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애-
dc.creator이지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2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294-
dc.description.abstractA work of art in general aims at something more than just visual satisfaction. It is a means of communication as it has been served for that purpose as well. In an artwork in the sense of communicative means, an artist or a designer is always trying to express something to viewers. In other words, artwork contains not only visual presentations but also messages to be conveyed. Every element or method of art can be used for such an artistic communication. Elements such as abstract line, color and form can be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 express an idea or feeling. There exist no distinct regulations on what to be done and not to be done in resolving the visual problems. If we can express, however, a visual object more in a logical way when we see and perceive it, we will enhance efficiency in creating artistic forms.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on a GESTALT theory, the so-called 'Gestalt psychology" which has taken an intermediary role in settling these problems. The basic principle set by Gestalt is that a human being does not perceive a visual object in parts, but entirely as a unified object. According to the theory, a person sees or perceives a mixture of different images simply as a whole. It befits the basic attributes of our brain that can adjust and accumulate varied information in the way we want. Normally we are more attracted to obscure things, associating them with concrete shapes or imagining about them. This is because our brain gets more curiosity over something unknown or unclear than over clear, well-known and common shapes. If we can choose only those we want out of diverse visual information, discarding unnecessary parts, people will be more interested in the artistic image. The simpler artistic image is, the more interests we will get. According to Gestalt, experience and learning take a great role in human' s perception of a form. If an object is simplified in artistic way through selecting discarding process, the missing part can be complemented by human experience. By throwing away unnecessary parts and emphasizing the parts to be underlined, we will maintain harmony and order for the artistic object, there by achieving more efficiency in the visual information. Considering this theory, a good work of art can be made from a very consolidated and simplified image, giving viewers visual pleasure and interests accompanied by association and inference. The object used in this study is 'the zoo'. A variety of interesting shapes and patterns of animals are used for this research. I have tried to research, using Gestalt theory, methods of expression to efficiently deliver visual pleasure and information as if viewers have a joy to solve picture puzzle.;일반적으로 예술품은 단순한 시각적인 만족이상의 목적을 갖는다. 예술은 어디까지나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며 또한 그래왔던 것이다.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으로서의 작품에서는 예술가나 디자이너가 보는 이에게 꼭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작품에는 시각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고려되어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미술의 제반 요소들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어떤 아이디어나 느낌을 표현하는 데는 완전히 추상적인 선에서부터 색채와 형태에 이르기까지 이것들은 상당히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시각적인 문제 해결에 있어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될 것에 대한 분명한 규정같은 것은 없다. 하지만 우리가 어떠한 시각적 대상을 보고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한 부분을 좀 더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다면 어떠한 조형을 창작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형태심리학인 게쉬탈트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게쉬탈트란 사람이 시각적 대상을 지각하는 형태로서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전에 통일된 전체로서 지각한다는 것을 기본원리로 하고 있다. 서로 다른 것의 밀착이나 결합된 이미지를 무리지어진 하나의 덩어리로 단순화하여 보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 뇌의 원하는 것을 정리하고 하는 정보 수용의 기본적 속성을 잘 설명해 준다. 때때로 우리는 모호한 형상에 더 많은 매력을 느끼며, 연상하고 상상을 하는데 이것은 뇌가 이미 너무나 흔한, 잘 알고 있는, 확실하게 모든 것이 드러난 시각정보보다는 무언지 확실하게 알 수 없는 형태에 더 많은 호기심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각정보를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필요하지 않는 부분을 버리고 단순화할수록 사람들은 이러한 조형이미지에 더욱 흥미를 갖게된다. 게슈탈트에 의하면 사람이 형태를 인식하는데에는 경험과 학습이 많은 역할을 하는데 대상이 조형적으로 단순화되거나 삭제가 되었더라도 그 정보 부족 현상을 자신의 경험으로 보완한다. 이렇듯 불필요한 부분은 버리고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강하게 강조를 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조형의 질서를 유지하고 필요치 않는 정보는 최소한으로 줄여서 시각정보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런 이론들을 바탕으로 아무리 통합되고 함축된 이미지라도 사람들로 하여금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만이 아닌 연상과 추리를 동반한 흥미로우면서 시각적으로도 즐거움을 주는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작품은 'the zoo'(동물원)을 소재로 하여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와 재미있는 패턴들을 이용하여 어떻게 보면 관람자가 게임(숨은 그림찾기)을 즐기듯이 시각적 즐거움과 정보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표현방법을 게쉬탈트이론을 이용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 3 Ⅱ. 시각인지 = 5 A. 감각과 지각 = 6 B. 인지과정으로서의 예술적 지각 = 8 C. 형과 형태의 지각 = 11 Ⅲ. GESTALT = 15 A. GESTALT의 개념 = 15 B. 게슈탈트 법칙 = 17 C. 형태심리를 이용한 작품사례 = 21 Ⅳ. 작품전개 = 31 1. 제작의도 = 31 2. 표현의 방법 및 작품분석 = 32 Ⅴ. 결론 = 51 ABSTRACT = 54 참고문헌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29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Gestalt 이론-
dc.subject활용-
dc.subject조형표현-
dc.subjectGESTALT THEORY-
dc.titleGestalt 이론을 활용한 조형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XPRESSION THROUGH GESTALT THEORY-
dc.format.pagev,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