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해림-
dc.creator장해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94-
dc.description.abstract공간은 예술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소이다. 공간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며, 그 정의와 개념은 변화하여 왔다. 공간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행위와 경험에 의해 주관적으로 인식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이 주체가 된다. 이러한 이론은 현대 예술에도 나타나, 작품이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예술작품의 주변의 허(虛)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작품을 감상하며 공간을 인식하는 관람자들의 행위 또한 고려하게 되었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현대미술에서는 공간을 작가와 작품과 관람자가 상호 교류하는 장소로 표현 되었다. 공간을 다루는 조형예술 중 조각은 그 규모가 점차 커져 건축의 의미로까지 진행되었고, 건축과 미술은 서로 완전히 분리된 장르가 아닌 하나로 결합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미술과 건축공간과의 관계는 여러 작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이해되고 해석되어, 그 영역을 점차 확장해 나갔다. 본 연구자는 섬유예술에서의 공간에 대한 의미의 확장과 작품에 의한 체험적 건축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공간의 개념 변화를 알아보고, 건축공간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건축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관람자가 받을 시지각적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건축 공간의 기본적인 요소 중 벽, 기둥, 천장과 바닥의 폭과 높낮이, 기울기에 따라 공간에 대한 느낌이 달라지며 공간의 성격이 변하게 되는 점을 작품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건축 공간과 미술과의 관계를 확장한 작가들과 현대 섬유예술에서 나타난 인간의 체험을 유도한 작품에 대해 연구하여 그 표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작품표현에 있어서는 정사각형 안에 36개의 일정한 크기의 동일 원들이 뚫린 스펀지를 기본 소재로 사용하였다. 동그란 원은 하나의 점을 상징하는 것으로 무한히 반복되는 점의 일반적인 개념과 점으로 표현된 현대 작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스펀지의 기본적 물성을 변형하고 새로운 소재로 재생하기 위해 수성안료로 염색하여 사용하여, 새로 염색된 색채로 인한 정서적, 심리적 영향을 주고자 하였다. 색채는 인간에게 감정을 불러 일으키고 심리적 영향을 준 다는 것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앞서 연구한 작품들에서 건축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소재를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제작에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섬유의 조직과 같은 원리로서 각각의 개체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면적을 넓혀나갔다. 이것은 가벼우면서도 공간의 구조물을 나타내기에 효과적이었으며, 구멍이 뚫려있어 반투시적이면서도 구멍이 뚫린 모양은 조형적인 느낌을 나타낸다. 그리고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작품전반을 통해 다원적 공간을 나타내는 3차원적 조형물의 느낌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간 개념이 물리적이고 절대적인 것만이 아닌, 시간성을 함유한 동적 장소이며 인간의 주관적인 행동과 경험에 의해 인식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개념은 예술에서도 나타나며 예술에서 공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건축과 미술의 결합되는 현상을 집어 보았다. 둘째, 작품이 설치되는 건축 공간은 공간과 공간간의 관계, 공간을 구성하는 시각적인 것에 의해 지각되는 것이었고, 건축 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벽, 기둥, 천장, 바닥 등의 폭과 높낮이에 의해 공간이 나뉘고 인간이 느끼는 공간의 느낌이 달라지며 그 공간 안에서 행위 하는 인간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셋째, 섬유예술에서 건축공간과 결합된 작품을 살펴보면서 공간에 대한 예술가들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음을 작품을 통해 참고하였다. 넷째, 작품의 표현방법인 반복적인 점과 색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점의 일반적인 개념과 반복되는 점의 조형성과 색채의 심리적 영향, 소재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앞서 연구한 개념과 이론을 바탕으로 건축공간의 요소를 작품에 도입하여 작품을 통한 공간의 변형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색채와 점으로 표현된 작품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공간 변형과 관람자들 체험적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작하였다.;Space is an essential element in art. Studies on space have been incessantly carried out, and its definition and concept are continually changing. Since the recognition of space is subjectively based on human behavior and experience, human beings have themselves become part of the subject. Since the appearance of such a theory in modern art, attention toward the negative space surrounding an artistic work as well as the physical space that an artistic work occupies has been growing. Viewer awareness of space when appreciating an artistic work has also been considered. With the changes in recognition of space as a subject, space in modern art has been described as a place in which an artist, artistic work, and viewer inter communicate. Plastic art sculpture dealing with space has been extended into the realm of architecture as its scale has increased, and architecture and art are no longer separate genres but rather now share a combined a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is divers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by artists and is increasingly expanding in scope.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space in fiber art, changing the concept of space to express an architectural space experienced within an artistic work.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n viewers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architectural space. The study intends to introduce the thought that feeling for space differs according to the width and height of walls, pillars, ceilings, and floors, and by the inclination in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architectural space, and that its tone also changes. Moreover, we researched artists who have expand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space and art, artistic works that have induced human experience in modern fiber art, and the possibility for its expression. We intend to present the space concept stated above through the production of an artistic work that introduces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architectural space,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psychological influence the artistic work gives to the viewers. In the production of our work, as the basic material we used a square sponge bored with 25 uniform sized circles. The sponge was dyed with a water-based pigment in order for the fundamental property of the sponge to be changed, regenerating it as a new material. As in the principle of fiber organization, each individual was connected expanding the area. The created work was effective in showing the structure of space and was light in weight. Also, the work was in semi-perspective due to the holes, and the work's shape, in which holes were cut, delivered a plastic feeling. Since the work was placed in an indoor space, the feeling of a 3 dimensional plastic structure presenting plural space throughout the entirety of the work was presented.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this study. First, we found out through reference literature that a space concept is not absolute, but that physical space is a dynamic place that includes time and is recognized by subjective human behavior and experience. Second, the study found that an architectural space in which an artistic work is placed is recognized through a circular psychological process. Also, we determined that a human's feeling over space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architectural spac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walls, pillars, ceilings, and floors, and that these constitution elements can give a psychological influence to humans who exist in the space. Third, we found that wide views were given toward artists in the fields of fine plastic art and fiber art who have performed various studies on architectural space. Fourth, we changed an indoor space by introducing architectural elements to an artistic work based on the concept and theory stated above. In addition, we could create an experimental work intending to give a psychological experience to viewers through the division of color and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2. 건축공간과 조형예술에 관한 고찰 = 4 2.1. 공간 개념의 변화에 의한 건축과 미술의 결합 = 4 2.2. 건축공간의 구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영향 = 15 2.3. 건축 공간과 섬유예술 = 28 3. 표현 방법 = 32 3.1. 반복적 점의 표현 = 32 3.2. 색채에 의한 표현 = 39 3.3. 소재 = 47 4. 작품 제작 및 분석 = 49 4.1. 제작의도 = 49 4.2. 제작 과정 = 51 4.3. 작품 분석 = 54 6. 결론 = 76 참고문헌 = 79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1971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건축적 체험공간을 구획하는 투각된 점과 색채에 의한 섬유조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iber Art Created by Pierced Spots and Colors that divide the Experience of an Architectural Space-
dc.creator.othernameJang, Hae-Lim-
dc.format.pageⅸ,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