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하나-
dc.creator장하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21-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춤 속에는 어두운 그늘이나 슬픔의 한(恨)이 서려 있다. 그러나 한국의 춤은 한이 한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유, 희망, 희열의 경지로까지 승화시키는 신명의 세계로 이끈다. 이러한 신명은 결코 순탄치 못했던 우리 역사에서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데 있어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해 왔다. 신명은 가장 근원적이고 민중적인 생활표현의 예술적 원천으로 삶의 응어리진 한과 고통을 풀어헤쳐 삶의 활력을 주며, 공동체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유지시키면서 보다 나은 삶으로 발전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신명을 불러일으키는 내적 동인은 바로 ‘놀이’인데 이것은 민중의 의식에 내재적 존립근거로써 인간의 몸속에 들어있는 신명을 솟구치게 하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탈춤은 사회적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만들고자하는 지향점이 있으며, 민중들이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 줌으로서 사회에서 느낀 개인적, 공동체적 갈등을 해소하는 신명의 장으로써 탈춤속의 신명이야말로 민중의 가장 현실적인 신명풀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을 연구함으로써 탈춤 속에 신명이 어떻게 나타났으며, 탈춤에 있어서 신명의 역할을 규명하여 우리 춤이 갖고 있는 신명의 특징을 이해함과 동시에 창작춤을 지향하고 있는 오늘의 무용에 있어 신명이 중요한 정신적 바탕이 됨을 인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적 연구와 시청각자료 연구를 기반으로 신명의 개념과 기능을 고찰하여 신명의 본질에 대해 파악하고, 양주별산대놀이의 유래 및 배경, 과장의 구성과 내용, 춤사위의 구조와 내용, 갈등구조와 내용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을 사회적 신명, 삶과 죽음의 신명, 뒤풀이의 신명, 현장성의 신명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적 신명은 사회에 내재해 있는 모순과 주요갈등을 예술을 통하여 공동체적 관심으로 부각시키고 거기에서 성취된 사회인식을 행동화 하는 삶의 축전으로 이는 노장, 샌님, 신할아비와 미얄할미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삶과 죽음의 신명은 죽음을 극복하고 삶을 긍정하는 과정에서 도출되며 이는 침놀이, 취발이놀이, 신할아비와 미얄할미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셋째, 뒤풀이의 신명은 사회의식을 실현하고, 해결함으로써 화해의 장을 만들어 현실세상보다 나은 세상의 실현에 있어서 마지막 신명을 함께 풀어내는 끝맺음으로 우리의 춤이 신명으로 시작해서 신명으로 끝나는 단적인 예를 보여준다. 넷째, 현장성의 신명은 놀이꾼과 구경꾼이 가까운 관계를 가질수록 잘 이루어지며, 이러한 관계에서 신명은 놀이꾼들만의 것이 아니라 탈판에 모여든 모든 구경꾼들에게 확산되어 나타난다. 양주별산대놀이에서의 신명은 이상과 같이 사회에 내재해 있는 모순과 주요갈등을 놀이에 구체화하여 놀이꾼과 구경꾼이 춤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응어리진 감정을 풀어 그 정서를 현실에 되돌려 놓음으로써 그들의 내적인 유대와 결속을 강화하고 활성화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명은 단순한 놀이나 예술이라는 차원을 넘어서 오늘의 무용이 작품의 주제의식을 표출하는데 있어 무용가와 관객이 일체감을 느끼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신적 바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In Korean dance, there are inclusion of dark shade or sorrow. In Korean dance, the grudges don’t stop as simple grudges, but they sublimate audience to the level of freedom, hope and joy, the cheer world. This cheerfulness has been wieldingits power in overcoming great crises in our history. Cheerfulness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in our conscience, and vitalizes our life by venting our grudges and easing our pains as the artistic source of the people to express their lives. Also, it arouses community spirit and maintains the community, and has a potential to lead the community into a better life. The internal motivation to arouse cheerfulness is ‘play’, and this is the existential ground of the conscience of the people. And it plays a critical role to arouse cheerfulness. Mask dance has its aim to overcome all social conflicts and problems and create a new social order, and is a space where the people disentangle private and public conflicts by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The cheerfulness inside mask dance is the most practical method to give an outlet for grudges of th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ing that how the cheerfulness inside of make dance appeared by studying Yangjubyeulsandaenori, and grasping the nature of Korean dance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cheerfulness in mask dance,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erfulness our dance has, and at the same time placing the cheerfulness as the spiritual ground of today’s dance which is aiming at creative dance This study has go throug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heerfulness based on documentary studies and the studies of audio and video materials and tried to grasp the nature of cheerfulness, and studied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the Yangjubyeulsandaenori, the formation of exaggeration and its content, the formation of the dance and its content, and the conflict structure and its content. Basing on these studies, I’ve studied it dividing the cheerfulness into four categories, social cheerfulness and the cheerfulness of life and death as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seen in the content, the cheerfulness of an entertainment after a ceremony and the cheerfulness of the presence as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seen in the form. As theresult, first, it transforms immanent problems and conflicts of the society into public issues through art and expresses the social cheerfulness as a festival of life putting the achieved social conscience into action with the veteran, milksop, Sinhalabi, and Miyalhalmi. Second, the cheerfulness of life and death derived from the process of overcoming death and affirming life is expressed through Chimnoli, Chwibalinoli, Sinhalabi, and Miyalhalmi. Third, the cheerfulness of an entertainment after a ceremony creates a conciliatory space by realizing the social conscience and solving conflicts, and is the epilogue unfolding with the last cheerfulness in changing the world into a better one, and shows that our dance starts and ends with cheerfulness. Fourth, the closer become actors and spectators, the better becomes the dance. In this sense, cheerfulness is not confined to only actors but spread all over the spectators, and this is the presence. The cheerfulness of the Yangjubyeulsandaenori, as mentioned above, solves the immanent conflicts and problems of the society by materializing them in the play. And by doing it, it provides an outlet for the grudges of the people, and strengthens and revitalizes their bond and solidarity. Also, I think that it would be an important spiritual basis for players and audience to feel a sense of unity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in that today’s dance expresses the conscience of its main subject, which is to go beyond the domain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양주별산대놀이의 유래 및 배경 = 6 B. 신명의 본질 = 9 1. 신명의 개념 = 9 2. 신명의 기능 = 12 Ⅲ. 양주별산대놀이 춤구조의 전개 = 14 A. 과장의 구성과 내용 = 14 B. 춤사위의 구조와 내용 = 23 C. 갈등구조와 내용 = 29 Ⅳ. 양주별산대놀이에 나타난 신명의 특성 = 36 A. 사회적 신명 = 36 B. 삶과 죽음의 신명 = 51 C. 뒤풀이의 신명 = 56 D. 현장성의 신명 = 57 Ⅴ. 결론 = 63 참고문헌 = 6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80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92-
dc.title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igh-spirit inclusion in Yangjubyeulsandaenori-
dc.creator.othernameJang, Ha Na-
dc.format.pageⅵ,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nbsp-
dc.identifier.major무용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