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유미-
dc.creator오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86-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의 보급 확대와 이용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보건 및 의학 관련사이트 증가되는 추세이고 일반인들은 의학지식을 포함한 포괄적인 보건정보에 대하여 끊임없이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보건 사이트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잘못된 의료정보, 과대선전, 책임이 불분명한 건강상담 등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남으로 인해 보건관련 사이트의 구축·운영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항의 평가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사이트의 효율적인 평가를 실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정보사이트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리스트로 사이트를 평가하여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양질의 보건정보를 접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보건정보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하여 보건 관련 정보를 구축하여 운영중인 사이트를 대상으로 평가리스트를 통하여 2000년 8월1일-2000년 9월1일 한달간 평가를 실시하였다. 1. 평가대상은 100대 보건정보사이트로 현재 보건관련정보를 구축하여 운영중인 사이트이고, 웹 페이지 전체가 건강 및 보건에 관한 정보를 다룬 사이트인 국내사이트이고 기간은 2000년 8월 1일 - 2000년 9월 1일 한달 간이었다. 평가도구는 국내외 웹사이트 기존의 평가척도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터넷 보건정보 인증제도 도입방안의 척도를 중심으로 작성된 평가척도를 가지고 목적성, 적절성, 정확성, 신뢰성, 용이성, 권위성, 환류성. 지속성 이 8가지 항목을 평가하고 분석하여 평가된 사이트의 평가내용의 질적인 수준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2. 각 카테고리별 구성은 건강 포탈사이트 32%, 종합상담 사이트 14%, 의학사이트 14%, 뉴스와 미디어사이트 10%, 다이어트 사이트 8%, 전통의학 「%, 질병과 증상사이트 6%, 약학사이트 3%, 치의학사이트 2%, 기타 4%이었다. 3. 평균은 80점 만점에 37.3점이였고, 52%의 사이트가 굉균 이하였다. 최고점수는 57점이고 최저점수는 19점이였고, 대부분의 사이트가 40-30점 점수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50%의 사이트는 사용자의 기대에 부흥하여 알찬 정보와 뉴스를 전해주고 있으나 반면 또 다른 50%의 사이트는 기대보다 낮은 질의 정보를 제공하여 잘못된 정보나, 너무 오래된 정보를 제공할 우려가 있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100대 사이트를 선정하여 평가하였는데에도 불구하고 반정도의 사이트가 평균이하의 수준이었다. 4. 평가항목별 점수로 보면 쉽게 표기할 수 있거나 정보제공이 간단하고 쉬운 목적성이나 신뢰성은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잘 운영하고 있었으나 정보제공이 복잡하고,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는 항목인 용이성, 권위성과 지속성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낮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5. 목적성은 목적과 대상은 대부분의 사이트들은 모두 표기하고 사이트를 보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목적성과 대상이 분명한 사이트일수록 적당한 양의 카테고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목적과 대상이 분명하지 않는 사이트는 건강에 대한 정보와 다른 불필요한 정보를 늘어놓음으로 인해 쓸데없는 정보의 양은 많아지고 일관성을 잃는 경우가 있었다. 6. 포탈사이트 32개에서 뉴스와 웹진을 선택한 적절성과 정확성은 평균은 80점 만점에 41점, 출처의 정확성은 20점 만점에 18점, 자료의 책임성은 20점 만점에 17점 다양성은 5점 만점에 2점 심증성은 5점 만점에 2점을 받아 정확성은 양호한 면을 보여주었다. 37%의 사이트가 전체평균보다 높아 포탈 사이트 성격상 전체적인 내용의 충실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최고 점수는 91점이고, 최저점수는 63점이였는데 같은 성격의 포탈사이트 면서도 점수격차를 보아 내용의 많아도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7. 신뢰성은 방문자들이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사이트의 지원기관과 연락처를 대부분의 사이트가 기재하고 있었다. 8. 용이성은 사이트 내부의 정보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사용법이나 사이트 맵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외에 현재 자신의 위치나, 자기정보의 제공이 미흡하여 사이트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없었다. 9. 권위성은 선정사이트들은 대부분 포탈사이트이거나 전문영역의 한 부분의 방대한 정보량을 수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권위성에서의 문제는 우선 일차적으로 정보가 그 사이트 자체 내에서 제공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외부에 기존의 정보를 가공해서 사용하는지 불분명하였으며, 이것을 알기 위해 저자나 출처의 여부를 기재해야 하나 반정도의 사이트는 기재하지 않았으며, 기재한 사이트라 하더라도 각각의 정보들이 모두 다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출처나 저자를 밝혔다 하더라도, 저자의 인증까지 밝히고 있는 사이트는 드물었다. 10. 환류성은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대표적으로 이메일과 게시판이 있다. 선정된 사이트들도 모두 이메일과 게시판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사후관리가 되지 않아 이메일을 보냈는데 답이 없거나, 게시판에 사용자들의 질문이나 의견이 올라와도 이를 대답하는 사이트는 많지 않았다. 또한 사이트가 처음생긴 시점에서는 대부분 답변을 해주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리자의 방치로 답변이 없는 사이트도 많았다. 사용자들이 사이트를 방문하여 게시판을 보고 현재 답변이 올라오는 것이 없다고 느끼면 그 사이트 자체가 업데이트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는 사용자들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11 지속성은 사이트가 잘 운영되고 있는가를 화인할 수 있는 사항은 정보가 얼마나 자주 올라오는가 그리고 언제 개정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이트가 이와 같은 사항을 표시하지 않았다. 사이트의 갱신일이나 갱신주기가 없다면 사용자들은 이를 판단할 수가 없게 되며, 임의대로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신뢰를 동시에 줄 수 있어야 하겠다. 12. 대부분의 사이트가 포탈사이트로서 정보의 양이 풍부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사이트가 너무 광범위해져서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 사이트가 늘어나게 되었다. 보건정보사이트가 계속 발전하고 영위될 수 있는 방법은 많은 사용자들이 그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방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새롭고 흥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로 인해 방대한 범위의 정보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체 방치되는 사이트가 늘어나고 흥미를 위주로 한 정보를 진열함으로 인하여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사이트에 새로운 정보의 나열로 사이트의 무의미한 화장보다는 정확한 정보와 대상과 목적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사용자에게 편하고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사이트로서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13. 신뢰성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척도들은 대부분의 사이트가 과반수를 넘지 않으므로 고른 발전이 요구되고, 평가시 한 기간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므로, 수정된 결과나 향후 변화가능성을 알 수 없으므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사이트의 경향을 계속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14. 보건정보포탈사이트의 발전은 이미 포화상태로 이르고 있으므로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접근 가능한 전문적인 의학분야 및 증상에 관한 사이트의 개발로 방문자의 다양한 욕구에 만족시켜줘야 할 것이다.;In the medical field, the profusion of available information of unknown provenance often written by unidentifiable authors, with undisclosed agendas, brings special problems to people. We want to evaluate health information sites but to evaluate Health information sites have insufficient data and suitable checklist to improve the quality of a Web site that is under development. So we need to evaluate Health information site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quality. In this study, I evaluate Health information site through an evaluation checklist. This checklist can help web browser determine a quality health information sites from bed one. I analyzed, evaluated health information sites for one month from august 1, 2000 to september 1,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 Health potal site is 32%, health counseling site is 14%, medical site is 14%, News and Media site 10%, Diet site is 8%, Oriental medical site is 7%, Disease and symptom site is 6%, pharmacy site is 3%, dentistry site is 2% and the others is 4%. 2. Those sites are the best sites in Korea but half of the sites is under the average. So, they are inferior in quality and need improvement. And the highest score is 57 and the lowest score is 19. 3. Purpose of the pages mentioned is 45% and audience mentioned is 34% in the site. Even if they didn't mentioned those that can guess a purpose and Audience. Site of 70% had a category over 10 that are agreeable aspect of quantity and consistency of the data is 95%. 4. Accuracy limit news and webzine area of petal site. Accuracy of site gets 41points out of a possible 80. Responsibility of data gets 17 out of a possible 20, variety of site gets 2 out of a possible 5. And speculation of site gets 2 out of a possible 5. That reasons this is a good score because it's substantial in content. The highest score is 91 and the lowest score 63. 5. Subscription supporting institution(sponsorship) and contact address such as telephone and e-mail are highly reliable. Only 4% of the sites don't mention both of sponsorship and cotact address but the others mention both of them. 6. Easy to find information and navigation satisfied 7% of sites but 33% of sites is not suitable. As a result, all of the sites received low scores. 81% of sites isn't easy to indicate position and sitemap and introduction of contents offered 54%. Usage instruction offer only 30% of site. 7. Authority of site satisfied only 3% of site that have low authority. 88% of the sites is singed by author but contact address is singed 44% of site. Even if page is singed qualifications aren't usually given so qualifications received lower scores than singed author and contact address. 8. 94% of the pages use web board and e-mail as Feedback but half of the pages don't communicate to the audience and don't give answers. 9. 4% of pages have broken links, and 40% of pages indicate when the materials were first placed on the web. If a date is provided, revision dates are not always provided toge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4 C. 연구문제 = 4 D. 용어의 정의 = 4 E.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기술적인 사이트의 평가방식 = 8 B. 내용질적측면에 의한 평가방식 = 11 C. 일반 웹사이트 평가척도 = 13 D. 보건정보관련 웹사이트의 평가척도 = 25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연구도구 = 30 C. 자료수집방법 및 분석방법 = 39 D. 연구모형 및 절차 = 40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41 A.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일반적 특성 = 41 B.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목적성 실태 = 43 C.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적절성 및 정확성 실태 = 45 D.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신뢰성 실태 = 51 5.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용이성 실태 = 53 F.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권위성 실태 = 55 G.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환류성 실태 = 57 H.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지속성 실태 = 58 I. 보건정보 웹사이트의 종합분석 = 60 Ⅴ. 결론 및 제언 = 63 A. 결론 = 63 B. 제언 = 65 참고문헌 = 66 부록 1. 평가척도 점수 체크표 = 70 부록 2. 정보전산원 평가척도 = 72 부록 3. 선정된 100개의 사이트 (2000. 9. 10일 현재) = 73 부록 4. 32개 의료포탈사이트의 홈페이지 비교내용 = 7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06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보건-
dc.subject정보사이트-
dc.subject보건교육-
dc.title웹상에 있는 보건 정보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the Evalul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web-
dc.format.pageix,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