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9 Download: 0

전문대학 비서영어교재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 요구분석

Title
전문대학 비서영어교재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 요구분석
Other Titles
needs analysis on english textbooks in college secretarial curriculum
Authors
조윤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비서학과
Keywords
전문대학비서영어교재교수장학습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have been most desired qualification for the professional secretaries in the times when English is regarded as a survival strategy. In this respect, in- depth and focused researches for English education in college secretarial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actively. For most students and instructors in EFL context like Korea, English textbook is the main sourc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even in college-level education. Needs and demands, therefore, from learners and teachers currently using the textbook must be considered very high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rable way toward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English textbook for college secretari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instructors on the English textbook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research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in order to make a pertinent research tool suitable for the context in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in college by reflecting various opinions from the informants. For the qualitative study, 101 students and 7 professors were chosen for open questionnaire. In the second stage,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from the result of the first stage and literature review. For this stage, 424 students and 17 professors responded to a survey about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needs on secretarial English textbook.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n textbooks, students generally showed a strong dissatisfaction toward the lack of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spite of their good opinions on the original works of English education. For professionals, they regarded the practicality as a higher priority than anything else when choosing textbooks. Second, the situation of facing foreigners in the real world was most desirable among students related with the subject in textbooks showing that they strongly want subjects related with the practical expressions used in the real coimmunication with the real foreigners. Many topics related with the major were ranked higher than general topics such as sports, or entertainment suggesting that secretarial English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in ESP model. Among professors, telephone and guest controlling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uses for secretaries were the most desired topics. Although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ant the topics close to the major, professors are differentiated by showing that they want more traditional topics on the real practices of secretaries from students who want to add more various and fresher themes in the textbook. Third, related with the classroom activities, the activities with the visual materials like pictures, tapes and videos and with pop songs were the most wanted among students. Although they showed the negative opinions about the English-only classes, but they also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 conventional way of learning English such as memorizing and whole group activities. The most desirable activity among professors is practicing conversation used in the real business practice by questioning and answering and the least desirable activity is teaching with pop songs. On the other hand, study with pop songs was one of the most desirable among students showing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focus on layout, design and practicality, all the items showed strong demand and the differences among study groups were almost ignored. Fourth, the opinion differences between the each grade group of students and the professor- student group appeared very obviously in various areas. Compared with each grade group in the student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tudent groups are much more noticeable. This result shows that group characters must be conside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especially in professor-student group must be compromised adequately in developing and choosing future secretarial English textbooks.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assume very complicated and various aspects. Specifically, it appeared that the contents of requirement got more detailed and complicat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preference. Therefore, more attention needs to be put to find out their needs in timely and sensible way, and the textbooks reflected those needs after thorough analysis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rid learning process. On this research, the qualitative study was done on the purpose of grasping the reality of the context in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in college, and based on the systematic way with the research tools developed from the study result, the very essential and practical data which meet the demands of the goal of education, professors, and students could be provided.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to various areas of not only the English textbook selection and development for secretaries but also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Needs analysis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very usefu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eaching method toward learner-centered education. Related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hich are considered to be complemented on the later study, first, the number of sample professors was much lower compared with the number of sample students, second, the match between respondents and texts was not clear, third, the period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was considered to be short wh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inally, the study result with synthesis could be gained if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graduated and are working at the present as professional secretaries were reflected on the following study.;영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생존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21 세기가 요구하는 사무전문가로서의 비서직 위상 확립을 위해 다른 어떤 역할이나 역량보다 요구되는 것이 바로 영어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비서 영어 교육의 특정 영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고 연구의 대상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으며, 특히 비서 영어 교육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나 교수자의 관점 및 요구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영어 교재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영어 과목을 강의하고 학습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현재 실시되고 있는 비서 영어 교과과정 안에서 사용되는 비서 영어교재에 관해 교재 수요자, 즉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견이나 요구를 알아보는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교육의 비중 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대학 영어 교과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영어 교과에 사용되고 있는 비서 영어교재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비서영어교재의 선택과 개발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비서영어교재에 관하여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만족과 불만족에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고 교수집단을 대상으로 비서영어교재 선택기준을 파악한다. 둘째, 전문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서영어교재의 구성 측면에 관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를 파악한다. 셋째, 교재 만족, 불만족 변인 및 교재 내용 및 구성 측면 요구에 관해, 학생의 학년별 집단, 교수-학생 집단, 영어 학습 성향에 따라 구분한 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본다.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조사와 양적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질적 조사로서, 학생 101명, 교수 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위주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응답내용의 내용 분석을 통해 비서영어교육 상황에 알맞은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양적 조사로서의 본조사에서는, 사전 조사 결과와 문헌 연구를 기초로 구조화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 424명, 교구 17명을 대상으로 교재 만족과 불만족에 관련된 변인과 교재 내용 및 구성 측면에 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사전조사 분석 결과, 영어교재의 중요성에 비해 현 교재에 대한 만족도가 현저히 낮음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입증되었으며,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조사 대상 환경에 알맞은 측정 도구 개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측정 도구를 가지고 실시한 본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 만족 불만족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영어 원서에 대해 높은 호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해석이 없거나 설명이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강한 불만을 나타내는 등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구 내용을 보이고 있었다. 교수의 교재 선택 기준으로는, 비서 실무 적용이 가능하고 전공이 강조되는 점이 최우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준에 맞는 난이도는 교수들에 의해 가장 강조된 사항 중 하나이지만, 학생들은 교재 자체의 난이도 보다는 흥미로운 주제나 학습 활동 등을 통해, 그리고 부연되는 해석과 설명, 요점이나 단어 정리 등으로 난이도 측면이 보완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에 무조건 쉬운 교재로 접근하는 것 보다는 난이도의 높고 낮음을 조절하면서 중간에 충분한 해석이나 설명, 흥미로운 학습활동 등을 보충해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학생의 만족 불만족 순위에서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변인들이 교수의 교재 선택 기준에서는 가장 고려되지 않는 변인이 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교재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앞으로 교수자가 비서영어교재를 선택함에 있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라 하겠다. 둘째, 교재 내용 및 구성 측면 요구를 분석한 결과, 주제 및 소재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외국인 대면 상황이었는데 이는 기존 교재의 단편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외국인과 직접 접촉하는 여러 상황에서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표현을 포함하는 주제를 원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비서 전공과 관련된 내용이 대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스포츠나 연예, 방송 등 일반적으로 흥미를 가질 만한 주제는 모두 하위에 위치하고 있어 비서영어교재가 ESP 유형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해주고 있다. 교수들은 비서 실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화 응대와 손님 응대 관련 주제를 가장 원하고 있었다. 교수-학생 집단 모두 비서 전공과 관련된 주제 및 소재를 선호하고 있으나, 교수 집단이 전형적인 비서 직무 관련 주제에 국한되어 있다면, 학생 집단은 비서 전공 영역 안에서 좀 더 다양하고 참신한 주제가 추가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그림, 테이프, 비디오 등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학습과 팝송으로 공부하는 활동이었다. 영어로만 진행되는 수업에는 아직 강한 거부감을 보였으나 무조건 암기식이나 전체 그룹 활동과 같은 구 시대적 학습 활동에 대한 요구는 매우 낮았다. 한편, 교수들이 가장 원하는 학습 활동은 실무에서 쓰이는 대화를 질문하고 답하기 형식으로 연습해 보는 활동이고, 요구가 가장 낮은 항목은 팝송으로 공부하기였다. 팝송으로 공부하기는 학생 집단에서 가장 요구가 높았던 항목 중 하나로, 이러한 결과는 학생과 교수 사이의 중대한 의견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편집 및 디자인과 실용적 측면에 관련된 항목들에 대해서는 응답자 집단이 전체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고 순위의 변동만 있을 뿐 집단 간 차이도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구분한 학생의 학년별 집단과 교수-학생 집단 사이에서는 여러 영역에서 의견 차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교수-학생 집단 간 차이는 학생 집단 내의 학년 별 집단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나는 항목의 수나 차이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서영어교재 선택 시 학년과 같은 집단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교재 학습 대상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해주는 결과이다. 또한 교수-학생 집단 간 차이는 교재를 선택하는 집단과 선택된 교재를 학습하는 집단간의 차이가 극명하다는 사실을 나타냄으로써 앞으로의 비서영어교재 개발과 선택에 있어 적절하게 절충되어야 할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 학습 성향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영어 학습 성향은 특정 변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순위에는 포함되지 않았거나 높은 불만족과 낮은 요구 정도를 보인 변인이지만 바람직한 영어 학습 성향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특정 변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어교재 선택 및 개발 시, 순위에 포함된 항목 뿐 아니라 바람직한 학습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까지 고려함으로써 학생 집단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서영어교재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어 몇 가지 항목으로 일반화 시키기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교수 집단과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개인 특성이나 성향에 따라 요구의 내용은 더욱 세분화되고 복잡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수자나 교재 개발자들의 시기적절하고 세심한 주의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대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요구의 차이가 두드러진 점으로 보아, 수요 대상의 특성에 대한 신중하고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선택된 교재가 교수와 학습의 성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비서 영어교재의 실제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사전에 질적연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조사 도구를 통해 본 조사를 실시한 단계적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문대학의 교육 목표와 교수자,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영어 교재를 선택하고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이면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서영어교재 뿐 아니라 비서영어교육의 다양한 영역에 폭 넓게 적용 가능하며,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향하는 교과 과정이나 교수법 개발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요구 분석 항목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 수정 보완될 필요가 있는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대상과 관련하여, 학생 표본에 비해 교수 표본 비율이 현저히 낮았다는 것과 응답자와 교재와의 매치가 모호한 점, 영어 교과의 세부적인 목표나 교재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지 않은 점, 1학년 학생들의 경우, 비서 영어 교육 수혜 기간이 조사 기간을 기준으로 볼 때 비교적 짧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서 특정 비서영어교재로 학습을 하고 사회에서 비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졸업생의 의견까지 반영할 수 있다면 매우 통합적이며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