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지현-
dc.creator조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일 대학유도 선수들의 생활실태 및 진로선택을 비교해 봄으로서 차이점을 분석하고, 선수활동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여 선수들이 은퇴 후 진로를 선택할 시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도경력 5년 이상∼15년 미만의 한·일 대학 유도선수들(한국 172부, 일본 185부)을 조사대상 한국과 일본 대학 유도 선수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는 제외하고(한국 150부, 일본 150부), 최종분석에서는 총300부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선수생활, 수업실태, 진로에 관하여 비교 및 측정을 위해 (박철준, 1998) (이범녕, 1994) 등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문항을 기초로 하여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한·일 대학유도 선수들의 생활실태 및 전로에 관한 빈도차를 검증하기 위해 χ^(2)검증을 하였으며, 한국과 일본대학의 수업실태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연구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생활실태를 살펴본 결과 한국과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의 운동 시작 시기에서는, 모두 초등학교부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운동 시작동기에선 부모님과 친척들의 권유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상시 식사문제는 합숙소에서 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과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이 대부분 합숙훈련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평상시 1일 훈련시간에선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5시간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3시간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상시 적당한 1일 훈련시간에선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4시간정도,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3시간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합숙훈련 시기에서는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시합출전에 관계없이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방학때 마다 합숙훈련을 실시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합숙훈련시 비용 부담자 에서는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학교에서 전액부담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부모가 전액부담이 많이 나타났다. 기량향상 및 실전대비를 위한 전지훈련 실시 문항에서는 모두 실시한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지훈련 선호 대륙으로는 유럽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난 일년동안 전국대회 출전횟수는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5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한국 대학 유도선수들에 비해 일본대학 유도선수들은 선수의 계층이 두텁기 때문에 시합출전의 기회가 적은 반면 한국대학 유도선수 들은 대학에서 훈련하고 있는 선수들이 일본에 비해 인원이 적기 때문에 시합출전의 기회가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부 만족도에서는 그렇다가 한국과 일본 대학 유도선수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관심도에선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운동만하여 일류선수가 되길 바란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운동과 공부 둘 다 잘하기를 바란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에 관해 살펴본 결과 졸업 후 희망진로에서는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실업팀입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체육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졸업 후 취업가능성애 대해서는 모두 그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선수들은 유도선수 생활을 하면서 대체적으로 취업가능성에 확신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또한 진로에 대한 평상시 생각 여부에서는 모두 그렇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 계획 수립 시기에서는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4학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3학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 유도선수들은 그동안 선수생활을 해오면서 진로에 대한 생각을 대체적으로 많이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관심 또한 높은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진로에 대한 의논 상대에선 모두 부모나 형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선택에 중점을 두는 사항으로는 모두 장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결정시 장애에선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병역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은 학과성적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실태를 보았을 때, 전반적인 수업실태는 모두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중·고등학교 시절 정규수업 참여도와 교양과목의 강의받는 태도, 참여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포트 내용과 레포트 제출여부에서도 일본 대학유도 선수들이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보다 높게 나타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본다면 한국 대학유도 선수들은 전반적인 수업실태가 좋지 않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본 대학선수들의 교육시스템과 달리 한국 대학선수들의 교육시스템을 본 연구를 통하여 현저히 비교할 수가 있었으며, 정규수업을 모두 받으면서 훈련하는 일본대학 유도 선수들과 달리 시합출전 횟수가 잦고 합숙훈련으로 인해 수업참여도가 적은 한국대학 유도선수들은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여러 장애요인들이 있다고 나타났다. 적령기가 되면 대한민국 남자로선 군입대를 해야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선수들은 병역문제 또한 장애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선수들은 지속적으로 훈련을 하며 군복무를 마칠 수 있는 국군체육부대의 인원 확충도 원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대학유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사회나 기업, 국가에 대한 바램을 조사한 결과, 각 기업의 프로팀 창단 및 비인기 종목 홍보 육성을 많이 원하고 있었으며, 선수들은 전문적인 자격증 교육도 가장 많이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이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국민이 하나가 될 수 있는 엘리트 체육을 위해서 훈련에 열중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 선수들이 은퇴시에 제2의 진로를 선택할 시에는 선수생활로 인한 여러 장애들이 따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가 있다. 따라서 운동선수들은 훈련뿐만이 아닌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관심을 갖고 선수생활을 해야 할 것이며, 선수들이 은퇴후 진로를 선택할 시에도 다양한 방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analyzed the life style and professional plan between Japan and Korean Judo players. On the basis of this comparison, this research figures out the various problems that players have and give some help for these players to choose their right path after retirement. For this research, Japan and Korean players who played Judo over five to fifteen years were interviewed (172 Koreans, 185 Japanese). Except for dishonest or unfaithful sources, the final analysis is based on 300 interviews (150 Koreans, 150 Japanese) The questionnaires based on data by Park Cheol-Jun(l998) and Beom-Nyeong Lee(1994). were used to measure and compare life style of players, class attitude and future plan. Data were reassembled by the use of SAS Program with x2 verification. For group verification, t-Test was taken. Firstly,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most Korean and Japan Judo players started their career from their elementary school and their parents or relatives made the motivation for their career. Most of them take a meal at a training camp and this result is affected by the fact that most college players in Japan and Korea stay at a training camp. The longest training time for Korean players was five hours a day and for Japanese players was 3 hours. The average time for the Koreans was four hours and for the Japanese was three hours. The survey result also indicated that most Koreans do joint training regardless of participating in a contest and most Japanese answered that they do joint training every vacations. In Korea, school was in charge of all the expenses for joint training and in Japan, parents paid all the expenses for the training. To improve plays capability and actual contest, both players go field training. The most favorite place for field training was Europe. During the last year, Korean players attended national league over five times on the average and Japanese players participated once.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due to the number of players. Since there are less Korean players, players in Korea have more chances to go battlefield. However, a number of players in Japan have less opportunity to attend contest. According to the survey, both nations players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their career. In Korea, parents of players wanted their son or daughter to be world ranked players and parents in Japan wanted their children to be good at both studying and playing. Secondly, most Korean players expect to play in professional team in their future and majority of Japanese players planned to be gymnastic teacher. After graduation, players showed rather low possibility of getting a job. This attitude showed players are generally not sure of working. About future plan, Korean players answered that they start to make future plan in the last year of their college time and Japanese showed most interest in their junior year. This survey showed that college players think considerably about their future path and have high interest. Parents, brothers or sisters were the most common advisers. The focusing point for them to choose their hob was prospects. The common barrier for Korean Judo players was military service and for Japanese players was school record. Thirdly, Players in Japan had better attitude to their class. Participation rate in regular classes and frequency in classes were also higher in Japan than in Korea. Japanese players also had higher quality of reports and better performances in class. From above facts, this survey indicated that Korean players have worse attitude in classes. There was very clear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Aside from Japanese players who take all the regular classes, Korean players had low class attendance due to many contests and joint training and this Korean situation made Korean play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choosing their future path. The other problem is the military service. In Korea, most men have military obligation and this period is usually in their twenties which is the best period for players. Thus, Korean players want to broaden number of Sangmu, which is military physic group. Also what Korean players wanted from the community, business or nation was installment of pro-team, PR for unpopular sports or education for some professional certificate. Its important for players to focus on the training to raise the statue of the nation and other cause. However, this system can block for players to have the second path after their retirement. So, players need to concentrate not only on training but also on education. With players interest, scientific system and policy for players should be followed in the national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도(JUDO)의 기원과 역사 = 7 B. 진로교육과 대학 진로교육의 필요성 = 10 C. 국제사회와 진로교육 = 14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절차 및 순서 = 18 C. 측정도구 = 19 D. 자료처리 = 19 Ⅳ. 연구결과 = 20 A.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분석 = 20 B. 선수생활에 관한 분석 = 22 C. 진로에 관한 분석 = 38 4. 수업실태에 관한 분석 = 49 Ⅴ. 결론 및 제언 = 53 A. 결론 = 53 B. 제언 = 55 참고문헌 = 57 부록-1 = 61 부록-2 = 67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69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도 선수-
dc.subject한·일 대학-
dc.subject생활실태-
dc.subject진로선택-
dc.title한·일 대학 유도 선수들의 생활실태 및 진로선택에 관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Life Style and Professional Plan between Japan and Korean Judo College Players-
dc.format.pagex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사회체육학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