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어수정-
dc.creator어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 무용예술의 중심지로 떠오는 벨기에 현대무용의 안무성향에 관한 논의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벨기에의 현대무용 안무가와 대표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서구사회에서 발레가 점차 고난도 테크닉의 전시에만 주력하던 무용계에 이사도라 덩컨(Isadora Duncan)의 등장으로 시작된 변화는 이후 모던댄스와 포스트 모던댄스의 시대를 거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지속되었다. 1980년대 이후 독일의 탄츠 테아터(Tanz Theater)와 프랑스의 누벨 당스(Nouvelle Danse)라는 무용의 새로운 사조의 출현으로 무용의 중심지는 다시 유럽으로 이동하였다. 현대무용가들의 실험을 독려하고 그들의 전위적인 작품을 적극 옹호하는 유럽의 문화적 풍토를 통해 유럽 중심의 무용예술은 지속되고 있는데, 독일의 탄츠 테어터나 프랑스의 누벨 당스 이후 오늘날 세계적인 명성과 활발한 활동의 중심에 벨기에 현대무용이 위치하고 있다. 최근 현대무용계의 또 다른 주류로 주목받고 있는 벨기에 현대무용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은 예술창작작업의 다양성과 세계적 춤 동향을 인지하는데 필요성을 갖는다. 이에 벨기에 무용예술의 사회적·예술적 배경을 살펴보고, 주요 안무가들의 활동과 대표작을 통해 독자적인 벨기에의 안무특성을 찾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안느 테레사 키어스메커(Anne Teresa De Keersmaeker)의 「로사스는 로사스를 춤춘다(Rosas Danst Rosas)」, 얀 파브르(Jan Fabre)의「나는 피다(Je suis sang)」, 빔 반데케이부스(Wim Vandekeybus)의 「블러쉬(Blush)」, 시디 라르비 세르카위(Sidi Larbi Cherkaoui)의「믿음(Foi)」, 알랭 플라텔(Alain Platel)의「저녁기도(VSPRS)」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벨기에 무용예술의 독자적 안무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주제와 내용면에서 그들의 작품은 벨기에가 가진 전통의 부재와 다언어의 사용, 타문화의 수용이라는 문화적 정서로 인하여 동시대의 사회적 관심과 철학적 이슈들이 폭넓게 반영되었다. 전문적인 무용교육을 받지 않은 벨기에의 무용가들은 일상적 주제와 대사를 모티브로 활용, 예술장르의 혼합과 통합을 통해 움직임표현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훈련된 혹은 사회화된 신체에 대한 부정적 견해는 반무용의 지향과 언어의 한계를 지적하기 위한 반복적인 동작사용, 원초적이고 주체적인 몸의 무대화로 표현되었다. 벨기에의 안무가들은 공연예술의 모든 형태를 통합하고, 몸이 가진 공격적이고 잔인한 움직임을 반복하고, 사회와 현실에 대한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거칠고 대담하며 직선적으로 테마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편적으로 공유할 만한 것의 부재와 감수성이 부족한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예술창작작품으로 지역적 세계화(glocalization)전략을 펼치고 정치, 사회, 문화적 소통을 시도했던 벨기에의 현대춤이 오늘날 무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데 역동적 역할을 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propensity to a choreography of Belgian contemporary dance, which takes the lead in the contemporary dance art, and has been achieved by selecting Belgian contemporary choreographers and representative products thereof. Since the dance world, which was putting forth strength only to exhibition of the degree of hardship in techniques of a ballet, had started a change, the change has been continued with United States as the central fig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ras of modern dance and post modern dance. Since 1980’s, the center of dance was moved to Europe again due to appearance of new trends of dance, which are called Tanz Theater appeared in Germany and Nouvelle Danse appeared in France. Through the cultural climate of Europe to encourage contemporary dancers’ experiments and positively support their avant-garde works, the dance art centering on Europe is being continued, but since Tanz Theater of Germany and Nouvelle Danse of France, Belgian contemporary danc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urrent worldwide fame and vigorous activities. To recognize diversity in artistic creation and the trend of world danc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pensity of Belgian contemporary dance, which recently attracts attention as another main current in the contemporary dance world. So, I investigated social and artistic backgrounds of Belgian dance art and researched characteristics in original dance composition of Belgian dance through main choreographers’ activities and representative works. In this study, I analyzed 「Rosas Danst Rosas」 by Anne Teresa De Keersmaeker, 「Je suis sang」 by Jan Fabre, 「Blush」 by Vim Vandekeybus, 「Foi」 by Sidi Larbi Cherkaoui, and 「VSPRS」 by Alain Platel, and thereby, fou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dance composition of Belgian dance. In aspects of the theme and contents, their works widely reflect social interests and philosophical issues of contemporaries due to a cultural atmosphere, such as absence of tradition, the use of multi-language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Belgian dancers, who did not receive a specialized dance education, tried to utilize daily subject matters and speech as motives and enlarge a scope of movement expressions through mixing and unification of art genres. Their destructive views against the trained or socialized body were expressed through the inclination to anti-dance, repetition of motions to point out limitations of language, and staging of a basic and subjective bo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벨기에 무용예술의 배경 = 6 1. 사회·문화적 배경 = 6 2. 예술적 배경 = 9 B. 벨기에 현대무용의 발전 및 주요 원인 = 16 1. 누벨 당스(Nouvelle Danse)의 영향 = 16 2. 모리스 베자르와 무드라 무용학교 = 23 C. 1980년대 이후 벨기에 현대무용의 흐름 = 27 Ⅲ. 안무가의 작품활동 = 36 A.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매커(Anne Teresa De Keersmaeker) = 36 B. 얀 파브르(Jan Fabre) = 39 C. 빔 반데케이부스(Wim Vandekeybus) = 42 D. 시디 라르비 세르카위(Sidi Larbi Cherkaoui) = 46 E. 알랭 플라텔(Alain Platel) = 49 Ⅳ. 안무가의 작품 연구 = 52 A. <로사스는 로사스를 춤춘다(Rosas Danst Rosas)> - Anne Teresa De Keersmaeker = 52 1. 주제 및 내용 = 52 2. 움직임과 이미지 = 53 3. 실험적 기법 및 안무개념 = 55 B. <나는 피다(Je suis Sang)> - Jan Fabre = 58 1. 주제 및 내용 = 58 2. 움직임과 이미지 = 58 3. 실험적 기법 및 안무개념 = 60 C. <블러쉬(Blush)> - Wim Vandekeybus = 62 1. 주제 및 내용 = 62 2. 움직임과 이미지 = 62 3. 실험적 기법 및 안무개념 = 64 D. <믿음(Foi)> - Sidi Larbi Cherkaoui = 66 1. 주제 및 내용 = 66 2. 움직임과 이미지 = 67 3. 실험적 기법 및 안무개념 = 68 E. <저녁기도(VSPRS)> - Alain Platel = 70 1. 주제 및 내용 = 70 2. 움직임과 이미지 = 71 3. 실험적 기법 및 안무개념 = 72 Ⅴ. 결론 = 75 참고문헌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22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92-
dc.title벨기에 현대무용에 나타난 안무성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propensity to choreography shown in Belgian contemporary dance-
dc.creator.othernameEo, Soo Jeong-
dc.format.pageⅵ,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