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유희성을 통한 의인화 표현 연구

Title
유희성을 통한 의인화 표현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Impersonate Expression through Play Instinct
Authors
강서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Keywords
유희성의인화한국화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고도 자본주의의 급격한 발달로 모든 것이 상업화되고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하여, 점차 인간 본연의 순수한 감정이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현대예술의 경향은 소비사회의 시스템 속에서 예술이 점차 하나의 소모품이자 기계적인 코드로 전락하여 예술 본연의 풍부한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 예술의 비인간화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인은 예술이 단지 시대적인 현실의 반영으로서 단순히 그 사회 상황을 표현하는데 그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진정한 현대 예술의 목적은 산업사회 속에서 기계문명의 발달로 메말라 버린 인간 본연의 순수한 감성과 정서를 일깨워 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본인의 작업은 이러한 사고를 기초로 인간의 잠재적 유희성에서부터 표출되는 자율적이고 희화적인 감성을 조형화 함으로써 인간의 원초적이고 역동적인 감성을 회복시키고, 본연의 소박한 정서와 조화를 이루어 인간과 예술과의 소통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인의 작업을 분석하기 위해서 먼저 이론적으로 창작 활동에서 보여지는 유희성의 정의와 그것이 회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그것의 표현수단으로써 도출된 감정이입의 역할을 통해 내면의 유희성이 조형화 되어 나타나는 표현 양상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이론적 연구의 실천으로 일상적 대상의 유희적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방법적 요소들을 대상의 의인화와 변형, 즉흥적 표현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고, 조형적 공간구성에서는 일상적 대상, 즉 자동차나 스탠드 등에 이입된 본인의 모습을 즉흥적인 선율 사용하여 희화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창작행위에서 나타나는 유희적 감성에 의해 표현되는 작품들을 분석하고자 한다.;Due to the commercialization and materialism in our society, the space for the display of natural human expression has disappeared. Under these phenomena, modern art has been reduced to expendables and a mechanical code in the system of our consumption-oriented. The appearance of the de-humanization phenomena in art has led to the forfeiture of the opulent meaning of art itself. I think that art should not simply express a social situation as a response to reality. The main goal of modern art must lie in recognizing humanity which has become sterile by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civilization in the industrial society. My works deal with the theme of recovering innate and dynamic human nature by expressing spontaneous and humorous emotions from latent play instinct, and illustrate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rt with harmonies which are intrinsic part of my emotions. To analyze my works, I first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a play instinct and its influence on painting, and considered various expressive ways of interior play instinct with empathy. Second, I discussed the methodology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playful drawing with elements of impersonation, transformation and extemporary expression. Finally, I plastically looked into the works expressed by play instinct through the humorous transformation of self-image brought into the daily objects, such as car, or table stand using impromptu lin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