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은주-
dc.creator신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3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의식무용인 佛敎舞踊중에서 法鼓춤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본고는 齋儀式에서 골자를 이루는 佛敎儀式舞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法鼓춤의 진행절차와 분석을 통해 미적특성을 밝히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佛敎舞踊은 장중하고 엄숙하게 움직여지는 諍中動의 내향적인 양상으로 심오한 감정을 풍겨 뛰어난 藝術性을 가지고 있다. 특히 法鼓춤은 法鼓가 木魚, 大鐘, 雲版과 함께 불교 四物악기 중 하나로, 그 울림으로써 대중들을 제도하는 형태의 춤으로, 춤추는 자체가 法式이며 춤으로 이어지는 흥과 멋이 우리춤의 한 流로서 그 특성을 밝힐 수 있기 때문에 촛점을 둔 것이다. 이 땅에 불교가 들어와 국교로서 인정받고 널리 퍼지게 된 것은 이미 삼국시대의 일이니 그 역사가 짧지 않다고 하겠다. 특히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우리 문화는 가히 拂敎文化라고 부를 수 있는 모습을 갖게 되어 불국사, 팔만대장경 등 유형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다. 토속신앙과 섞이고 대중의 현실적인 기원이 적절히 스며들어 형성된 이 땅의 불교는 나름대로 우리 민족의 심성과 의식을 표출시키는 면이 있다. 齋가 행해지면서 무용과 음악은 자연적으로 발생되었고 그 형식은 점차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 음악은 梵唄, 梵音, 인도소리, 어산이라고도 하며 가곡, 판소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성악 중 하나로 보존되는 귀중한 자산이다. 무용은 作法 혹은 着服이라고도 하는 것인데 齊式 중 가장 큰 규모인 영산재 중 부처님께 순수한 음식공양으로 이루어지는 食堂作法속에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기타의 재에도 요잡이라하여 곡목과 곡목사이에 빈번히 추어진다. 作法에는 나비춤, 바라춤, 타주춤 그리고 法鼓춤이 대표적이다. 부처님의 공덕을 기리고 불도를 깨우치게 하여 중생들을 모두 극락세계로, 부처님의 세계로 오게 하는데 목적이 있음을 불교무용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바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하여 法鼓춤의 진행절차와 춤의 동작분석을 통한 法鼓춤은 첫째, 부처님의 공덕에 감동시키는 신앙심을 불러일으키며 고통이나 좌절에서 벗어나게 하는 해방감이 있어 정신적 신앙심과 종교적 기능과의 융합을 승화시킨 춤이라는 점과 둘째, 法鼓의 소리의 형태가 그 소리를 듣고 부처님께 따라오게하며 제도하고자 하는 舞具라는 점이다. 세째 북의 울림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효과로 불교무용의 지극한 상징인 敎化, 圓滿, 慈悲, 歸依에 깊이를 더하는 身業供養의 춤이다. 네째, 법고춤의 진행절차에서 대중 공양의 하나인 식당작법은 가무극적 요소로 편성된 의식임을 알 수 있다. 불교음악인 범패, 작법 그리고 음식공양이 그 요소이다. 다섯째, 법고춤의 동작소 비교 및 분석 결과 나비춤, 타주춤에 비해서는 動的이며 방향만 전환하고, 타주춤은 별동작없이 八正道만 도는 의식춤에 비해서 양손발 마주치기, 뒷북치기, 옆치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동작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불교의식 무용이 가지는 한국무용으로서의 가치를 살펴봄으로서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법고춤을 비롯한 나비춤, 바라춤, 타주춤은 재식에 참여하는 대중과 지옥의 중생, 허공의 중생을 부처님께 제도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베풀어져 의식의 의의를 잘 반영하고 있다. 둘째, 불교의식에는 무용과 음악에 독특한 개성이 있다. 불교의 음악인 범패에는 단성선율로 이루어진 화음으로 자연미를 풍겨 듣는이의 마음을 동화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불교무용인 작법은 종교적 기능과 정신적 신앙심을 잘 융합시키고 舞具의 표현으로 대중을 제도하고자하는 美的 특성이 내포되어 있다. 세째, 불교무용에는 시대적, 문화적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전통문화계승으로서의 가치와 의의가 높이 평가되어 보호육성해야 한다. 불교무용은 종교적 의식을 수반하여 형성되었으나 근원적으로 우리춤의 원초적인 모습을 띤 다양한 성격을 내포하고 있어 한국무용의 한 流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The thesis studied centering around Bup-Go Dancing out of the Buddhist Dancing which is a shape of ritual dancing in our Dance. The purport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an aesthetic Characteristic through "Bup-Go" Dancing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Ritualistic Dancing which is essential part of Various Ceremonies. The Buddhist Dancing is introversive aspect that's solemn and is gravely moving, steadiy and expressing profound emotion and has superior artistry. Especially, in the Bup-Go Dancing, the Bup-Go(little drum that is use for in frout of Buddha)is one of the Buddhist's four SA=MOOL instruments together with MOK-EO, MOK-JONG, and UOON-PAN, and the type of dance which would salvate the masses by its ringing-out, the dancing itself is a kind of Buddhist ritual and so, we focussed to clarify its characteristic as a stream of our dance of mirth and zest which linked together to the Dancing. It was already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Buddhism flowed into our country and recognized as a national religion, therefore, its history is also long. More over, went through the era of unified silla and koryo, dynasty, our culture appeared as a Buddhist culture, and at last, kept in lots of tangible cultural assets, such as, Bool-GOOK Temple and the Tripitaka Koreana. Our country's Buddhism that was mixed with the folk-belief and properly sunk into the masses' realistic wishes have aspect of which expressing our nation's nature and consciousness. When the religious service is going on, Dancing and Music was naturally originated and we can percive its form was gradually developed and resulted in today's circumstances. Music in Buddhism called with BUM-KU, The BUM-KU called sometime as BUM-UM, VOICE OF INDO, or EO-SAN, and it is one of vocal music in our three great vocal musics and preserved as a valuable property. Dancing is called as JACK-BUP or CHAK-BOK and during the service is purforming, most of it is containing in the SIK-DANG JACK BUP wich is accomplishing pure food providing for Buddha in the most big YUN-SAN JAE service. In the religious service it was called as O-JAP and frequently performed between two Dances. There are butterfly dance, Bara-dante, Ta-JOO-Dance, and Bup-Ko dance in JACK-BUP and they are representative dance. It would ve known by examin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Dancing that the purpose was to let every mankind to call in the world of Buddha, such as, the abode world of perfect bliss by reminding Buddhist doctrines and pay tribute to the Buddha's merit. With foundation of this theory, the BUP-GO Dancing through its procedure and analysis of movement of the Dancing is effecting visual and sensitive for salvage of all mankind by ringing up Drum and the dance expedite its depth with the evangelization, perfection, compassion, and devotion of the utmost symbol of Buddha's dance, and its mo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produce lightly as if butterfly motion, and even showing soft but strong comparison. Also, the lower part of the body as a one step is starting point and is rotate the body with left and light or one round, it would achieve big width and require moderation and softness, and we will understand the motion of BUP-GO Dancing is a stage in which it contain our every dancing elemeuts of subtle charm. As 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BUP-GO Dancing can be summarized as the beauty of harmony and expressiveness as follows : First ; the dance which inspire religious mind of impression of Buddhist merit, and also by giving a sense of release to get rid of pain or frustration, and it would sublimate the fusion between the moral faith and the religious function. Second ; the form of sound of the BUP-GO is a instrument of the woman in the service of a God which lure to follow to the Buddha by listening the drum's sound and try to redeem their mankind. The Buddhist Dancing is SIN-UP GONG YANG toward the Buddha which is containing most of Buddhist's ceremony, and the performer of the ceremony perform with distinct rite and as a concrete figure that rooted into the life of the whole masses and formated with religious ceremony and it contained various character which bears primitive figure, therefore, it may be said forming a Korean Dancing mo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1 Ⅰ. 緖論 = 4 A. 硏究目的 = 4 B. 硏究方法 = 5 Ⅱ. 佛敎樣式舞踊의 이론적 背景 = 6 A. 由來와 變遷 = 6 B. 齊와 食堂作法 = 9 Ⅲ. 佛敎樣式의 構成 = 14 A. 동원매체 = 14 1. 佛具와 配役 = 14 2. 音樂과 舞服 = 17 B. 佛敎舞踊의 種類 = 21 1. 나비춤 = 21 2. 打柱춤 = 22 3. 바라춤 = 22 4. 法鼓춤 = 23 Ⅳ. 法鼓춤의 分析 및 美的 特性 = 24 A. 춤의 進行節次 = 24 B. 춤의 動作分析 = 32 1. 法鼓의 機能 = 32 2. 춤의 動作素 比較 및 分析 = 34 C. 法鼓춤의 美的 特性 = 36 Ⅴ. 結論 = 39 參考文獻 = 41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11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불교-
dc.subject의식무용-
dc.subject법고춤-
dc.subject무용학-
dc.title佛敎儀式舞踊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法鼓춤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Buddhist ritualistic Dancing : Ceutering around "Bup-Go" Dancing-
dc.format.pagei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