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도시 주부의 경제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주부의 경제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CONOMIC LIFE SATISFACTION AMONG URBAN HOUSEWIVES
Authors
김숙이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도시 주부경제생활만족도경제관리가정관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경제적 복지"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 가계의 "경제적 복지" 측면에서 "경제생활 만족도"에 영향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경제생활 만족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만들었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조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부 414명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Frequency), 백분율(Percentage), 분산분석(ANOVA),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조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주부는 경제생활에 있어서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 둘째, 사회 경제적 변인과 사회 심리적 변인에 따라 경제생활 만족도는 차이를 보이는가? 세째, 경제생활 만족도에 대한 사회경제적 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주부들은 대체로 경제생활에 대해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사회경제적 변인 중 가계소득, 남편의 직업, 남편의 교육, 주부의 교육, 여가생활에 따라 경제생활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사회심리적 변인 중 열망성취도, 상대적 박탈감, 가정관리능력 인지에 따라 경제생활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세째, 경제생활 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유의한 변인으로는 가계소득 가족생활주기, 여가생활, 열망성취도, 가정관리능력인지이었고, 열망성취도·가계소득·여가생활·가정관리능력인지·가족생활주기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선진국 연구에서 사회경제적 자원이 사람들의 주관적인 "경제적 복지"의 차이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대부분인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심리적 변인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가 70년대에 들어와 기술·경제적 발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계의 절대적인 자원 수준이 기본적인 가족구성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요구되며 본 연구모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다른 중요한 변인들, 즉 기대성취도, 변화인지 등을 고려하여 모형을 좀 더 정교화할 필요가 크다고 하겠다. 특히 경제생활 만족도 측정에 있어서 경제생활 영역간의 가중치를 주지않았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제생활 만족도 평가에 있어서 제한점이 있음을 지적해 두며 이 점을 앞으로의 연구에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주관적인 경제적 복지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한 개인이라도 시간경과, 교육수준, 경험에 따라 차이있는 응답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척도와 객관적 척도를 결합하여 새로운 지표를 구성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Under the assumtion that "Economic Welfare" should be the basis in the improvement of "Qualif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terminants of the Satisfaction of Economic Life. For this purpose, a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Questionnaire surveys were administrated to 414 housewives in Seoul. The statistical methords used, includ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etc. The following are questions raised in the study: 1. How satisfied are Urban Housewives in Economic Life? 2. Is there a differences in the Economic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psycho-social variables? 3. What are the relative effects between th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psycho-social variables in the Economic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urban housewive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ife as a whole. 2. The Housewives' Economic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the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leisure life, housewives' education, husbands' education, husbands' job, and family income and by psycho-social variables such as perceived home management efficiency, relative deprivation, aspiration. 3. Among those variables that affect Economic Life Satisfaction, family income, family life cycle, leisure life, aspiration, and perceived homemanagement efficiency are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degree of significance. Aspiration, family income, leisure life, perceived home management efficiency, family life cycle are influenced most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study conducted by Advanced Nations, most of the studies did not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economic welfare" of the socio-economic resources.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socio-economic variables as well as psycho-social variabl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This is because despit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absolute resource level in homes were insufficient in satisfying the basic needs each of family members. In future studies careful consideration of various questionnaires are required. Also, other important variable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such as expectation and change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more detailed models. Especially, in measuring economic life satisfaction, since there was no weight put in economic life areas, there were limits in accessing the general Economic Life Satisfaction. Moreover, since this study was to measure subjective economic welfare of the people, there can be a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lapse of time, educational level and experience. Therefore, it would be significant in future studies to constitute new indexes by combining subjective index and objective index.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