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주-
dc.creator이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49-
dc.description.abstractNature is a good source whereby the infinite mystery and the universal principle of change can be conceived. Thus, nature has long been the primary object of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In this course, the leaves which may be characterized by their close relation with human life, a variety of forms, rich sense of mass and diverse colors as well as the aesthetic symbols signifying the order and action of nature and vitality of life have been expressed in various concepts depending on individuals' subjective interpretation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growing in the temperate zone and thereupon, reinterpreting their images from researcher's personal viewpoint, and thereby, suggesting how and to what extent they can be expressed on the modern embroidery works. To this end, definitions and structural traits of leaves were reviewed theoretically, and then, distributions of leaves in various climate zone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urveyed to analyze their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the images of leaves were reviewed from a viewpoint of plastic art, and thereby, their images were analyzed in terns of line, mass and color. Third,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expressions of leaf images were reviewed to analyze how the images are expressed in modem art and textile art. Based on the above reviews, an embroidery work was produced by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growing in the temperate zone and recomposing their images subjectively by using their lines, masses and colors. For this work, such materials as silk, paper mulberry bark and tree leaves were used, while thickness and twists of the work were varied with silk yarns. The embroidery techniques used were 'Iumsu', 'Pyongsu', Jinggumsu', 'Samgaksu', 'Gumulsu' and Ssaralsu', and in order to express the mass and relief of leaves, paper mulberry bark and tree leaves were partially us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wor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mative linear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leaves could be analyzed to be recomposed into such patterns as repetitions,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Moreover, since such embroidery techniques as 'Gumulsu', 'Iumsu', 'Jinggumsu' and 'Pyongsu' could be applied, the recycling life and natural mystery inherent in leaves could be materialized. Second, since paper -mulberry bark could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uch embroidery techniques as 'Jinggumsu, Maedupsu', 'Iumsu' and 'Ssaralsu', mass and relief of leaves c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Third, since the silk yards could be twisted in various ways with their thickness varied, forms of leaves could well be expressed, while a unique gloss could highlight the sense of mass. Furthermore, as the yarns of diverse colors could be used, changing characteristics of leaves c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over time. Fourth, flow of time and environmental changes could be expressed by burning the canvass partially to punch it.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s of leaves effectively, it is deemed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components of leaves, observe the changing leaves carefully and adopt optimal embroidery techniques and use proper material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attempt to express images of leaves in diverse ways by using unique embroidery techniques and materials.;자연은 무한한 신비감과 우주의 생성변화의 원리를 인식할 수 있는 좋은 소재로, 인간의 예술활동의 주된 표현대상으로 존재하여 왔다. 이 중 인간 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띠며 다양한 형태와 풍부한 질감, 색체의 조형적 요소와 자연의 질서와 운동, 생명의 생동감을 내포하고 있는 잎에 대한 미의 인식은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따라 다양한 양식을 통하여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한반도의 온대림에 분포하는 잎을 중심으로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연구자의 관점에 의해 잎의 이미지를 재해석하여 표현함으로써 현대자수에 있어서 표현방법 및 영역이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잎의 정의와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고 한반도의 기후대별로 잎의 분포를 조사한 후, 온대림의 잎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이미지의 개념을 조형예술에서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잎의 이미지를 선, 질감, 색채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셋째, 잎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표현한 선행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미술과 섬유 미술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은 온대림에 분포하는 잎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한 후, 잎을 구성하는 선, 질감, 색채의 요소를 통하여 잎의 이미지를 주관적 의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작품의 표현재료로는 실크, 닥나무 껍질, 나뭇잎을 사용하였고 견사를 사용하여 굵기와 꼬임에 변화를 주었다. 자수기법으로는 이음수, 평수, 징금수, 삼각수, 그물수, 쌀알수를 응용하여 사용하였고 잎의 질감 및 부조적 표현을 위해 닥나무 껍질과 나뭇잎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작품제작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잎을 구성하는 요소 중 선의 조형적 특성과 이미지를 분석하여 반복과 응집, 분산의 형태로 재구성하고 그물수, 이음수, 징금수, 평수 등을 응용한 자수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잎이 지니는 생명의 순환과 자연의 신비함을 형상화할 수 있었다. 둘째, 부분적으로 닥나무껍질과 나뭇잎을 징금수, 매듭수, 이음수, 쌀알수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잎의 질감 및 부조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셋째, 견사의 다양한 꼬임과 굵기의 변화는 잎의 형태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고 고유한 광택은 질감을 부각시켰으며, 다양한 색상의 실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잎의 색상의 특징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바탕화면을 부분적으로 태워 구멍을 냄으로써 시간의 흐름과 환경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잎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잎의 이미지 표현을 위해서는 여러 구성요소를 분석함과 함께 예리한 관찰이 필요하며, 적절한 자수 표현기법과 표현재료의 연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잎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자수에 있어서 보다 독창적인 방법과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잎의 고찰 = 3 1. 잎의 정의와 구조적 특징 = 3 2. 한반도의 기후대별 잎의 분포 = 9 3. 온대림의 잎의 특징 = 13 B. 이미지의 일반적 의미 = 15 1. 이미지의 개념 = 15 2. 잎의 이미지 = 18 C. 예술에 표현된 잎의 이미지 = 23 1. 현대미술에서의 잎의 이미지 = 23 2. 섬유예술에서의 잎의 이미지 = 26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37 A. 작품제작 = 37 B. 작품분석 = 39 Ⅳ.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88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자수작품-
dc.subject이미지 표현-
dc.subjectLeaf Images-
dc.title잎(葉)의 이미지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수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Leaf Images : Focused on Production of an Embroidery Work-
dc.format.pagevii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