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명희-
dc.creator서명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72-
dc.description.abstract지난날 우리는 근대화 과정에서 물질위주의 급속한 산업사회 발전논리만을 지향해왔으며, 그 결과의 반영체인 지금의 도시환경은 인간과 함께 진화 발전하는 유기체로서의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지 못하고, 미적 인간적 측면에서 긍정적 생존여건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짓는 틀이며, 색채로 둘러싸인 환경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은 정보의 80%이상을 시각에 의존하므로, 색채환경은 인간에게 중요한 생존여건으로 작용한다. 또한 환경 색채는 생명유기체인 도시가 생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이자 정보로써 건강과 안전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의 이미지를 좌우하고 인간의 삶의 질과 결부된 환경색채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색채가 가진 경제적 가치상승 효과와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효과를 충분히 활용해오지 못했다. 그 결과 우리의 도시는 무질서와 커뮤니케이션의 혼돈으로 인한 각종 사회병리에 시달리고 있으며,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도 도시의 미적 가치를 상실함으로써 시민의 삶의 의욕과 긍지를 위협받고 있다. 즉 현재의 도시색채환경은 더 이상 시민의 생존에 긍정적 강화조건으로 작용하지 못하며, 이러한 도시환경문화로는 21C 세계화시대의 도시간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지금의 무질서한 색채환경의 문제는 개인의 차원을 넘어 정부와 사회가 공동으로 극복해야 하는 환경문제(environmental issue)로 인식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사회적 투자와 관심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생존가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시스템적 관점에서 도시환경의 병리적 현상을 색채로 진단, 평가하고, 이를 치유하기 위한 생존의 원리를 자연의 색채에서 발견하여 그 처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계획의 기준 및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색채환경은 인간의 삶과 문화의 지표이므로, 환경색채계획을 통해 인간사회의 병리적 현상을 진단, 평가, 치유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논증하기 위한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세계관을 토대로 한 환경디자인 이론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환경색채계획을 위한 이론적 준거의 틀을 마련하였다. 먼저 연구의 대상인 환경색채를 다루기에 앞서, 그 배경이 되는 환경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해 살펴보고,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행태과학적 접근으로 스키너의 행동분석과 깁슨의 생태학적 지각, 환경의 미적지각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도시색채환경의 현황을 시스템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의 병리적 현상은 무질서한 색채환경에 기인한 것임을 밝히고, 네가티브 엔트로피를 제고시킬 수 있는 환경색채계획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간사회의 병리적 현상을 치유하기 위한 생존원리를 발견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관점에서 자연의 생존원리와 색채기능을 살펴보고, 생태미학적 환경윤리적인 전통문화의 색채관을 살펴보았다. 네째, 자연색체계 NCS가 환경색채계획 도구로서 적합함을 밝히고, 환경색채계획에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위해 색채조화원리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계획의 기준 및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색채는 배경색 이어야 한다.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 색채사용이 필요하다. ·환경색채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주변 환경과 조화되어야 한다. ·4계절의 변화에 적합하여야 한다. ·색상중심의 배색에서 색조(명도, 채도)중심의 배색으로 바꿔야 한다. ·환경친화적 안료의 사용과 색료 배합의 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건축 외장 색채의 빛 반사율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꾀해야 한다. ·색채항상성을 고려하여 외부와 내부의 주조색을 선정한다. ·환경색채의 변수(면적, 재질, 위치, 광원)와의 관계성 속에서 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녹지공간 확보로 도시경관을 풍요롭게 한다. ·경관조명을 통한 도시야경의 관리가 필요하다. ·슈퍼그래픽을 활용하여 노후된 건물이나 낡고, 혐오적인 장소를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위장할 수 있다. ·환경색채계획을 위한 표준색의 제정과 보급이 필요하다. ·과다. 광고물, 간판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설정이 필요하다. ·아파트 외장색에 대한 시정과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도시형 버스의 체계적인 색채 코드화가 필요하다. ·행정적 제도적 규제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홍보와 교육을 통한 전국민적 계몽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개선이 가능한 색채의 효율적 가치를 이용해야 한다. 여섯째, 본 연구의 결과와 한계점을 밝힌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 확보는 색채환경의 개선과 환경색채조화를 위한 새롭고 타당한 계획의 수립과 그 실천적 창조적 노력으로서 가능하다는 사실과 함께 전문가 및 관련분야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21세기는 빛과 색으로 대변되는 정보 또는 신지식 기반산업으로서 계획과 디자인 시대의 경향으로 특징 지워진다. 개선과 혁신이 없는 삶의 상태는 무의미한 것이며 색채에너지 활용으로서 사회를 통합하고 동태적 환경문화 창조와 환경윤리의 확보 가능성은 색채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정부와 사회의 지속적 관심과 투자에 의한 실천적의지로서 그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생존가치를 회복하고, 나아가 통합환경 조성과 문화적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During a few decades, we have pursued the logic of rapid growth of industrial society based on the materialism. As a result, the present city environment failed to achieve systematic viewpoint as an organism which evolved with human, and to secure positive affordance from the view of humanism and aesthetics. Because environment is framework that decide human's thought and behavior, and because human who live in environment that surrounded by color depends more than 80% of information by sight, color environment is an important survival condition to human. Also, environmental color is involved nearly health and safety as necessary energy and information for existing life organic city. However, by lack of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 color that dominate image of city and is linked with human's quality of life, we had not utilized enough economical value rise effect of color and effect about qualitative elevation of life. As a result, our city is vexed, and is threatened volition and dignity of citizens' life losing aesthetic value of city in sociocultural aspect chaos and various social disease states by disorder and chaos of communication. That IS, present city color surrounding do not act as an ,affirmative condition to citizens' survival any more, and this city environment culture can not secure country competitive power between city of 21 C globalization age. Therefore, problem of present disordered color environment should be realized by environmental issue that government and society must overcome jointly passing over individual's dimension, and continuous social investment and interest are required. Therefore, to recover human's value of life, this thesis diagnosed and evaluated the urban pathology by the color in the view of systems, and wished to present standard and guide of environment color plan for city environment improvement by finding principle of survival to cure this in color of nature and draw the prescription inside. It hypothesizes that 'Environmental color is the index of human's life and culture, therefore can diagnose and evaluate and cure pathological phenomenon of human society through environment color plan.', and progress process of this research to demonstrate this hypothesis is as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provided model of theoretical authority cited for environmental color plan by examining research tendency of theory that is environmental design on the basis of new view of the world. First, before handling environmental color that is target of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d about environmental design paradigm that becomes the background and investigated Skinner's action analysis and ecological perception of Gibson and aesthetic perception by a behavior science access form to examine rela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Second, by diagnosing present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al color and analyzing problem from systematic viewpoint, phenomenon, this research made clear that social pathology was originated from disordered environmental color and proposed necessity of environmental color plan that can make negative entropy. Third, to find survival principle to cure pathological phenomenon of human society, this research examined survival principle of nature and color function, and investigated the view of color in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ecological-aesthetical and environmental-ethical. Fourth, natural color system NCS was cleared as an appropriate environment color plan tool, and was examined color harmony principle for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in environment color plan. Fifth, this thesis presented standard and guide of environment color plan for city environment improve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and these contents are as following. · City color must be background color. · Need to use color that coincide purpose and function. · Environmental color must reflect special quality of area. · Should be harmonized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 Should be suitable in change of 4 seasons. · Must change to color nuance (lightness, chromaticness) from hue color. · Must improve the use of environmental friendship pigment and the method of color mixing. · Must consider color light reflectance of construction armor and energy efficiency for energy curtailment effect. · Must choose main mixing color of outside and indoor by considering color homeostasis. · Color plan must consist in relation department with environmental color variable (area, quality of material, position, source of light). · Do townscape as is rich by green area space security. · Need to manage of city night view through spectacle lighting. · Utilize supergraphic for disguising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old and superannuated building and area. · Need presentation and diffusion of standard color for environment color plan. · Need reasonable standard setting for excess advertisement, signboard. · Improvement way should be readied with correction for apartment armor color · Need systematic color encode of a city style bus. · Must ready administrative · systematic regulation device. · Need whole country census registration enlightenment and transfer of awareness through publicity and education. · Must driv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 · Improvement must use efficient value of possible color at short period into small expense. Sixth, clear result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n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by establishment of new and sound plan and the nuts-and-bolts creative effort for improving and harmonizing environmental color that secure quality of life. It is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ith specialist and connection field. 21 th century was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up-to-date knowledge base industry, and design age, which were spoken in words of color and light. State of life that there is no improvement and reform IS meaningless. Possibility of integration society through practical use of color energy, and security environment culture creation and environmental ethic may find from color. This may be possible the realization as nuts-and-bolts will by government and social continuous interest and investment. I desire that this thesis can contribute to recover value of human's survival, and furthermore make integration environment and culturally cloth pro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새로운 세계관 - 환경디자인 이론의 연구동향 = 3 2.1. 환경디자인 패러다임 = 3 2.2. 인간 - 환경에 대한 형태 과학적 접근 = 6 2.2.1. B. F. Skinner의 행태과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 = 7 2.2.2. J. J. Gibson의 관점에서 본 생태학적 환경지각과 지원성 = 15 2.2.3. 환경의 미적 지각과 그 의의 = 18 2.3. 요약 및 정리 = 20 Ⅲ. 도시 색체 환경의 현황진단과 문제점 = 22 3.1. 시스템적 관점에서 본 도시환경과 색채의 기능 = 22 3.2. 삶의 질과 문화의 지표로서 색채환경 = 27 3.3. 색채로 진단해 본 병리적 도시환경 = 30 3.4. 환경색채 계획의 필요성 = 44 3.5. 요약 및 정리 = 47 Ⅳ. 자연질서의 법칙으로서 색채조화 = 49 4.1.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자연의 생존원리와 색채기능 = 49 4.1.1. 생태계의 개념과 생명존속 원리(Odum의 관점으로) = 49 4.1.2. 생존을 위한 자연의 색채기능 = 64 4.2. 생태 미학적 · 환경 윤리적인 전통문화의 색채 = 80 4.3. 자연색체계 NCS (Natural Color System) = 85 4.4. 색채 조화의 원리 = 90 4.4.1 색채조화의원리 = 90 4.4.2. 자연의 색채조화원리 = 95 4.5. 요약 및 정리 = 100 Ⅴ. 환경색채계획의 적용 방법 = 102 5.1. 환경색채 평가 기준 = 102 5.2. 환경색채계획의 과정 = 103 5.3.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계획의 기준 및 지침 제안 = 104 5.4. 환경색채계획의 적용사례 = 113 5.4.1. 우리나라 도시경관의 개선 현황 = 113 5.4.2. 디자인 선직국의 환경색채적용 사례 = 115 5.5. 요약 및 정리 = 118 Ⅵ. 결론 = 120 참고문헌 = 127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499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색채-
dc.subject도시경관-
dc.subject색채환경-
dc.subjectTownscape-
dc.title색채의 환경적 기능과 도시경관효과 향상을 위한 조화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nviromental function of the color and the harmonic methods for improving townscape-
dc.format.pageviii, 132 p. : 삽도, 색채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