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80-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is a research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impacts of the style of court dance and music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on Jinju sword dance as a research on civil festivals of court sword da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As methods of study, I have reviewed the system of court dance and music centering on Sillok according to the changes of Kingdom and the features of spreading of court dance and music to country side through the records that female dancers were selected and dispatched to royal palace. In particular, sword dance, which was popular in royal palace and local dance departments during Joseon period, had been civilized by the system of selection and dispatch of female dancers to royal court and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examine the styles of court sword dance through Euigwe and Jeongjae Mudoholgi (recordings of court dance and music) and verify the phenomenon of civilization of dance and music festival by inducing the styles of court from Jinju sword 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cord of Yeoakjo in Joseon Music History of late Joseon, local Gisaeng (the girls who sing and dance) were recruited when the number of Gisaengs in Seoul were insufficient, and now Sword danc is recorded as specific feature of Jinju.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emale Gisaeng in Jinju were sent to Royal court and royal forms were diffused to the public by them. Second, there is a record that Choi Sooni (1884~1969), who worked as royal dancer from 1901 to 1910, have danced in front of King Gojong. From this record,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 of Royal sword dance at the time was popularized to Jinju by Choi Sooni. Third, the number of dancers in Jinju sword danc is 8,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Royal sword dance recorded in Imin JinYeoneuig, and the reason of Hansam dance to be key during the procedure seems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Cheomsoo dance, which played with Hansam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current Royal sword dance consist of 4 dancers, and conducted by standing, sitting and sword dance only excluding Hansam dance. This is a diffused form of unique Royal sword dance recorded in Imin JinYeoneuige, the record of the time when Choi Sooni was working as royal dancer. It shows exclusive form of Royal sword dance in late Joseon, which is not found in current one. As in the above, from the current Jinju sword dance, I could induce the style of court sword dance of the latter part of Joseon period. It is believed that such styles of court could be seen in civil festival forms was possible by female dancers of dance department dispatched to court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period and dances of court and civilian could be actively communicated. Accordingly, in this dissert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processes of becoming civilian festival were revealed in more macro aspect to verify that Jinju sword dance has been inherited through various mutual exchanges between court and civilian within this framework of history.;본 논문은 조선 후기 궁중검무의 민간 연희화 과정에 대한 연구로, 조선 후기 「궁중검무」의 형식이 선상기녀를 통해 「진주검무」에 전파되는 과정을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왕조의 변천에 따른『실록(實錄)』을 중심으로 궁중의 여악제도를 살펴보고 교방의 여기들이 궁중으로 선상(選上)되었다는 기록을 통해서 궁중정재가 지방으로 전파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조선 시대 궁중과 지방 교방에서 두루 추어졌던 「검무」는 조선 후기에 지방 교방의 여기의 선상으로 인해 민간화 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본고에서는 궁중의 『의궤(儀軌)』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를 통해 「궁중검무」의 양상을 고찰하고 「궁중검무」의 형식이 「진주검무」로 전파되는 과정을 문헌과 연행방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교방 기녀의 선상(選上)제도가 활발했던 시기에 『조선음악통사』의 여악조(女樂條)의 기록을 보면 진주지방의 기생이 선상되었다고 보인다. 구체적으로 이 기록에는 경기(京妓)의 수가 부족할 때 지방 기생을 보충한다고 하였고 이어 진주지방에는 「검무」가 특색이라 기록하는 것으로 보아, 진주지역의 여기가 선상되어 궁중의 형식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둘째, 진주 교방소속 여기인 최순이(崔順伊, 1884~1969)는 1901여 년부터 1910년까지 궁중무희로 있었다고 증언한 바 있는데, 최순이를 기점으로 「진주검무」의 무원수와 진행절차가 바뀌었다. 즉, 최순이가 궁중무희로 있던 중 고종 광무 6년의 기록인『(임인)진연의궤』에 수록된「궁중검무」와 「진주검무」가 매우 비슷한 양상을 띄는 것으로 보아, 선상기녀인 최순이를 통해 「궁중검무」의 양식이 민간 연희화 되었다고 보인다. 셋째, 춤의 연행방식에서 민간 연희화된 양상은 무원수와 진행절차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진주검무」의 무원수는 8명으로 이는『(임인)진연의궤』에 기록되어 있는「궁중검무」와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고, 춤의 진행절차에 있어서 한삼춤이 추가 된 것은 당시 한삼을 들고 추는 「첨수무」의 양식이 전파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현행 「궁중검무」는 4명의 무원으로 연행되고 한삼춤이 제외된 입춤, 앉은춤, 칼춤으로만 연행되어 「진주검무」와는 다른 양상으로 연행되는데, 이는 「진주검무」가 최순이에 의해 『(임인)진연의궤』에 기록된 독특한「궁중검무」의 형식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보여진다. 이처럼 「진주검무」에서는 현행「궁중검무」에는 전승되지 않는 조선 후기의「궁중검무」의 양상을 엿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현행 「진주검무」는 조선 후기 「궁중검무」의 형식이 민간 연희화 된 춤으로 현재까지 연행되고 있다. 이렇게 궁중의 형식이 민간 연희화 되는 양상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은 조선 후기 교방의 선상된 여기들에 의해 가능 했던 것이며, 이러한 기녀를 매개체로 하여 궁중과 민간의 춤이 활발히 교류할 수 있었던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적 틀 안에서「진주검무」가 단순히 지역검무가 아니라, 궁중과 민간의 다양한 상호교류를 통해 전승되어 왔음을 밝히고자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민간 연희화의 과정을 밝혔다는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조선후기 궁중정재(宮中呈才)의 전개양상 = 5 1. 문화·예술적 배경 = 5 2. 궁중정재(宮中呈才)의 전개양상 = 9 B. 조선 후기 교방정재(敎坊呈才)의 전개양상 = 17 1. 문화·예술적 배경 = 17 2. 교방정재(敎坊呈才)의 전개양상 = 26 Ⅲ. 궁중검무와 진주검무 특성 연구 = 33 A. 궁중검무(宮中劍舞) = 33 1. 궁중검무(宮中劍舞)의 역사적 변천 = 33 2. 조선 후기 문헌에 기록된 궁중검무 양상 = 36 3. 현행 궁중검무의 연행방식 = 47 B. 진주검무(晉州劍舞) = 51 1. 진주검무(晉州劍舞)의 역사적 변천 = 51 2. 조선 후기 문헌에 기록된 진주검무 양상 = 54 3. 현행 진주검무의 연행방식 = 59 C. 현행 궁중검무와 진주검무 비교 = 65 Ⅳ. 궁중검무의 민간 연희화 과정 = 68 A. 궁중검무의 민간 연희화 과정 사적 고찰 = 68 B. 연행방식을 통해 본 궁중검무의 민간 연희화 과정 = 72 Ⅴ. 결론 = 75 참고문헌 = 78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63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92-
dc.title조선후기 궁중검무의 민간 연희화 과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tion of Civil Festivals of Court Sword Danc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Lee, Eun Jung-
dc.format.pageⅵ,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