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연.-
dc.creator이동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6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2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250-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민간전승으로서의 민요 선후창과 가면극 양반과장의 연행형식 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민요 선후창은 <사설> - <후렴>교대진행방식이고 가면극 양반과장은 <대사>-<춤> 교대 진행방식이다.<사설>과 <대사>는 민중의 표현욕구에 부응하는 연행요소로 有意味한 언어를 표현매체로 하고 있다는 데에 공통성이 있고, <후렴>과 <춤>은 無意味한 언어 또는 비언어적 표현매체로 부락공동체적 예술행위의 원시적 양태를 반영하고 있는 연행요소라는 데에서 공통적이다. 더우기 민요 선후창과 가면극 양반과장은 대응되는 두 연행요소 즉 <사설>과 <후렴>, <대사>와 <춤>을 교대로 진행시켜 나가는 연행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데에서도 공통적이다. 이 독특한 연행형식의 구조 및 그 의미를 밝혀 보려는 것이 본고의 의도이다. 민요 선후창의 연행구조는 우선 후렴의 고정적인 연행적 속성 세가지 즉 <흥> · <공동체적 공감> · <현장성>을 기능소로 추출하고, 이를 선창의 사설 내용과 대비시키는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우선 후렴의 기능소 <흥>과 <현장성>이 사설 내용 중 긍정적인 것은 실제적인 동력(動力)으로 화(化)하게 하고 부정적인 것은 차단 · 해소되게 한다. 이로 일해 사설과 후렴의 형식적 긴밀성에 준한 형식적 기능소 <공동체적 공감>은 내실화를 기하게 되어, 후렴은 참가 성원들의 진정한 공동체적 동질감을 확보할 수 있는 장(場)이 된다. 그러고 이 과정에서 획득된 모든 무형 (無形)의 자원(資原)들은 다시 생활의 일부로서의 실제적인 노동에 투여된다. 위와 같은 민요 선후창의 연행구조는 민중의 소망을 압축적으로 대변하고 있는 지신밟기 노래의 사설에 나타난 무교(巫敎)적 가치관과 일치한다. 즉 민요 선후창은 무교의 핵심적 기능인 '기복(析福)'과 '풀이'를 그 연행형식구조의 요체로 삼고 있는 것이다. 가면극 양반과장의 연행구조는 <극적 갈등> - <극적 해소> - <신명>의 순차적 구조이다. <극적 갈등> - <극적 해소>부분은 기존 신분질서의 연극적 전도(顚倒)를 꾀하는 연극적 표현 부분이고, <신명>은 전도된 신분질서의 세계를 민중이 마음껏 향유하고 만끽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행구조는 무교의 현실주의 및 변증법적 사유체계와 일치한다. 본고는 이를 <무교적 변증법>의 구조라 요약하고 도해(圖解)하였다. 민요 선후창에서 문학적으로 보다 발달된 서정적 사설들이 대개 부정적 정서를 표출시키고 있고 이 부정적 정서가 후렴에 의해 차단 · 해소된다고 할 때, 이 역시 <무교적 변증법>의 구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면극 양반과장에 비해 민요 선후창의 연행형식구조는 보다 원시적이라고 지적될 수밖에 없다. 결국 민요 선후창 및 가면극 양반과장은 모두 무교로부터 전수받은 역동적 미의식을 연행형식구조의 요체로 삼고 있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역동적 연행형식이 성립될 수 있었던 것은 민요 선후창 및 가면극 양반과장이 폐쇄적 부락공동체 사회를 배경으로 한 두레패 연행예술이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곧 민요 선후창 및 가면극 양반과장 연행형식의 시대적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다. 이 한계를 의식할 때, 보다 개방적인 연행예술인 판소리의 역동적 연행형식이 갖고 있는 연행예술사적 의의가 새삼 돋보이게 되나, 이는 이후의 과제로 돌려질 수밖에 없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Sun-Hu-Chang(songs before and after)" in Korean folk songs and "Yang-Ban-Gwajang (the nobility section)" in Korean mask dance drama. "Sun-Hu-Chang" takes an alternating form of <words>-<refrain>, and "Yang-Ban-Gwajang" takes on alternating form of <dialogue>-<danc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words> and <dialogue> lies in that they are performanc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desire of expression of the folks, and they takes the meaningful language as the expression media. <refrain> and <dance>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are performance elements which reflect the primitive modes of artistic activity of traditional community by means of meaningless language or non-linguistic expression media. Moreover, "Sun-Hu-Chang" and "Yang-Ban-Kwajang" also show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are made up of performing form which is alternatively proceeded by the two contrasting performance elements lies, <words> and <refrain>, or <dialogue> and <dance>. The destinatio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performance form. First, the three performing properties such, as <Heung (amusements)>, <Communal Response> and <Context> were extracted from the generally accepted knowledge for the <refrain> in the capacity of performance functional factors, and then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Sun-Hu-Chang" was analyzed by the correlation of the functional factors with the contents of <words>. <Heung> and <Context> make the hopeful aspects in the contents of <words> be the actual dynamics, while they make the gloomy sides be intercepted and dissolved. Accordingly the formal factor <Communal Response> comes to get the substantial meanings, and the <refrain> also becomes a part which can secure the authentic communal sympathy of the attendance. And, all the invisible products obtained through this performing process comes to return to the labour as a part of life.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Sun-Hu-Chang" described above agree with the shamanistic outlook which appears in the words of ritual song "Ji-Shin-Bal-Gi' which concisely represents the thought of folks. That is, "Sun-Hu-Chang' takes the 'praying for happiness' and 'dissolution' which are the main functions of the shamanism as the core of performance structure. Performance structure of "Tang-Ban-Gwajang" has the gradual structure of <Dramatic Conflict>-<Dramatic Dissolution>-<Shinmyong>. The two parts, <Dramatic Conflict> and <Dramatic Dissolution>, are the dramatic expression parts which intend to make a dramatic upset of the established social status system. <Shinmyong> is the part that the folks enjoy the upset of status system. Such a performance structure agrees with the realism and the dialectical outlook of the shamanism. The author summurized this as a <Shamanistic dialectic> structure and illustrated it. If the lyrical words which were much more advanced literarily in "Sun-Hu-Chang" generally express the gloomy sentiment of the folks and such gloomy sentiment is intercepted and dissolved, this also can be looked upon as a structure of the shamanistic dialectic. But, comparing performance structure of "Sun-Hu-Chang" with the "Yang-Ban-Gwajang", the structure of "Sun-Hu-Chang" is the more primitive one. Ultimately, both "Sun-Hu-Chang" and "Yang-Ban-Gwajang" contain the dynamic aesthetic-consciousness handed over from the shamanism as the core of performance structure. The establishment of such a dynamic performance structure, however, ma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 "Sun-Hu-Chang" and "Yang-Ban-Gwajang" was a 'DURE-group performances' in a closed village community. This indicates the limitation of "Sun-Hu-Chang" and "Yang-Ban-Gwaja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타당성 및 의의 = 1 B. 연구 방법 = 12 Ⅱ. 민요 선후창의 연행 구조 = 14 A. 농업노동요 = 16 B. 유희요 = 34 C. 의식요 = 43 D. 小結 = 47 Ⅲ. 가면극 양반과장의 연행 구조 = 50 A. 자료제시 = 51 B. <단락-춤 1>의 경우 = 56 C. <삽화-춤2>의 경우 = 73 D. 양반과장 연행구조의 의미 = 81 Ⅳ. 해석 = 88 Ⅴ. 결론 = 96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760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민요-
dc.subject선후창-
dc.subject가면극-
dc.subject양반과장-
dc.subject연행구조-
dc.title민요 선후창과 가면극 양반과장의 演行 構造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Sun-Hu-Chang" in Folk Songs and "Yang-Ban-Gwajang" in Mask Dance Drama-
dc.format.page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