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언경-
dc.creator신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1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재수행을 통해서 명상효과의 하나인 심신(心身) 안정이 나타나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재가 지닌 명상적 효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변화를 실험을 통해 구명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마음 상태를 정량화하여 과학적으로 밝힐 수 있는 생리학적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마음에 변화를 일으키는 정재의 변인은 무엇인지를 구명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정재 집단(n=9), 요가 집단(n=6), 체조 집단(n=9)을 선정, 분류하였으며 집단특성에 적합한 과제 즉, 정재, 명상, 국민체조를 제시하였다. 비교집단으로 요가 집단을 선정한 이유는 정재와 명상은 정(靜)한 속성을 지닌 과제로 호흡에 있어 가장 유사한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재수행 시와 명상 시 나타나는 생리학적 결과의 유사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정재가 지닌 명상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 다른 비교집단인 체조 집단은 동(動)적인 움직임을 대표하는 신체움직임으로, 실험결과를 통해 움직임의 특질에 따른 효과여부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비교집단 선정은 정재의 고유한 정서가 마음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험은 심리상태를 대변하는 생리학적 측정치인 뇌파, 혈압, 맥박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뇌파 측정은 사전, 수행 1, 수행 2, 사후로 구분하여 총 4회 실시되었으며, 혈압과 맥박 측정은 사전, 사후 즉, 총 2회 실시되었다. 그리고 정재 집단의 사후측정 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생리학적 측정 결과와의 연계성을 살피고, 실험을 통해 검증된 정재의 명상적 효과를 일으키는 정재 변인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3 × 4 반복측정 요인설계(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est)였으며 분석은 그에 상응하는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재 집단은 수행 전, 수행 후에 비해 수행 시 전극을 부착한 뇌 영역 전반에서 알파파(α-파) 전력값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쎄타파(θ-파) 전력값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재로 인한 마음의 안정, 몰입의 정서효과를 대변(代辯)하는 것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심리 상태의 변인 즉, 음악, 춤사위, 동선, 호흡, 사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집단인 정재 집단과 비교집단인 요가 집단, 체조 집단을 비교해 본 결과, 전전두엽 위치인 채널 1(Fp1), 채널 2(Fp2), 그리고 전두엽 전반을 대표하는 위치인 채널 3(F3), 채널 4(F4)의 쎄타파(θ-파), 알파파(α-파)의 전력값은 집단내, 집단간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재 집단은 정재수행 시, 뇌 전반 영역 중 전두엽에서 쎄타파(θ-파)의 활성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정재가 깊은 명상과 동일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리고 알파파(α-파) 전력값의 경우 정재 집단과 요가 집단의 변화 양상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재 집단의 쎄타파(θ-파) 곡선이 수행 시에 가장 증가한 현상과, 그들의 알파파(α-파) 경향 곡선이 요가 집단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 결과는 정재수행이 몰입의 정도를 깊어지게 하며, 정서적으로 안정된 편안한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각정보 처리능력을 담당하는 측두엽의 위치인 채널 5(T3)와 채널 6(T4), 체성감각영역을 담당하는 두정엽의 위치인 채널 7(P3), 채널 8(P4)의 쎄타파(θ-파)와 알파파(α-파)의 전력값을 각각 분석한 결과, 정재 집단의 쎄타파(θ-파)는 수행 전에 비해 수행 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집단의 경우 상이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알파파(α-파)의 경우, 집단간, 반복측정과 집단간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정재 집단과 요가 집단이 유사한 경향의 곡선 즉, 수행 시 증가하는 형태를 띠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재의 명상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생리학적 측정치인 혈압의 경우, 수행 후 실시한 측정에서 정재 집단은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축기 혈압은 반복측정과 집단간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완기 혈압과 맥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 모두에서 감소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정재가 심신을 안정시킨다는 명상적 효과의 명백한 증거로서, 정재가 자신의 내면에 집중함으로써 마음의 평온을 얻게 되는 명상과 동일한 효과를 지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정재의 음악, 춤사위, 동선, 호흡, 사상이 명상과 유사한 효과를 일으키는데 주요변인으로 작용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차후 본 연구의 결과는 정재학 분야의 심리적 접근을 위한 토대로 쓰여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용심리, 무용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무용수의 성공적인 공연을 위한 공연불안통제 프로그램 개발 시, 또는 무용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한 연구 시에 본 연구의 결과는 그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용치료를 통한 정서장애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Jeong-jae is the dance performed by professional dancer in the royal court on occasions such as supplicate peacefulness of the nation or events of the royal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emotional effects of jeong-jae, to verify through experiment, revealing psychological value of jeong-jae. For this purpose, the verification was made by performing the physiological test on the scientifically measurable emotion status, and the in-depth interview was made to identify what variable factors may psychologically influence on it. For thi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jeong-jae expert(n=9), yoga expert(n=6), and gymnastic group(n=9) to present the assignments such as jeong-jae, meditation and national freehand exercise that fit to each group characteristics, then brain wave, blood pressure, and pulse were measured as the measurement showing the physiological status. The brain wave was measured total four times, before performance, during performance 1, performance 2 and after performance, while blood pressure and pulse were measured to times before and after. After the post-performance for jeong-jae group, the in-depth interview was made to find out the linkage to the physiological measured results, and to draw out the variable factors of emotional status. Accordingly,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between groups was designed for this study. In the result, theta wave(θ-wave) and alpha wave(α-wave) was found more activated in jeong-jae expert group during performance than pre- and post-performance. These results represent the stable mind and immersion,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also indicat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variable factors of emotional status such as music, dancing, moving flow, breath and thoughts. In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jeong-jae expert group(experiment group), yoga expert group and gymnastic group(comparative group), the interactive effects within and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ta wave(θ-wave) and alpha wave(α-wave) wave in channel 1(Fp1) and channel 2(Fp2) of prefrontal cortex location, and channel 3(F3) and channel 4(F4) of frontal lobe location. From jeong-jae expert group, theta wave(θ-wave) was most activated in frontal lobe across the whole brain areas during performance, which means jeong-jae has the same effects with deep meditation. In case of alpha wave(α-wave), the changes in jeong-jae expert group and yoga expert group were found as similar. From the results that the most increased theta wave(θ-wave) curve and alpha wave(α-wave) trend curve of jeong-jae expert group have similar shape with those of yoga expert group, we can interpret it as deeper immersion and more stable emotion to reach convenient mi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ta wave(θ-wave) and alpha wave(α-wave) from channel 5(T3) and channel 6(T4) of temporal lobe dealing with auditory information and from channel 7(P3) and channel 8(P4) parietal lobe in charge of somatosensory area, theta wave(θ-wave) was increased in jeong-jae expert group during performance than pre-performance. Meanwhile, the comparative groups showed contrary results. In addition, in case of alpha wave(α-wave), the interactive eff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e jeong-jae expert group and yoga expert group showed similar trend curves which increase during performance. In case of blood pressure as another physiological measurements for emotion, the post-performance measurement showed notable reduction in SBP and DBP in jeong-jae expert group which h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ctual decreased in all groups. This study is to clarify mental stability effect on jeong-jae that is a part of psychological effect that jeong-jae has so it is well worth noticeable study attempt when considering approach method of jeong-jae study is limited only to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ing that jeong-jae has sam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lteration aspect as meditation is considered as the result to upgrade the value of jeong-jae which is a part of dance history.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henceforth is prospect not only to be used as the base for psychological approach of jeong-jae field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ance psychology and dance therapy field. As for the concrete examples, when developing performance anxiety control program for a successful performance of a dancer or when doing a research to improve dance learning effici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its basic data. Also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emotional disturbance study through dance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가설 = 7 D. 연구의 제한점 = 9 Ⅱ. 이론적 배경 = 10 A. 정재(呈才) = 10 1. 정재의 역사와 종류 = 10 2. 정재 구성요소의 특성 = 13 가. 춤사위(움직임) = 13 (1) 상체 = 13 (2) 하체 = 15 나. 음악 = 15 다. 의상과 의물 = 16 B. 정재(呈才)의 심리적인 특질 = 17 1. 사상 = 17 2. 호흡 = 19 3. 춤사위 = 24 4. 음률과 음색 및 리듬 = 27 C. 정재(呈才)의 생리적인 특질 = 31 Ⅲ. 연구방법 = 34 A. 피험자 = 34 B. 과제 및 기자재 = 35 1. 과제 = 35 가. 정재(정재 집단) = 35 나. 명상(요가 집단) = 36 다. 국민체조(체조 집단) = 37 2. 기자재 = 38 가. 8채널 전산화 유선 뇌파 측정기(QEEG-8 System) = 38 나. 혈압계, 맥박계 = 41 다. 심층면담 = 42 C. 실험설계 및 절차 = 43 1. 사전측정 = 45 2. 수행측정 1 = 46 3. 수행측정 2 = 46 4. 사후측정 = 47 5. 심층면담 = 47 D. 자료처리 및 분석 = 48 1. 뇌파분석 = 48 2. 혈압 및 맥박 분석 = 49 3. 심층면담 자료 분석 = 49 Ⅳ. 결과 = 51 A. 정재 집단의 뇌파, 혈압, 맥박 변화 양상 결과 = 51 1. 뇌파 = 51 가. 채널 1(Fp1)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51 나. 채널 2(Fp2)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54 다. 채널 3(F3)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56 라. 채널 4(F4)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58 마. 채널 5(T3)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61 바. 채널 6(T4)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64 사. 채널 7(P3)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66 아. 채널 8(P4)에서의 뇌파 변화 양상 = 68 2. 혈압, 맥박 = 70 B. 정재 집단, 요가 집단, 체조 집단의 뇌파, 혈압, 맥박 변화 양상 결과 = 71 1. 뇌파 = 71 가. 채널 1(Fp1)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71 나. 채널 2(Fp2)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76 다. 채널 3(F3)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81 라. 채널 4(F4)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86 마. 채널 5(T3)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90 바. 채널 6(T4)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94 사. 채널 7(P3)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98 아. 채널 8(P4)에서 세 집단의 뇌파 변화 양상 = 103 2. 혈압, 맥박 = 108 Ⅴ. 논의 및 결론 = 113 참고문헌 = 120 【부록-Ⅰ】뇌파측정 사진 = 129 【부록-Ⅱ】연구 참여 동의서 = 130 【부록-Ⅲ】면담 질문지 = 131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598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96-
dc.title정재(춘앵전)수행의 명상적 효과에 관한 심리·생리적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nalyses of Meditational Effect of Jeong-Jae(Chun-Ang-Jeon)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Shin, Eun Kyung-
dc.format.pagexi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nbsp-
dc.identifier.major체육학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