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희련-
dc.creator박희련-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75-
dc.description.abstractThe role of a teacher, is of much significance in effectively implementing educational objectives in school. Recently school is getting complicated in organization and expanded in scale, which necessitates intermediate roles such as a mediator of an intermediate manager. With this end in mind was created the chief teacher system in 1970 by a Minister of Education ordinance, and has since then undergone a series of eight revisions, Simultaneously with this made possible by the ordinance was for the chief teacher to direct or control teachers under his jurisdiction. But the chief teacher is not clearly defined in his functional regulations, and can wary with his school situation or policies. This often gives rise to trouble among teachers who are performing the same duti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same chief teacher, and among chief teachers themselves. In addition it excites a controversy on how the chief teacher maintainshis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other chief teachers, general teachers, the principal in vice principal, and how he has to take part in school administration. The chief teacher, seated on an obscure position in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feels complications and uneasy, which may lead to a failure in performance. This study purport in its objectives to make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chief teacher's role, chiefly by means of literature, to conduct an inquiry into how chief teachers and general perceive roles of the chief teacher by a questionnaire poll, and then to manifest differences by variable among responses for the chief teacher's role, so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education by grasping more cleary and systematically the roles chief teachers are performaing in the first-line education. To effectively conduct this study randomly sampled out from public and private schools of nine educational districts in Seoul were 214 chief teachers and 370 general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 and role expectancy were analysed. The reultant finding are as follows: 1) For the chief teacher's role by performance area, no difference was revealed from sex and establishment distinction, while variables of a higher average role value came from public schools and woman teacher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different position, age and experience groups. General teachers indicated higher role expectancy than chief teachers. The more experience and the older age they have, the more negative and more careful responses they represented in role perception and expectancy, whereas younger and less-experienced teachers showed positive expectancy and desires. The lowest responses came from the group of 15-20-year experience in their fifties, which indicates that their morale became demoralized of stagnant, It seems necessary to from an atmosphere under which they could work with enthusiasm. 2) A comparison of six role factors one another revealed: "Harmony among teachers" gave a consensus in all variables and was most emphasized by the group of more than 20-year experience and the group over 50s. Male teachers presented a high response in "communication", "harmony", "interpersonal relations", whike female teachers, in "directing, managerial functions",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3) "Communication" represented the highest dissension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group and chief teachers group, a lack of smooth upward communication and much downward communication are pointed put as teachers' frustration. The highest gravity among the six role factors was put on "directing function," and "communication," while the lowest, o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We can see from this that the chief teacher's advisory and mediating roles seem of much consequenc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forementioned,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1) "Communication" This factor is seen as being of the most consequence in the first-line education. The chief teacher needs to play a role of active communicator, and attention be paid to woman teachers so that they may hav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more interest be taken in woman teachers' role in consideration of their present job opportunity tendency. And it is recommendable to improve the existing staff meeting operation system, apart from holding a chief teachers netting everyday, and that terms with a smack of politics such as "executive session" still in use in many schools, be corrected to soft ones. 2) "harmony among Teachers" This role factor is indispensable in having a consensus among teachers. The older age and the more experience teachers have, the more necessity they for it. It is required that the chief teachers level of comparatively more experience and higher age must make efforts for building harmonious atmospheres. 3) 'Directing Function" The chief teacher is requested to continue self-training to acquire specialized knowledge, and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must concentrate their effort on developing substantial training program and securing professional labour power. 4) "Curricular operation" The idiosyncrasy of teaching profess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dividual teacher's personality be respected, consultation of discussion be taken rather than instruction of supervision, and natural ways of direction, advise be provided by frequently holding divisions, curricular, and grade level conferences. 5) "Interpersonal Relations" in and outside School The chief teacher has to take a keen interest in utilizing idle but able human power such as honour teachers, voluntary counsellors, community guiding committees, especially by the help of community figures and facilities as well as in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supervisors. This kind of role must be performed only in the limit of an intermediate connector who assists school administrators and connect teachers with th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The chief teacher, however, may at times feel complications and suspicisions between general teacher and principal/vice principal. He is in an obscure position in that he directs and supervises teachers under his leadership but has no directive or decision-making right. This point should be understood by general teachers or the principal/vice principal. Furhtermore, duty allotments need to be made in a fair and proper way, so that a role can be clear in its limits. It is expected that a chief teacher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when be does his best as a member of the school staff and his role is best functioned,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general teachers' expectations towards him.;학교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는 교육의 직접 담당자인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근래에는 학교조직이 복잡해지고 규모가 확대됨으로 중간관리자로서의 중개역할이 필요하게 되어 주임교사 제도가 1970년 문교부 훈령에 의해 생겨났고 그 후 8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그리하여 주임교사는 각 영역별로 업무를 분담하고 교사들을 지시하거나 통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주임교사의 직무규정이 명확히 제정된 것은 아닐 뿐더러 학교의 특성이나 교장의 방침에 따라 바뀔 수도 있는 것이며 이 때문에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소속교사들간이나 주임교사 상호간에 불화를 빚는 사례도 있고, 주임교사 자신은 일반교사들과의 관계, 주임들과의 관계, 교장, 교감과의 관계등을 어느 정도로 유지하며 학교경영에 어떤 방식으로 참여할 것인가가 문제된다. 따라서 업무수행이나 대인관계 등에서 모호한 지위에 있게 될 때 갈등과 불안을 느끼게도 되고 맡은 바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도 없게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먼저, 문헌을 통하여 주임교사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주임교사가 주도적으로 지각해야 할 역할을 주임교사와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현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주임교사의 역할에 대해 설립별, 성별, 직급별, 나이별, 경력별 변인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주임교사들이 자신의 역할을 보다 분명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해서 원활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돕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내 9개 교육구청 관내 공·사립 학교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214명과 일반교사 37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생각하는 주임교사의 역할을 주임교사 자신은 역할지각으로, 일반교사들은 역할기대로 보고 분석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임교사의 영역별 역할인 참모적보좌역할, 조정·매개역할, 지도조언역할이 설립별,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역할의 평균치가 약간 높은 변인은 공립학교와 여교사들이었고, 직급, 나이, 경력에 따라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직급별 차이는 컸다. 직급에 따라 볼 때 일반교사들의 주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는 높았고 주임교사 자신의 역할지각은 일반교사의 기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나이와 경력이 많을수록 역할지각이나 기대하는 정도가 낮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으며, 젊고 경력이 짧은 교사일수록 적극적 기대와 의욕을 보이고 있고, 40대 연령의 15∼20년 경력을 가진 집단에서 제일 낮은 반응을 보여, 이들이 의욕을 갖고 일할 수 있는 분위기조성에 주임교사의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둘째, 주임교사의 역할을 지도적직무, 관리적직무, 의사소통관계, 인화관계, 교육과정운영, 대내·외 인간관계의 6가지 요소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인화관계요소는 모든 변인에 상관없이 의견이 일치하였고, 50대 이상의 나이와 20년이상의 경력집단에서 가장 중시하고 있었고, 남자교사는 인성적 측면인 의사소통, 인화관계, 인간관계 역할에 높은 반응을 보이고 여자교사는 과업적인 측면인 지도적직무, 관리적직무, 교육과정운영면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셋째, 직급간에 가장 많은 생각의 차이를 보인 것은 의사소통관계로 상향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하향 의사소통이 많은 것은 교사들의 불만의 요인으로 볼 수 있겠다. 6가지 역할요소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의사소통관계와 지도적직무이고 교육과정운영면이 맨 끝으로 나와있어 주임교사의 영역별 역할이 참모적 보좌역할과 조정·매개역할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의사소통관계에서: 직원회의 운영방안의 민주적 개선 이것은 교육현장에서 가장 중요시 되고 있는 것으로서 주임교사는 보다 적극적인 의사소통의 연결자 구실을 해야 할 것이며, 여교사들에게도 의사소통의 기회가 많이 주어지도록 방법을 연구하고 교직의 여교사추세를 감안하여 여교사의 역할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고 불필요한 주임회의를 매일 실시하는 것은 오히려 교사들간에 불만을 사게 되는 것으로 직원회의의 운영방안을 개선하고 아직도 많은 학교에서 쓰고있는 '간부회의' 같은 정치적이고 강한 느낌의 용어는 부드러운 말로 고쳐 쓰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둘째, 인환관계면에서: 주임교사가 주도하여 경력이 많은 교사들 중심으로 인화분위기 조성. 인화관계는 모든 교사들이 의견을 같이하는 주임교사의 역할요소이며 나이와 경력이 많을수록 인호관계의 필요성을 깊이 느끼고 있으므로 학교조직의 구성원들 중에서 나이와 경력이 비교적 높은 주임교사 층에서 인화분위기 조성과 인화관계 유지에 힘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도적 직무면에서: 주임교사는 전문적 지식의 연구 연찬에 주력, 주어진 업무에 능통하기 위해 전문지식을 갖추기 위한 자기 연찬을 계속하고 행정당국은 실질적인 연수가 되도록 연수방법과 연수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에 힘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과정 운영면에서: 교과별, 학년별 협의를 통한 자연스런 지도조언 교직의 전문성을 고려하고 교사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하여 지시·감독 보다는 협의·의논의 방향을 택하고 부별협의, 교과협의, 학년협의 등을 자주 가져 자연스런 지도조언의 기회로 삼아야 하겠다. 다섯째, 대내외 인간관계면에서: 교내, 외 인사와의 연결, 협력에 관심 지역사회 인사 및 시설 활용, 장학사와의 연결·협력체제 서무직원과의 관계 등에 주임교사가 힘쓰고 명예교사, 자원상담자 지역선도 위원등 고급 유휴인력 자원 활용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이상과 같은 주임교사의 역할의 한계는 학교 행정가를 보좌하고 일반교사와 교장·교감을 연결하는 중간 매개자의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주임교사는 교장·교감과 일반교사의 사이에서 때로 곤혹과 회의를 느낄 수 있고 지시·결정권이 법적으로 없는 상태에서 그 직능상 지시·감독해야 한다는 미묘한 입장에 있음을 일반교사들이나 교장·교감은 충분히 이해해야 할 것이며, 업무분담은 공정하고 적절하게 정하여 역할의 한계를 분명히 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반교사들의 기대를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흡수하여 기대가 큰만큼 책임의 중요성을 느끼고 역할 수행에 최선을 다할 때 교육의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역할의 의의 = 7 B. 역할 이론 = 9 C. 주임교사의 역할 = 15 D. 주임교사 제도 및 각 부 주임교사의 기능과 임무 = 23 Ⅲ. 연구 방법 = 32 A. 연구의 대상 = 32 B. 조사 도구 = 33 C. 자료 처리 =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5 A. 주임교사의 영역별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 35 B. 주임교사의 역할요소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 43 C. 주임교사의 역할 지각과 그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기대 = 55 Ⅴ. 요약 및 결론 = 62 A. 요약 = 62 B. 결론 = 66 참고문헌 = 69 부록 = 71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547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주임교사-
dc.subject역할-
dc.subject교사-
dc.title중학교 주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기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on the Chief Teacher's Role in Junior High School-
dc.format.page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