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진숙-
dc.creator박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2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68-
dc.description.abstract색채에 대한 관심은 20세기 중반부터 일기 시작한 '색채 혁명'이라는 조류로 나타나게 되며, 정보시대와 더불어 '색채화 시대'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각계 각층의 여러 분야에서 전통색이 재조명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대생활 속에서 전통 색채라는 이름 하에 옛 유물에서 맹목적으로 가져온 무분별한 색채 사용은 제품의 고유한 특성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기도 한다. 특히 서구적인 감각의 색의 범람은 우리의 주체의식을 잠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인 감각을 표현 할 기회조차 저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색의 체계화와 그 활용을 위한 색채 감성 연구를 통해 전통색을 이용하여 복식 색채 계획시 실증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배색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한 한국적 이미지를 갖는 제품 개발과 이것의 결과로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토록 하는 기초 색채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 방법과 구성은 이론적 논의와 실증적 논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론적 논의는 문헌연구를 통한 전통 색의 체계와 특성에 관한 자료 수집과 함께 문헌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 색채 사용에 있어 그 근본적인 사상체제의 사용의 실태를 박물관 도록 12개, 총 172벌의 복색을 통해 배색원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배색 제시를 함에 있어 그 근본 색채 조화론과 배색 방법에 대해 현대적 이론을 문헌 고찰하였다. 실증적 논의는 색채 계획을 위한 색채 자료를 「한국인의 표준 색명 및 색상」을 바탕으로 90색 추출하여, 한국인의 감성척도에서 비롯한 색채감성언어 16개에 따른 배색 48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48개의 배색은 설문조사를 통해 대표배색을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전통색의 체계와 특성에 따른 전통배색 방법에 대한 전통 유물 조사를 토대로 한 이론적 논의와 한국 전통색과 그 배색 방법의 현대적 수용에 있어 한국인의 색채감성 척도에 따른 배색 방법에 대한 실증적 논의로 압축 될 수 있다. 이론적 연구와 도판 자료 표집을 토대로 한 전통 배색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전통 색채 배색 방법에 있어 모든 색배열은 음양오행적 사상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음양오행적 색채관의 상생에 이치에 입각한 배색이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단순 장식요소로 생각했던 복식의 부수적인 요소들, 즉 저고리의 깃, 고름, 끝동, 선, 겹마기의 배색과 남녀 복식에서 기능적으로 사용 된 각종 끈들에서 안감과 겉감과의 색상관계에서도 상생적 관계를 따져 겉에서 보이지 않는 면에 있어서도 곁과 안의 음양오행을 따져 그 조화를 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극도 다수 보이는 것으로 인해 음양오행설이 우리 색관념을 극단적으로 지배했다고는 볼 수 없으며, 시기가 흐를수록 음양오행에 대한 색채관념의 지배효과는 약화되고 이보다 실용적, 감각적 측면에서의 색채관념이 점차 많이 차지함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에서 전통색의 활용화는 변화하고 있는 사회 생활 양식과 색채 의식에 따라 전통 색채에 대한 의식도 분명히 달라져야 할 필요성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식 색채뿐만 아니라 전 분야의 제품 색채계획에 응용 될 수 있는 다양한 배색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각 방법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전통 배색방법은 음양오행적 색채관에 바탕을 둔 배색원리로 관념화된 배색방법을 취하였다. 이러한 색에 대한 상징적 의미 부여는 사용하는 물건의 실용적인 가치나 조형적인 특징, 미적 감수성의 반응이나 배색방법에 많은 자제가 있어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시각적 효과를 주기 위한 여러 색채 조화론은 이질화 원리와 동질화 원리에 의한 다양한 배색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보편적인 원리로 작용하는 이러한 서구의 배색방법론으로는 문화적, 지역적인 감각 차와 시대적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해 가는 감각에 좀더 다양하고 세심하게 접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셋째, 한국인의 색채 감성언어에 따른 배색 방법의 특징은, 색상보다 톤에 의한 색채 판단과 감성척도의 기준 축 어휘에 있어 타민족과 차이가 나는 한국인의 색채 감성에 맞춘 것이라는 점에 있다. 따라서 SD법으로 실증적으로 제시된 한국인의 색채감성척도를 통한 배색 방법의 접근은 전통색을 한국인의 색채감성척도라는 표준화된 이미지 공간 내에서 해석함으로써 앞으로 전통색을 응용한 상품색채 계획에 있어 소비자의 색채 기호를 보다 객관적이고 충실하게 반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토대로 본 연구의 전통색을 응용한 배색방법 제시는 한국인의 감성언어에 따른 배색방법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또한 색 배합에 있어 보편적인 원리로 작용하는 색채 조화론에 근거한 배색방법을 참조하여 배색 제시를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실증적 배색 방법 조사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6개의 색채감성언어에 따른 48개의 배색의 대표 배색 선정을 통한 설문결과로 선택된 배색의 특징이 앞서 전제된 각각의 어휘들이 지니는 이미지의 주요 요소에 가장 근접한 배색이 선호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배색 제시가 실증적으로 접근하였음을 입증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표배색 이미지 공간 분석에서 배색의 명도와 채도의 분포가 좌표축의 좌↔우, 상↔하에 따른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명도와 채도에 의한 배색보다는 강한 또는 미묘한 색상변화에 의한 배색 감각이 발달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한국만이 가지는 차별화 된 배색 감각으로 발전시켜 경쟁력 있는 요소로 개발 할 수 있으며, 한국적이면서 고급스러운 다른 많은 배색표본을 수집하여 전반적인 배색 감각과 전통색 활용에 대한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통색의 현대적 수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전통색을 기본 도구로 한 색채감성언어에 따른 배색은, '전통색'이라는 의미로 단순히 '전통색' 자체를 현대에 대입하여 조화 내지는 절충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현대의 감각에 맞게 수용. 시각화한 것으로, 역사적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한국 전통 색채'라는 개념으로 현대의 새로운 색채 활용 기초자료로서 전통색 활용의 밑거름이 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할 수 있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a new color harmony method through application traditional color to color harmony sensitivity language. The method and composition may be divided into theoretical and verifiable discussion. The formal is examination of traditional color harmony principle through researches of document and antiquity, the latter representation of color harmony through traditional color. The fundamental tool of representation of color harmony are ninety traditional color which is abstracted from 「Korean standard color name and color」 and one hundred and nine adjective which is abstracted from Korean color image scale.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color harmony are to divide adjective into 12 categories, from which chose 16 adjectives and according to this to represent 48 color harmony. And representative color harmony out of mentioned above forty eight color harmony is chose from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lor harmony method based on theoretical study are as follows. All color arrangement in the traditional color harmony is closely related with "Sangsaeng"(compatibility) by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That is applied in belongings of costume and color relationship of inside and outside cloth. But the existence of the some sangkeuk (incompatibility) shows that our color consideration did not be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The Five Element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and which decline in the control effect of the color consideration with the lapse of time. On the contrary, the practical and sensual side is dominant at the color consideration. It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lor need to be change according to the alterative social life form and color consideration. So the color harmony representation, which applies to the traditional color, is suggested by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sensitivity language. I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verifiable color harmony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content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 of selected color harmony by questionnaire says that color harmony which is most close to the major elements of a each vocabulary's image, is preferred. This shows that the representation of color harmony approach to the verification.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color harmony's value and chroma have the nature of the rule according to the left↔right, up↔down of the coordinate axis. At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color harmony image scale, which proves that color harmony sensibility is developed by strong or delicate color change more than the value and chrom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한국전통색의 체계와 특성 = 5 A. 전통색 체계 = 8 1. 음양오행설 = 8 2. 음양오행적 색채관 = 9 3.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 14 4. 전통색채개념도 = 16 B. 전통색의 특성 = 21 1. 전통색채관 = 21 2. 전통 배색방법 = 28 Ⅲ. 색채조화론과 배색 = 40 A. 색채조화론 = 40 1. 색채조화론의 개념 = 40 2. 색채조화론의 원리 = 41 B. 배색 = 45 1. 배색원리 = 45 2. 배색방법 = 47 Ⅳ. 전통색에 의한 배색계획 = 52 A. 전통색에 의한 배색계획의 필요성 = 52 B. 배색계획 = 54 1. 전통색 제시 = 54 2. 감성언어 제시 = 64 C. 실증적 배색방법 = 73 1. 배색계획안 = 73 2. 설문조사 및 결과 = 107 D. 결과분석 및 문제제기 = 112 1. 결과분석 = 112 2. 문제 제기 = 115 Ⅴ. 결론 = 117 참고 문헌 = 121 Abstract = 125 부록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546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전통색-
dc.subject현대적 활용-
dc.subject실증적 배색방법-
dc.subject감성언어-
dc.title한국 전통색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실증적 배색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감성언어에 따른 배색방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Investigation on Verifiable color harmony method for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 : With color harmony method according to sensitivity-
dc.format.pagexii, 13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