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영-
dc.creator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28-
dc.description.abstract제 7차 중학교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국어사용 능력이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표현 영역과 이해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국어교과에서 목표로 삼고 있는 국어사용 능력은 기존 지식의 단순 수용이나 표출 능력이 아닌, 언어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하여 사고와 언어를 연결지어야 하는 지적 기능으로서의 고등 정신 능력이며, 문제해결 과정을 필요로 하는 창의적 사고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어 과목은 풍부하고 다양한 언어 활동을 통해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고등 사고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어 교육의 방법 역시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끌어들이고, 학습자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한 지식이 실제의 국어 사용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수업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고 흥미와 즐거움을 주며 언어사용능력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실천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국어교육의 방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자연스러운 가상적 상황 속에서 유의미하고 실제적인 언어 활동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 교육연극이다. 교육연극은 교육과 연극이 만나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새로운 차원의 교육 방법으로 여기서는 참여자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고 행동할 수 있으며, 주체적인 경험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사고와 자긍심을 갖게된다. 또한 자기 개발의 창조적 과정을 통해 합리적인 사고와 총체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도 교육연극은 언어를 직접 사용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상황을 제공하며, 개별성을 존중하면서 협동성과 학생들 개개인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은 학습자들이 서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상황에서 유의미한 활동을 통합적으로 할 때 효과적으로 길러질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교육연극은 국어 교육에서 추구하는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연극은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상대방에게 정확하고 충분하게 전달해야 하는 자기 표현력이 중시되기 때문에 언어교육, 그 중에서도 표현교육에 매우 효과적인 학습 매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영역에 해당하는 말하기와 쓰기를 교육연극과 관련해 학습했을 때 더욱 풍부하며 효과적인 표현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어 말하기 및 쓰기 교육의 한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통합적인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교육연극을 국어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말하기 및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고 긍정적인 학습 태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Ⅰ장에서는 기존의 교육연극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연구들을 언급했고 국어교육에 교육연극이 필요한 이유와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교육연극의 구체적인 개념과 교육적인 의의 그리고 교육연극의 효과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는 학습이론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렇다면 이러한 교육연극이 국어교육과 어떠한 면에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쓰기 교육의 통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육연극의 교수-학습 실제 부분으로 연구 질문을 설정하고, '준비활동→극적 동기 조성하기→표현활동 계획 세우기→말하기 표현활동→전체토의 및 공유하기→쓰기 표현활동→정리 및 평가' 단계로 이어지는 교육연극 모형을 구안한 뒤, 이 모형을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따라서 각 차시별 교수-학습 활동 내용을 나열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들을 살펴보았으며, 좀 더 자세한 사례연구를 위해 관찰일지를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정해진 교육과정 안에서 연극 활동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문제점의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교육연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현장 적용을 한 후, 학습자의 말하기·쓰기 능력 및 학습 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 이전·이후의 말하기 및 쓰기 검사, 설문지 분석 결과, 학생 면담 결과, 연구자의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Ⅴ장에서는 이러한 실험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학습자의 총체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켜 나갈 수 있으므로 국어교육의 다양성을 위해서도 하나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어 교수·학습 방법의 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과 이러한 교수·학습 결과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 개발의 창조적 과정을 통해 총체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The 7th course requirement in middle school education has designated 'improving creative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as the ultimate ai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refers to oral communication, audition, reading and writing. In other words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the ai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more than simply ability to communicate. It is the advanced ability to differentiate information, reconstruct meanings and produce knowledge, and is also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necessary for problem solving. As such, the ultimate goal for Korean language courses, should be the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 through abundant language activity. To accomplish this goal, students have to have a voluntary and positive affinity for classes, their range of experience should be respected and there needs to be a focus on students' creativity. The instructor has to provide a practical program for comprehensive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instruction, that increases opportunities for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that is interesting and enjoyable for students. One of these programs is the often-encountered educational drama which, through suitable physical actions and real activity in a natural situation, students can learn language enjoyably. Educational drama is an amalgam of education and drama where every participant plays the lead, and is a new educ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can use their own judgements and decisions in their actions, and through a subjective experiencing process, come to acquire positive thinking and pride. In addition, through a creative process of self-development, students can acquire rational thinking and integrated perspective. More than anything else, educational drama provides a meaningful and realistic situation for the utilization of language, while emphasizing individuality, cooperation and mutual interactio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can be effectively developed when students participate in meaningful integrated activities in realistic situations that have mutual interaction. In this respect, educational drama can be an effective program for cultivating 'creative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that is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drama emphasizes self-expression ability for accurately and sufficiently conveying intent and emotion, it can be a highly effective educational medium for languag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expressive education. Therefore studying oral communication and writing, which fall in the domain of express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drama, can bring about substantial growth of expressive ability. As such,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class model that utilizes educational drama, and seeks to prove that using educational drama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develops oral communication and writing skills and brings about positive changes to students' attitude to learning. Chapter Ⅰ, presents existing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using educational drama, reasons for the necessity of using educational dram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Chapter Ⅱ, deals with the detailed concept and significance of educational drama and presents the learning theories that can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drama. Further, the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is relevant to educational drama is sought, and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oral communication and writing education that utilizes educational drama, is discussed. In Chapter Ⅲ,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eaching-studying parts. The following educational drama model was devised and was applied in the classroom : 'preparation activity creating motivation for drama→planning expressive activity→oral expression activity→overall discussion and pooling of results->expressive writing ability→organization and assessment'. By organizing the details of each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and analyzing the diverse reaction of the students, a program for instructors in applying drama activity to a given educational process, is presented. The details of the teacher-student activities for each lesson were listed and the diverse reactions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Also a record of observation was kept for a more detailed case study. In Chapter Ⅳ, a detailed program is proposed for teachers applying drama activities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schemes for solving problems are discussed, in addition, the effect on students' oral communication ability, writing ability and attitude to learning, of applying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utilizes educational drama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was tested and the results of students' oral communication and writing assessment, questionnaire analysis,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before and after a program of educational drama, were analyzed and presented. Chapter Ⅴ deals with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at result from this testing proc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utilizes educational drama is realized through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magination, and students' overall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can be effectively enhanced. Educational drama needs to be established a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divers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a model for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studying for the 7th course requirement in middle school education By this method, students, through a creative process, were able to improve their overall Korean language utilization ability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truly student-centered dire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교육연극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 8 1. 교육연극의 개념 = 8 2. 교육연극의 교육적 의의 = 13 B. 교육연극과 관련된 학습이론 = 16 1. 총체적 언어교육론 = 16 2. 협동학습 = 20 3. 구성주의적 관점 = 24 B. 교육연극과 국어교육 = 27 1. 국어교육 매체로서의 교육연극 = 27 2.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쓰기 교육의 통합 = 39 Ⅲ. 교육연극 모형을 적용한 교수 - 학습의 실제 = 45 A. 실험 설계 = 45 1. 연구 질문 및 대상 = 45 2. 실험 절차 = 46 B. 교수 - 학습 모형 구안 = 57 C. 교수 - 학습 활동의 실제 = 64 1. 다양한 상황의 연극적 경험을 통한 언어활동 = 64 2. 문제 해결을 위한 논리적 언어활동 = 91 3. 문학의 재구성 및 창작을 통한 언어활동 = 118 D. 관찰일지 기술 = 14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54 A. 교육 연극의 수업 현장 적용 방안 = 154 1. 교육연극의 적용이 가능한 중학교 교과서 단원 추출 = 154 2. 교육연극 현장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156 B. 교육연극이 말하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161 1. 실험 전·후의 말하기 및 쓰기 능럭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161 2. 상·하위 수준별 말하기 및 쓰기 능력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163 C. 교육연극이 말하기 및 쓰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168 1. 말하기 및 쓰기에 대한 태도변화 = 168 2. 상·하위 수준별 말하기 및 쓰기에 대한 태도 변화 = 170 D. 교육연극 활용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 분석 = 174 1. 사후심층설문 응답 결과 분석 = 174 2. 면담 결과 분석 = 177 Ⅴ. 결론 및 제언 = 181 참고문헌 = 187 부록 = 189 Abstract = 2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428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연극-
dc.subject통합-
dc.subject국어사용능력-
dc.title교육연극을 활용한 통합적 국어사용능력 향상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말하기, 쓰기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2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