. 절차 = 30 D. 資料 처리 = 31 Ⅳ. 결과 및 해석 = 35 Ⅴ. 결론 및 논의 = 49 참고문헌 = 54 부록 1 = 64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116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령전 아동-
dc.subject성역할-
dc.subject고정관념-
dc.subject어머니-
dc.title學齡前 兒童의 性役割 固定觀念의 發達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X-ROLE STEREOTYPES OF PRESCHOOL CHILDREN-
dc.format.pagevii, 99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