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경-
dc.creator이희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2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213-
dc.description.abstractEvery moment of our lives witnesses the repetition of the appearance and satisfaction of desire, whether great or small. Man identifies himself by having desire, and shows himself by expressing it. Even the whole history of progress ranging from science through politics, economics, culture, to problems between and among nations can be safely said to be the product of desire.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attributes of desire is that it never knows satisfaction, which is not only the very impetus of life but also a motive power of histor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se the disposition of those various desires constituting human life by establishing ladder form as a visual medium to connect the subject's desire and the object, and then combing the meaning of ladder form and its plasticity with everyday materials. The purpose can be characterized by visualizing desire itself as the subject of expression rather than focusing the human being as the object and subject of desire. Through joining the meanings inherent in ladder form to everyday matters, this study was supposed to express the universal propensity of desire. As for theoretical background, with the aim of analysing the attributes of desire, we provided first a definition of desire and then diverse theories of it based on different schools of philosophy. The meaning of "objet" in art history was investigated in the light of phenomenology and semiology, as well as object art which has drawn attention since 1980s. In regard of formative aspects, we dealt with the architectural appliance of abstract geometric form derived from Mondrian, and Minimalism, including the related artists and artworks. The exploration of expressive content was accompanied by discovering the desire included in ladder form, which led to the explanation of the attributes-repetitive impulse, false image of object, intoxicated subject, imitation, rivalry- of it.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attributes was done as follows. The open fissure made in the corner of a construction as a closed structure, where the modified ladder form was placed was for showing the desire which is just in the beginning with a total departure from the conventional thought, and the vertically opposed joining of the shape of a chair and the ladder form indicated that the object of desire seduces man by being divided into real and false images. To imply that desire entails necessarily competitive relationship, two ladder forms of a vertical structure and another ladder form of a horizontal one was made to face each other building up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nd their rivalry was reinforced by the form of a chessboard. To signify imitated desire, say, that people imitate each other's desire, two shapes of chairs were located on the each end of the ladder form lying laterally and frame images we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middle of them. To present intoxication of desire water was intervened. Two 'ㄱ'-shaped ladder forms with different heights were put along each side inside a low box, filled with water, and ladder forms were installed level with the bottom outside the sides. To symbolize impulses which ar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though hard to see and recognize, the surfaces of the shape of a stair were covered with mirror, with shoes placed above used as a trace of other people or a seduction decoy. And the fixed desire eventually will result in self-destruction and tragedy. The hexahedral space formed by linking ladder forms brings up the image of a chair in which a criminal is fastened to be interrogated or executed. The scene of the noose hanging from the ceiling of this space made out of ladder and the small chair located below it produce a dark and horrible image of death. On the whole, the seven presented works show strict geometric forms based on the plasticity of ladder form. All the structures used here such as the shapes of a stair, a wall, a box, and etc., are square ones made by cross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o harmonize with the geometric construction of ladder form, the selection of materials was carefully performed considering whether they are subsumed unde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Founded on the mediative function of the ladder form, the meaning of the chosen materials serves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inclination of desire, such as repetitive impulse, false image of object, intoxicated subject, imitation, rivalry. Presenting varied approaches to analyse and comprehend desire, this study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ositive discovery of self and the sense of other as tolerance to other people in the society where competitions and conflicts are prevailing more than ever before.;우리의 삶은 매 순간이 크고 작은 욕망과 충족으로 되풀이되고 있다. 인간은 욕망을 가짐으로써 자기 존재를 확인하고,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자기를 드러낸다. 인류의 과학, 정치, 경제, 문화, 국가간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모든 진보의 역사가 욕망이 이루어낸 결과물일 것이다. 욕망에는 결코 만족을 모른다는 속성이 존재한다. 이것이 바로 삶의 원동력이자 역사를 움직이는 에너지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체의 욕망과 대상을 연결하는 가시적 매개물을 사다리 형상으로 설정하고,사다리 형상이 갖는 의미와 형태의 조형성을 일상적 소재와 결합하여 삶을 구성하는 보편적 욕망의 성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은 욕망의 대상이나 욕망의 주체인 인간 중심의 연구 방식이 아닌 욕망 자체를 표현의 주체로 형상화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다리 형상에 내재된 의미와 일상적 소재를 결합하여 욕망의 보편적 성향을 표현하는데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욕망의 속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욕망을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각기 다른 철학사상에 기반을 둔 욕망이론에 대해 설명하였다. 미술사 속에서 제시된 사물(objet)의 의미를 현상학과 기호학적입장에서 살펴보고 1980년대 이후 다시 주목받고 있는 오브제미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표현 내용에서는 사다리 형상에 투사된 인간의 욕망을 발견하고, 욕망의 속성을 반복충동, 대상의 허상성, 주체의 도취성, 모방성, 대결성향, 죽음으로 분석하였다. 욕망의 속성을 표현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작되었다. 벽면의 형태는 닫힌 구조인 건축물의 코너에 열린 틈을 내고 그 곳에 사다리의 변형된 형상을 연결함으로써 관습적 사고의 틀을 깨고 시작되는 욕망을 표현하였고, 의자의 형태를 사다리의 형태에 상하 좌우로 대립하게 결합하여 욕망의 대상이 진상과 허상으로 나누어져 인간을 유혹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욕망에는 항상 경쟁관계가 개입된다는 것을 수직 구조인 두 개의 사다리 형태와 이들을 지지하는 수평구조의 사다리 형태를 통해 마주보는 대결구조로 표현하였고, 이러한 효과의 상승을 위해서 체스판 형상을 이용하여 맞수(rival)관계임을 강조하였다. 가로로 놓여진 사다리 형태의 양끝에 마주 보는 두 개의 의자 형태를 설치하고 그 가운데에 액자 구조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서로가 서로의 욕망을 모방하는 모방 욕망에 대해 표현하였다. 욕망의 도취를 표현하기 위해 물이 개입되었으며, 물이 담긴 낮은 사각형 박스의 안쪽 양변에 키가 다른 'ㄱ'자로 꺾인 사다리를 마주보며 엇갈리게 세우고, 양변의 바깥쪽으로 사다리의 형태를 바닥 면에 수평으로 설치하였다. 계단 형태의 표면을 거울로 처리하여 잘 보이지 않고 의식하기 어렵지만 항상 우리의 삶에서 되풀이되고 있는 충동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위쪽에 신발을 올려놓아 타인의 흔적이자 매혹의 미끼로 이용하였다. 욕망의 집착은 결국 자기 파괴와 비극을 부른다. 사다리 형태의 구조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긴 육면체 공간은 마치 형틀을 연상시킨다. 사다리로 만들어진 이 공간의 천장에는 밧줄로 된 올가미가 매달려있고 그 아래에는 조그만 의자가 놓여져 죽음에 대한 암울하고 두려운 심상을 연출한다. 제시된 7점의 작품은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태의 조형성에 입각한 기하학적 형태로 절제되어 있다. 사다리의 형태는 일상적 소재로서의 기능적 성격과 재현된 오브제로서 관념적 기능의 이중 작용을 수행하고 있다. 사다리 형태의 기하학적 구조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소재의 선택은 수평과 수직의 구조를 벗어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선별되었다. 계단 형태나 벽면 형태, 사각 틀등 작품에 사용되는 구조는 모두 수평, 수직이 만나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각기 선별된 소재들이 갖는 의미는 사다리 형태의 매개적 기능을 기본으로 욕망의 성향 -대상의 허상성, 주체의 충동성, 도취성, 모방성, 대결성향- 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욕망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다양한 접근은 그 어느 때보다 경쟁과 갈등이 만연해 있는 이 사회에서 자아의 긍정적 발전과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타자의식을 회복하고자 하는 작은 노력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욕망 = 4 1. 욕망의 정의 = 4 2. 욕망이론 = 6 B. 사물 (objet) = 12 1. 사물(objet)의 의미 = 12 2. 일상적 사물(Objet)의 미술적 전환 = 17 Ⅲ. 표현내용 및 방법 = 27 A. 표현내용 = 27 B. 표현 방법 = 30 Ⅳ. 작품 분석 = 34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308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다리-
dc.subject형상-
dc.subject내재-
dc.subject욕망-
dc.subject속성-
dc.title사다리 형상에 내재된 욕망의 속성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ression of the Attributes of Desire included in Ladder Form-
dc.format.pagev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